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쓸모 - 21세기 프랑스 대표적 지성의 문학을 대하는 현대적 방식
앙투안 콩파뇽 지음, 김병욱 옮김 / 뮤진트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정과 이성에 무관심한 채 그저 자기 몸매만 가꾸는 예술이라면 소멸해버릴 위험성이 있다. 보들레르가 1852년1월 <세속의 학교>라는 글에서 주장하는 바가 바로 그거다. "머지않아 사람들은 과학과 철학 사이에서 형제처럼걷길 거부하는 모든 문학은 살인하는 문학이요 자살하는문학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보들레르는 세기 속의 문학을, 세기에 굴종하거나 세기에 봉사하는 문학이 아니라세기 속에 현전하는 문학을 지지했다.

프루스트는 문학을 다른 삶, 삶 밖의 삶, 세계 밖의 삶으로 만든다. 활동적인 삶과 명상적인 삶을 나눈 고대와 기독교적 구분의 현대식 버전이랄까. 그가 말하는 명상적인삶이란 곧 품격 있는 여가otium cum dignitate, 키케로나 몽테뉴의 은퇴 생활, ‘자발적 평온‘, 공부하는 여가요, 몽테뉴의 친구 라보에시가 말한 ‘자발적 예속‘ 같은 것이다.

현대는 활동적인 삶과 명상적인 삶의 서열을 뒤집었다. 예전엔 오티움orium의 반대인 네고티움negotium이 자아 상실을의미했으나, 이제는 개신교의 부상과 관련지을 수 있는추세에 따라(이는 바로 막스 베버의 1904년 저술 <기독교 윤리와자본주의 정신>이 주는 교훈이다) 비즈니스négoce10)가 자아실현의 장, 존재 성취의 장 자체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의 쓸모 - 21세기 프랑스 대표적 지성의 문학을 대하는 현대적 방식
앙투안 콩파뇽 지음, 김병욱 옮김 / 뮤진트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점점 활자의 비중이 작아지는 시대, 흥미롭게 읽고 여러모로 머물게 한 책이다. 책은 돈이 되는가? 쓸모에 관하여,…..
문학은 삶의 해답을 주지 않지만 질문을 계속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의 쓸모 - 21세기 프랑스 대표적 지성의 문학을 대하는 현대적 방식
앙투안 콩파뇽 지음, 김병욱 옮김 / 뮤진트리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밀 졸라의 말을 떠올려보자. 그의 소설 《목로주점>이대중을 즐겁게 해주어서 많이 팔렸다며 일부 불평꾼 비평가들이 비난하자, 그는 그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잘 팔린다는 건 나쁜 징조다!" 이런 생각이 시대 정신과 불편한관계인 현대 예술가의 신조인 것 같다. 작가에게 돈을 벌어다 주고, 서점에서 성공하면, 한마디로 돈벌이가 되면,뭔가 의심스럽다는 얘기다. 이는 곧 유행을 따른다는 뜻이요, 다음 시즌에는 팔리지 않으리란 걸 의미하기 때문이다

책의 미래 삶은 현재의 삶과 역의 관계에 있는지도 모른다. 물론 현재의 실패가 모두 미래의 수익성을 가리키는 지표인 건 아니지만(보들레르의 선언 "아름다운 것은늘 괴상하다"가 괴상한 것은 늘 아름답다는 걸 의미하지 않듯이),현재의 성공이 후대를 보장하는 일도 그에 못지않게 드물다. 이는 문학을 특징짓는 하나의 현대적 특성이다.

소설가 필립 지앙은 로르 아들러와 가진 <프랑스 튀르> 방송 인터뷰 (2012년 8월 30일자 "오르 샹Hors-champs")에서, 문학의 유용성에 대한 자기 생각을 이렇게 털어놓았다.
-어디에 쓰이느냐고요? (...) 나는 인기 있는 작가가 되고싶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내가 쓸데없는 짓을 하는 거니까요.
-삶에 꼭 유익해야 할 필요는 없을 것 같은데요.
-그건 큰 논란거리죠. 나는 작가란 뭔가에 도움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저 미적 감동만 일깨워줄 게 아니란 겁니다. 그건 아무짝에도 쓸모없어요. 아니, 시간을보내는 데 도움이 되긴 하죠. 소파에 앉아, 이를테면 프루스트의 책을 펼쳐 들고서 말입니다. 나도 다른 사람들처럼 프루스트를 좋아합니다. 아름답죠. 한데 그게 지금나에게 어떤 도움이 될까요? 없어요. 프루스트는 내가길 건너가는 걸 도와주지 않아요.

오늘날의 작가는 여러분이 길 건너가는 걸 도와주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길을 건너간다는 것, 그 말의 의미는 당신이 어떤 작가의 책을 읽은 후에는, 길을 건너갈 때, 프루스트만 읽는사람과 같은 방식으로 건너가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비가 된 꿈에서 깨어난 장자는 "내가 나비의 꿈을꾼 것인가, 나비가 내 꿈을 꾸고 있는 것인가" 물었다.
요즘 소설과 영화, 드라마, 웹툰에서 주인공이 갑자기 다른사람의 몸속으로 들어가거나, 신분이 전혀 다른 존재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상을 새롭게 바꾸려면 - 삶을 더 가볍게 하는 마흔 가지 방법
안셀름 그륀 지음, 황미하 옮김 / 성서와함께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어나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거라"(요한 5,8). 내가 자신감으로 가득 차 있다면, 나에게 힘이 있다면, 내가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확히 안다면 자리에서 벌떡 일어날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오랜 세월 동안 들것에 누워 지낸 병자에게 말씀하십니다. 그는 자신의 약함을 떨쳐 내고일어서야 합니다. 이 말을 나에게 적용하면 이런 의미입니다. ‘골똘히 생각하는 것을 놓아 버린다.‘ 그것을 떨쳐 내야합니다. 여기서 ‘들것‘은 나에게 의심과 너무 많이 생각하는 것을 상징합니다. 나는 더 이상 무언가에 대해서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온갖 불확실함과 망설임을 떨쳐내고 앞으로 나아갑니다. 앞에서 사례로 든 사람이라면 이제 이렇게 할 것입니다. 방금 눈에 띈 옷을 입습니다. 남들이 이 옷을 어떻게 생각하고 평가할지는 더 이상 고민하지않습니다. 또는 나에게 어울리는 옷을 의식적으로 택하여 ‘나는 똑바로 서 있다‘는 메시지를 줍니다. 이어서 결심합니다. ‘오늘 나는 내 마음에 드는 옷을 입고 하루 종일 긍정적인 분위기를 만들 거야?‘

고대 그리스인들은 보는 것을 신(하느님) 체험과 관련지었습니다. ‘하느님‘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테오스theos‘는 ‘보다‘라는 뜻의 ‘테아스타이theastai‘에서 유래했습니다. 물론 그리스인들은 신(하느님)을 직접 볼 수 없다는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저는 보는 것 자체에서 저자신을 잊고, 존재하는 만물 안에서 하느님의 신비를 봅니다. 초기 수도승 가운데 신비가로 알려진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Evagrius Fonticus는 ‘자연적 관조theoria physike‘에 관해말하는데, 이는 그에게 자연의 신비를 의미합니다. 저는 주변의 나무와 꽃들, 풍경을 바라봅니다. 모든 것 안에서 하느님의 현존을 봅니다. 그런 가운데 하느님의 아름다움, 사랑과 애정, 힘과 생기를 지각합니다.

어떤 것이 현명한지 숙고해 보세요.
현실에 적합한 것, 실제적인 것, 자신이 잘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면 좋습니다. 너무 힘들지 않은 것이면 그 역시 적합합니다. 당신은 아침에 무조건 일찍 일어나기를 바라지만 너무 힘들다면 그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무엇이 당신에게 현명한 것인지 숙고하세요. 그런 다음 당신이 결심한 것을 실천하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