이백의 월하독작(月下獨酌) vs 나희덕 시인의 ‘너무 늦게 그에게 놀러간다’.. 이렇게 말하면 대비(對比)가 선명하지 않다. ‘너무 늦게 그에게 놀러간다’에 나오는 “..조등(弔燈) 하나/ 꽃이 질 듯 꽃이 질 듯/ 흔들리고. 그 불빛 아래서/ 너무 늦게 놀라온 이들끼리 술잔을 기울이겠지...”란 구절을 말하기 전에는.

이백은 “꽃 사이에 술 한 병 놓고/ 벗도 없이 홀로 마신다..”고 말했다. 물론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술이 아닌 꽃이다. ‘너무 늦게 그에게 놀러간다’가 실린 시집 ‘어두워진다는 것’을 소개하는 자리(‘보랏빛은 어디서 오는가’)에서 시인은 같은 보랏빛이라 해도 라일락꽃과 등꽃과 도라지꽃과 붓꽃의 보라가 각기 다르다면서 그 빛깔들은 일정한 경계를 지을 수 없이 서로를 향해 번지려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는 말을 했다.

경계라는 말을 할 수 있으리라. 샤먼 앱트 러셀은 ‘꽃의 유혹’에서 가장 오래된 꽃의 화석은 대략 1억 2천만년 정도 된 것이라며 꽃이 한 시대의 범위를 구획해 준다는 말을 더한다.(‘꽃은 공룡을 기억한다’ 참고) 경계와 범위의 차이를 아는지?

나는 꽃을 사랑한다. 당연한 일이 아닌가. 누가 꽃을 싫어하겠는가. 지금 이곳의 너무도 아름다운 꽃들. 그러나 이 뿐 아니라 “별이 바위에 스며들어 꽃이 되었네”(박문호 박사 지음 ‘유니버설 랭귀지’ 488 페이지)처럼 자연과학으로 분석하는 수십 억 년 진화의 정점인 ‘꽃’ 자체도 사랑한다.

천문학자 이석영 교수는 우리 태양계가 탄생하기 전 태양계의 원재료가 된 기체 덩어리 근처에서 초신성이 폭발할 때 환원된 원소들이 우리의 몸을 이루는 구성 성분이 되었다고 말한다.(‘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 우주론 강의‘ 참고)

물론 꽃도 초신성 폭발로 얻게 된 원소들로 이루어졌으니 우리만 초신성의 후예가 아니다. “한 조각 꽃잎이 떨어져도 봄빛이 줄어든다”는 두보의 시 대신(?) 오늘은 “꽃잎 하나의 무게가 세상의 얼굴을 바꾸면서 그 세상을 우리 것으로 만들어버렸다.”는 로렌 아이젤리의 말을 음미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