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한 한 자네 자신 속에 침잠해야 하네. 누군가를 사귄다면 자네를 좀 더 나아지게 해주는 사람들을, 집에 초대한다면 자네가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사람들을 고르게. (…)
실제로 자네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네. (…) "그렇다면 누구를 목표로 나는 이제까지 공부해왔단 말인가?"
이렇게 자네는 묻겠지. 헛되이 노력한 것은 아닌가 하고 걱정할 필요가 없네, 자네는 스스로를 위해 공부한 것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즐겁게 살아간다는건 중요하다. 그것이 정신적인 즐거움이든
육체적인 즐거움이든, 삶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즐거움이 필요하다.어느것이 더 중요한지는 알 수 없다. 각자에게는 각자의 가치관이 있기 때문이다.
....이 즐거움을 추구할때 균형이 필요하다는 것. 그리고 절제도 필요하다. 왜냐하면 대가 없는 즐거움은 없기 때문이다. 쾌락만을 좇는 대가는 늘 생각보다 위험하고 치명적인 칼날이 되어 우리를 향한다.
인류의 역사가 마약들과 함께 했지만, 멸종되지 않고 살아남을수 있었던 건 지혜 때문이었다. 지혜는 단순한 지식과 다르다. 지혜는 누구나가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지식이라는 것에 사유, 성찰 그리고 자기의 절제가 더해져야만 지혜는 생겨난다.
어떻게 사는 것이 진정으로 지혜로운 삶일까?
오늘도 나는 그 고민을 하며 살아가는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쁜 일상에 치이다 보면 삶의 목표라든가 이정표 같은 것들이더는 의미 없게만 느껴질 때가 종종 있다. 불꽃처럼 타오르는 화려한 삶을 꿈꿨지만 실패하고, 꿈은 꿈인 채로 남아버린 것만 같을 때‘우리는 스스로에게 실망하고 삶에 좌절한다. 그리고 자신의 한계를 규정지어 버린다. 이제 내 생은 더 이상 특별하지 않다고.
하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화려한 겉모습이 아니라 자기 안의 뜨거운 열기를 꺼뜨리지 않는 것이다. 불과 재는 둘 다 뜨거운 열기를품고 있다. 단지 형태만 다를 뿐이다. 내 안에 아무것도 남아 있지않다고 여겨질 때, 재 속을 헤집듯 자기 안을 천천히 들여다보아야 한다. 모든 것이 끝났다고 생각될 때 모든 것이 새로 시작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른 사람이 우리를 화나게 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우리 자신을 이해할 수 있다.
- 카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 모든 것이 무너지고 부서진 자리에서,
많은 사람들이 강해진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Hemingwa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