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 퀴리가 자신이 발견한 첫 번째 원소의 이름을 조국 폴란드의 이름을 따 폴로늄이라 지은 것은 성급한 일이라고 말하는 책(‘사라진 스푼’)이 있다.
이 명명은 폴란드의 독립에 아무 기여도 못했고 금속으로서도 아무 쓸모가 없고 너무 빨리 붕괴해버려 폴란드를 조롱하는 은유로 보일 수 있으며 라틴어가 점점 쓰이지 않게 됨에 따라 폴로니아가 아니라 ‘햄릿’에서 비틀거리고 약간 모자라는 인물로 등장하는 폴로니어스를 연상시킨다고 저자(샘 킨)는 말한다.

반면 마리 퀴리가 발견한 두 번째 원소인 라듐(반투명의 초록색 광채를 내는 원소)은 전 세계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제품으로 팔려나갔다고 한다.

라듐이 선풍적 인기를 얻은 것은 색도 좋고 이름도 리듬감이 있는 등 즐거운 요소가 있어서였을 것이다.

가령 카드뮴이나 비스무트는 광물이나 유화에서 밝고 화려한 색의 안료로 쓰이지만 이름에서는 라듐의 리듬감을 따라오지 못한다.

라듐에 대해 이탈리아의 화학자이자 시인, 아우슈비츠 생존 작가 프리모 레비는 이런 말을 했다.

‘물리학자는 라듐 1그램의 반감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지만 그 라듐 원자 하나가 분해되는 때를 말할 수는 없다...

우리의 미래는 외적 요인들, 우리들의 자유로운 선택과는 전혀 무관한 요인들과 우리가 의식하고 있지 못하는 내적 요인들에 강하게 종속되어 있다.

잘 알려진 이런 이유들 때문에 우리는 본인의 미래도 이웃의 미래도 알 수가 없다. 또 같은 이유로 과거의 일에 대해 ˝만약에˝라고 아무도 말할 수 없는 것이다.’(‘이것이 인간인가’ 참고)

레비는 불행하게도 아우슈비츠에서 살아 나온 뒤 자살했다. 68세때인 1987년의 일이다. 실족사라는 주장도 있다.

과거 나는 레비의 죽음을 자살로 보았다. 하지만 지금은 실족에 의한 죽음이라 생각한다. 물론 왜인지는 나도 잘 모른다. 그냥 그래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