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의 환경을 이해하면 "여성이 글을 쓰려면 돈과 자기만의 방이 있어야 한다"라는 버지니아 울프의 말이 실로 절실하게
느껴 진다. 돈과 방이라면 이십 대부터 내게도 절실히 필요한
두 가지 였다. 얇은 문 사이로 가족의 목소리와 텔레비전 소리가 와글와글들리는 곳에서는 도무지 글을 쓸 수 없었다. 밖으로 나가자니 기본 오천 원인 음료 한 잔 값을 지불하고 앞으로 뭐가 될지 모를 글 을 쓴다는 게 왠지 아깝기만 했다. 그럴 때 찾은 곳이 바로 도서관이었다.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굳이 마시고 싶지 않은 음료를 비싼 값에 사지 않아도 되고, 귀에 거슬리는 주변
사람이나 배경 음악도 없고, 글을 쓰다 자료가 필요하면 그때그때 서가에서 찾아볼수 있으니 이보다 좋을 수는 없었다. 도서관은 언제나 사유의 한계를 넘어서게 해 주었고, 내가 방문한다기보다 나를 맞이해 준다는 기분이 드는 유일한 장소였다.
이 환대가 결코 거저 얻어진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나는 도서관에 갈 때마다 떠올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는 미안한 표정으로 내게 돌아가라고손짓하며 여성이 도서관에 들어가려면대학 연구원을 동반하거나 소개장을소지해야 한다고 유감스럽다는 듯 나지막이말했습니다.
버지니아 울프, 『자기만의 방』(민음사, 20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의 에고를 무너뜨려도 좋은 것은 오직 당신이 진정으로 사랑하는 것들이다. 사랑으로 인해 당신의 자아가 무장해제 된다면 그것은 기쁜 깨어짐이다. 진실한 우정으로 당신의자아가 흔들린다면 그것은 아름다운 방황이다. 우리는 이미 우리 자신을 지키고 사랑하고 치유할 모든 에너지를 지니고있다. 그 에너지를 발굴하고 활성화해서, 마침내 자기극복을위해 활용할 수 있는 지혜야말로 자기치유의 심리학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엘렌 랭어는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호텔 객실 청소원들을대상으로 한 실험을 소개한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객실 청소를 할 때마다 ‘나는 운동을 하고 있다, 나는 지금 헬스클럽에서운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라는 자기암시를 주라고 제안한 후,
그들의 건강 상태를 체크해보았다. 대조집단에서는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지만, 평소와 똑같은 노동을 하면서도 나는 지금 운동을 하고 있다는 자기암시를 통해 마인드세트mind-set를 변화시킨 청소원들은 몸무게와 허리치수는 물론 체질량지수까지 모두 획기적으로 변화했다고 한다. 현실은 전혀 변하지 않았지만 마음의 프레임을 바꿈으로써 건강상태를 완전히 바꿀 수 있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리학자 가와이 하야오는 《콤플렉스 카페 (파피에, 2011)에서 콤플렉스의 긍정적 측면을 지적한다. 콤플렉스는 넓은 의미에서 인간의 열등성을 가리키는 말이기는 하지만, 그와 동시에 인간이 자기 안의 한계에 갇히지 않고 더 커다란 노력을기울이도록 만드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콤플렉스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그동안은 시도조차 해본 적 없는 새로운 도전을 기꺼이 받아들이기도 하고, 더 나은 자기 자신이되기 위해 엄청난 위험을 감수하기도 한다. 즉 콤플렉스는 우리 안의 미운 오리 새끼처럼 언제 백조가 되어 날아오를지 모르는 무의식의 가능성인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