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했던 일이 현실로 나타났을 때 우리가 느끼게 되는 감정은 두 가지 대비되는 원색이 혼합되어 원래의 색을 구분할 수 없는 파스텔톤의 색깔과 비슷한 게 아닌가 싶다. 예컨대 허공을 날던 비행기가 고도를 낮출 새도 없이 불시착한 듯한 비현실적인 느낌과 매도 빨리 맞는 게 낫다는 식의 올 것이 오고야 말았다는 안도감이 바로 그것이다. 느낌의 강도가 세면 셀수록 우리는 두 감정을 선명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일상에서는 비록 여러 감정이 혼재된 몽롱한 의식 속에서 살고 있기는 하지만, 이따금 충격에 버금가는 두 감정이 느닷없이 찾아왔을 때 나는 그 감정의 출처를 오래도록 의식하곤 한다.

 

아버지가 세상을 뜨신 지 보름쯤 지나는 동안 나는 두 감정의 경계에서 어찌할 줄 몰랐다. 일을 하다가도 문득 '오늘쯤 병원에 가봐야 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가 한참이 지나서야 '아, 돌아가셨지' 하고는 이내 무기력한 현실로 되돌아오기를 수차례. 또는 화장을 하고 유골을 납골당에 모시는 과정을 또렷이 지켜봤음에도 그것이 마치 남의 일이었던 듯 기억에서 희미하게 사라졌다가 '아버지는 이제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시도 때도 없이 선명하게 각인되곤 하였다.

 

근 이십여년을 병원에서 지냈던 아버지로 인해 가족 모두의 뇌리에는 정기적으로 병원을 찾는 것이 습관처럼 굳어졌나 보았다. 부자간의 각별한 정이 있었던 것도 아닌데 이토록 혼란한 감정은 도대체 무엇인지... 비기 오락가락 했던 오늘, 하릴없이 창밖을 보며 우울한 상념에 젖었었다. 궂은 날 찾아오는 오래된 지병처럼 가슴이 아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4-09-03 2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혈연이란 그래서 진하다고 하는 것 같아요. 마음대로 이을수도 끊을수도 없는.
여긴 이제 비가 그쳤어요. 내일은 말간 하늘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꼼쥐 2014-09-05 19:47   좋아요 0 | URL
오늘부터 시작된 추석연휴 탓인지 거리에는 차가 넘쳐나네요. 하늘은 맑고 연휴 내내 비도 오지 않는다 하니 hnine 님도 즐거운 명절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