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으로 하여금 결혼과 사랑을 분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 것은 책이었다는 미국의 페미니스트 작가 벨 훅스의 말은 다소 의외이다.(‘사랑은 사치일까?’ 참고) 책은 체험보다 더 소중한 것일까?

훅스는 타인을 향한 사랑을 통해 기꺼이 과거의 정체성을 떨쳐내고 영혼의 어두운 밤으로 들어가 우리 존재의 거대한 신비로움을 마주할 수 있는 용기는 경험을 통해서만 얻어진다는 말을 강조한다.(책과 체험을 우열을 가려야 할 대상으로 나누지 말 것.)

어떻든 그런 분리의 결과 훅스가 포기한 것은 결혼이고 떨칠 수 없었던 것은 전능한 사랑에 대한 믿음이었다고 한다.

약 2년 만에 ‘사랑은 사치일까?’를 다시 읽는 내 눈에 새롭게 들어오는 것은 사랑은 우리가 내면의 사랑을 발견할 수 있을 때에만 찾아오며, 사랑의 여정은 자기인식을 감수(甘受)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는 말이다.

훅스는 미국의 정신분석가 존 웰우드의 말을 인용하는데 그에 의하면 타인과의 관계는 그저 내면의 삶의 확장에 불과하며 자기 자신과 열려 있는 관계를 맺을 때에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그럴 수 있다.

이런 유의 사유를 우리는 유식(唯識) 불교의 저서인 ‘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붓다는 실로 어떤 진리도 설파하지 않으셨다. 자신의 내면에서 진리를 깨달아야 함을 통찰하셨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다면 문제는 “당신이나 나나”(허수경 시인의 표현) ‘내면의 사랑’을 발견하고 ‘자기인식’을 감수하는 일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