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팽을 기다리는 사람 - 흰 건반 검은 시 활자에 잠긴 시
박시하 지음, 김현정 그림 / 알마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쇼팽을 기다리는 사람'은 스무 편의 자료가 참고된 산문이다. 시인 박시하가 쓰고 평면 조형 전공자 김현정이 그림을 그린 예쁜 책이다. 부제는 '흰 검반 검은 시'이다. 저자는 쇼팽을 음악을 노래가 되게 했고 시로 만든 사람으로 정의한다. 저자에 의하면 음악은 언어를 물리친 시이자 단어와 문장이 필요없는 시이다. 쇼팽은 피아노의 시인이라 불린다. 하지만 그는 수려한 첼로 소나타도 썼다.

 

각자 좋아하는 쇼팽의 피아노 곡이 있다. 여러 곡을 들 수 있겠지만 나는 그의 빗방울 전주곡(op 28 - 15)을 좋아한다. 정말이지 여유롭게 떨어지는 빗방울이 눈 앞에 생생하게 보이는 듯한 곡이다. 박시하의 글을 통해 그가 즐기는 곡이 얼마나 자신과 다른지 알아보는 것도 재미있다. 박시하는 자신이 쇼팽의 음악 안으로 들어가고 그의 음악이 자신에게 들어오는 것을 영혼이 꾸는 꿈이자 육체를 전율케 하는 힘으로 정의한다.

 

박시하의 인용은 첫 순서부터 인상적이다. 지드가 한 다음의 말이다. "쇼팽은 제안하고 가정하고 넌지시 말을 건네고 유혹하고 설득한다. 그가 딱 잘라 말하는 일은 없다." 쇼팽의 노래는 달처럼 희고 매끄러우면서도 어둠 속의 뒷면을 가진 음악이란 것이 박시하의 한 전언이다. 박시하는 인간이 만들어낸 것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이 음악이라 말한다. 쇼팽은 병약하고 고독했다. 그는 그런 삶을 살았기에 그토록 아름다운 곡을 쓴 것이리라.

 

박시하는 우리가 닿을 수 없는 진리, 그 핵심에 다다르려 애쓰다가 막상 어딘가에 도달하고 나면 그것이 지닌 흉측하고 두려운 형상 앞에서 절망하게 되는 세상을 이야기(31 페이지)하며 그러나 쇼팽의 음악을 통해 악몽에서 벗어나 비로소 맞닥뜨리는 진실의 빛나는 얼굴을 본다고 설명한다.(33 페이지) 흉측하고 두려운 형상을 유령(정신분석가 백상현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박시하는 멀리 있는 무언가에 대한 채워질 수 없는 소망, 그것 자체를 예술이라 말해도 좋지 않을까, 라고 말한다.(38 페이지) 삶을 기다림의 연속이라고 말하는 박시하는 자신이 아직 만나지 못한 자신의 문장들과 시를 기다리는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박시하는 자신이 시인이자 한 사람의 생활인이라는 것을 스스로 납득하려고 애쓰지만 언젠가 무언가는 빗나가기에, 한 편의 시에 담긴 것들이 때로는 너무도 마음을 가득 채우지만 때로는 몹시 무용해서 고통스럽다고 말한다.(46 페이지)

 

헛된 것에 매혹당하고 갈망하고 기다리고 실망하고 울고 웃으며 남겨진 삶의 그 무엇을 하나도 남기지 않고 다 써버리려는 충동에 시달린다(54 페이지)는 박시하는 쇼팽의 음악들은 사랑의 기쁨에서 촉발된 영감과 사랑의 절망에서 비롯된 내면의 고통으로 만들어졌을 것이라 말한다.(57 페이지)


박시하는 쇼팽의 삶을 하나 하나 간추리며 그의 음악과 연결지어 설명한다. 박시하는 사랑은 변하지만 음악은 결코 변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66페이지) 사랑하고, 쓰기 위해서 가장 추한 모습과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동시에 보아야 한다고 말하는 박시하. 그의 책은 쇼팽론이자 시론(詩論)이다.

 

박시하는 하나의 면만 갖고 있기에 사람은 좀더 복잡하고 내밀한 존재라는 말로 쇼팽에 대한 세평(우유부단하고 말수가 적고 수줍고 병약했다)에 조심스럽게 이의를 제기한다.(70 페이지) 쇼팽의 음악이 있는 한 이 세상은 아름답다는 것이 박시하의 고백이다. 박시하는 쇼팽의 음악을 떠오르는 해의 음악이 아니라 그 빛을 반사해내는 달빛의 은은함을 지닌 음악이라 말한다 .(76 페이지)

 

박시하는 쇼팽의 뱃노래(바르카롤)에서 검은 안개와 흰 운무를 느낀다. 박시하는 음악을 순간의 환희를 영원에 붙잡아두려는 시도라 말한다.(86 페이지) 쇼팽의 첫 사랑은 동급생이던 미녀 소프라노 콘스탄치아 글라드코프스카이다. 쇼팽은 끝내 사랑을 고백하지 못했다. 피아노 협주곡 1번과 2번은 그 시기에 만들어진 곡이다. 특히 2번 2악장은 남몰래 흠모하던 그녀를 그리워하며 만든 곡이다.

 

"쇼팽은 음악으로 말했다. 자신의 상실과 슬픔에 대해서. 언어가 아닌 음표로, 리듬과 악상으로."(106 페이지) 박시하는 쇼팽의 음악은 모든 상실에 대한 애도로 읽힌다고 말한다.(110 페이지) 박시하는 쇼팽이 사랑했던 콘스탄치아 글라드보드스카, 마리아 보진스카, 조르주 상드 등을 차례로 호명한다.

 

"잃어버린다는 뜻을 가진 템포 루바토는 쇼팽 음악의 고유하고 특징적인 기법이었다. 마치 기억과 망각 사이의 순간처럼 한순간도 고정되지 않고 끝없이 흔들리는 템포."(114 페이지) 당연하지만 쇼팽은 삶과 이별하는 동시에 음악과도 이별했다. 쇼팽은 죽음 직전까지 음악을 듣기 원했다. 쇼팽은 자신의 장례식에서 모차르트의 레퀴엠을 연주해달라고 부탁했다.(124 페이지)

 

임좀을 지켜보던 의사가 아직도 아프냐고 묻자 쇼팽은 이제는 안 아프다는 말을 했다. 쇼팽의 장례식에는 그의 장송행진곡과 전주곡 4번, 6번, 모차르트의 레퀴엠이 연주되었다. 박시하는 쇼팽의 음악을 듣는 것은 그의 삶에 참여하는 것이라 말한다.(126 페이지) 쇼팽은 음악 이외의 삶에서는 소극적이고 내향적이었다.

 

박시하는 쇼팽에게 "당신은 음악에 대한 사랑으로 불가능한 것을 가로질러 갔습니다."란 편지를 쓴다. 박시하는 말한다. 음악은 몸이 영혼에 줄 수 있는 기쁨이고 쾌락이며 몸의 쾌락은 순간적이고 파괴적이지만 영혼의 쾌락인 음악은 별만큼이나 오래되었고 별보다 더 영혼에 가깝다고.

 

박시하는 시를 만지기 위해 자신 역시 극한까지 가고 싶어 했다고 말하며 그렇게 나타나는 시의 형상은 결코 조화롭지만은 않다고 말한다. 세상이 조화롭지 않기 때문이다.(177 페이지) 박시하는 쇼팽의 음악을 가장 순수한 형태의 슬픔이라 표현한다.

 

박시하는 쇼팽에게 "우리의 한계는 이토록 분명한데도 어째서 갈망이 끝이 나지 않는지 당신에게 질문을 하겠"다고 말한다. 슈만은 쇼팽을 가리켜 남들이 정한 법칙에 순응하기보다 쓰러질 때까지 혼자 고군분투하는 정열적인 성격의 소유자라 말했다.(187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