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인생의 의미 - 삶의 마지막 여정에서 찾은 가슴 벅찬 7가지 깨달음
토마스 힐란드 에릭센 지음, 이영래 옮김 / 더퀘스트 / 2024년 9월
평점 :
밀리의 서재에서 기대하지 못했던 횡재를 한 느낌이 든 책읽기였습니다. <인생의 의미>는 르웨이 오슬로대학교 사회인류학과의 토마스 힐란드 에릭센교수가 쓴 책입니다. 그는 “삶의 의미라는 주제는 언제나 존재했다. 인간은 언제나 존재의 본질과 방향성을 찾으려 했다. 삶의 의미에 대해 묻는 것이야말로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다.”라고 했습니다. 그는 40여년을 사회인류학을 공부하고 있는데,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과 접촉을 통하여 삶의 의미에 대하여 생각하는 바가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합니다. 저자는 특히 2016년 암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받아 투병하면서 삶의 의미라는 주제에 몰입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서문에 들어있는 내용 가운데 눈길을 끌었던 것은 “한 인간의 삶을 의미 있게 만드는 유일한 것은 ‘다름’이다.”라고 한 점입니다. 남들이 하는 것이 좋아 보여 따라하는 것은 스스로의 삶을 의미 있게 만드는 노력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자신만의 삶을 포기하는 셈이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틀에서는 삶의 선하고 유용한 의미에는 중요한 공통점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고 합니다. 저자는 7가지의 공통점을 관계, 결핍, 꿈, 느린 시간, 순간, 균형, 실 끊기 등의 주제어로 풀어 설명합니다. 이런 대목에 눈길이 멈추었습니다. “삶의 의미는 지속 가능하고 중립적이며 자유롭다. 삶의 의미는 관계로 이루어진다.이 책의 초고를 완성한 후, 우리 자신을 주위의 모든 것과 연결하는 실에 대한 긴 에세이를 썼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 가는 실들이 모여 거대한 태피스트리를 만든다. 그 촘촘한 관계망 안에서 우리는 시간과 공간을 뛰어 넘는 거대한 합창단을 이루며, 그 안에서 우리는각자 작은 목소리를 낼 수 있다. 이런 실타래가 바로 삶을 의미 있게 만든다.”
첫 번째 주제 관계를 생각해보면 앞서 언급한 것처럼 관계는 동물세계는 물론 식물세계에서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다는 것입니다. 차이가 있으면서도 상호간에 맺고 있는 관계를 통하여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관계를 이야기하면서 재즈 뮤지션 칼라 블레이(Carla Bley)의 <혼자 하는 식사 Dining Alone>을 인용하는데 ‘인생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근원이란 음식을 나누고 함께 식사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상기시킨다고 했습니다.
단조롭게 느껴지는 반주 속에서 식사를 하는 상황을 묘사하는 노랫말은 누군가와 식사를 함께 하는 장면을 연상하게 하지만 사실을 혼밥의 쓸쓸함을 애써 감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처음 듣는 노래입니다만, 저에게는 생소한 노르웨이 출신의 저자가 이 책에서 소개하는 다양한 인용들이 생소하다고 느껴지는 부분입니다. 외부와의 관계를 최소화하는 삶도 그리 나쁘지는 않다는 생각이 꼭 틀렸을까요?
젊은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대목도 있습니다. 저자의 동료는 술에 취해 “인생의 의미는 신을 믿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를 낳는 것이라고 말했다. 진지하게 생각해볼 만한 말이다. 반드시 자신의 생물학적 자손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녀와의 관계를 통해 경험하는 무조건적인 사랑과 배려, 겸손, 자기 확신은 더 없이 소중한 삶의 덕목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두 번째부터 여섯 번째까지의 주제에서도 느낀 바가 많았지만, 마지막 주제 ’실 끊기‘는 저자가 말기암 병동에 입원해서 가진 사유의 시간을 통하여 얻는 바를 정리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 끊기는 모두에서 이야기한 관계를 통하여 형성한 주변사람들과의 소통을 마무리하는 과정이라고 이해됩니다. 죽음을 두려워하는 마음은 나이와 상관이 없었다고 합니다. 삶을 달관했을 노인이 젊은이들만큼 죽음을 두려워하기도 했고, 오히려 노인보다 죽음을 쉽게 받아들이는 젊은이도 있었다는 것입니다.
저자가 인용한 “힌두교와 불교에 정통한 사람들에 따르면 좋은 죽음에는 준비가 필요하다. 자신의 삶을 포함하여 모든 것의 덧없음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워야 하며, 죽음의 순간에는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해야 한다.”라는 대목에 공감합니다. 그리고 “좋은 죽음이란 잘못을 보상하고, 해야 할 일을 다하고, 최선을 다하고,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한 후에 맞이하는 죽음이다.”라는 대목에도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