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도 많지 않은 주제에 이런 제목으로 글을 쓴다는 게 어쩌면 시건방져 보일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헌법 제21조에도 언론,출판의 자유가 있다고 하니 용기를 내어 써보려구요.

지금 쓰는 내용은 순전히 제 개인적인 경험이므로 사람마다 다 다를 수는 있겠지요.

제 생각으로는 어느 정도 나이를 먹으면 좋아지는 점이 꽤나 많은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다들 단점을 찾는 것에만 급급할 뿐 장점은 말하지 않더군요.  두서없지만 제가 이 글을 쓰는 이유도 그런 까닭입니다.

 

제 경험으로는 나이가 들면서 점차 두려움이 사라진다는 점이 좋았어요.

어렸을 적에 무서워했던 귀신이나 요괴, 도깨비 등이 이제 그 실체를 알게 된 까닭인지 더 이상 두렵지 않더군요.  저는 어렸을 때 무서움을 많이 타는 아이였던 듯합니다.  두려워 하는 어른도 많았고, 어둠이 짙었던 밤도 두려웠고, 간간이 들리던 부엉이 울음소리도 무서웠습니다.  아, 또 있어요!  실체도 알지 못하던 '죽음'도 두려웠어요.  그랬던 제가 이처럼 무덤덤해질 수 있었던 데는 경험과 지식의 축적이 한몫한 것 같아요.  물론 아직도 내게서 두려움을 완전히 다 몰아냈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말이죠.

 

나이가 들면서 그동안 나를 지배해왔던, 기복이 심하고 불안정했던 나의 감정 상태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는 점도 좋아요.  지나고 나면 다 후회할 일이지만 우리는 때로 아무것도 아닌 일에 파르르하며 화를 내곤 하잖아요?  나이가 어릴수록 그 정도는 더 심하게 마련이죠.  저도 그랬으니까요.  그러나 해를 더하면서 실수를 통하여 배우는 게 많아지면 크게 화낼 일도, 크게 낙담할 일도, 또는 크게 기뻐할 일도 줄어들더군요.

 

무엇보다도 나이가 들어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것은 사람에 대한 기대가 줄었다고 해야 하나, 아니면 사람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고 해야 하나 아무튼 사람관계에 있어 좀 더 원만해졌다는 점이에요.  '생긴 대로 산다'는 말이 이제는 어떤 진리처럼 느껴지곤 합니다.  오래 전에 읽었던 책에는 이런 말이 있습디다.  13억 중국인의 정신적 스승으로 불리는 지셴린의 책인데요, 꽤나 의미심장합니다.

 

"나의 관찰 결과에 따르면 나쁜 사람은 결코 착한 사람이 되지 못한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이 어디 있는가? 그리고 변하지 않는 사람이 어디에 있는가? 그러나 내가 관찰한 몇몇 나쁜 사람들은 공교롭게도 변하지 않았다.  수십 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다.  그들을 위해 뭐라 변명을 해주고 싶어도 적당한 말을 찾을 수 없다.  어떤 때는 나도 정말 궁금하다.  세상에 정말 '나쁜 사람 유전자'가 있는 것은 아닌지 말이다."

 

짧고 간결하게 쓰려고 했는데 말이 길어지네요.  재주가 없어서 그렇습니다.  나이가 들어 좋은 점은 이보다 훨씬 더 많지만 다음 기회로 미뤄야 할까 봅니다.  이제부터는 제 눈에 비친 꼴불견들을 쓰고 싶거든요.  젊어서는 별 느낌도 없었던 일들이 나이가 들면서 꼴불견으로 비춰지는 게 있습디다.

 

첫째는 나이 든 사람들의 성형입니다.  제 눈에는 꼴불견 1호로 보이거든요.  내 생각에 사람의 외모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서히 변하는 게 지극히 당연하고, 그래야만 본인도 정신적 충격을 덜 받을 것이라고 여겨지는데 성형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가 봐요.  제 주변에도 주름살 제거 수술을 받거나 보톡스 주사를 맞는 분들이 더러 있습니다.  나는 그들에게 곧 닥칠 정신적 충격을 생각하면 불안불안하게만 보입니다.  마치 지진의 충격처럼 말이죠.  지진의 원리 아시죠?  지각과 상부 맨틀은 탄성체인 암석으로 되어 있어서 어느 한도까지는 구부러지지만 탄성한도를 넘으면 암석은 깨지고 그때 발생한 진동이지표에 전달됨으로써 땅이 흔들리는 원리죠.  즉 사람의 성형이라는 게 시간을 거스르는 행위이거나 자신의 외모에 자신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도피 행위잖아요?  영원히 시간을 붙잡을 수는 없는 법입니다.  어느 날 의학적 도움으로도 어찌할 수 없는 순간에 이르렀을 때 본인이 받을 충격은 지진의 충격과 맞먹지 않을까요?

 

둘째는 나이가 들어서도 자연과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죠.  사람은 어차피 한 번 죽게 마련이고 자연으로 되돌아가는 게 너무도 당연하죠.  그럼에도 몇몇 나이든 분들은 자신이 마치 천 년 만 년 살 것처럼 자연을 파괴하는 일에만 몰두합니다.  참으로 한심하기 그지없는 일이죠.  어느 정도 나이를 먹으면 생태학자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자연에 대한 경외심은 저절로 생겨나는 게 당연하지 않을까요? 살아 있는 생명에 대한 감사와, 생동하는 어린 생명력에 대한 찬미와, 나를 둘러싼 모든 자연에 대한 인식이 자신도 모르게 솟아나야 마땅하거늘 개인의 들끓는 욕심은 나이도 잊게 하는가 봅니다.

 

제 눈에 비친 꼴불견도 나열하자면 이보다 한참이나 더 많습니다만 그만하렵니다.  제가 오히려 이상한 놈으로 보일까 봐서요.  저는 제 곁에서 자연스럽게 주름이 지는 제 아내가 더할 수 없이 사랑스럽고 고맙습니다.  제 아이의 놀라운 생명력도 감탄스럽구요.

 

오늘 아침에는 창밖으로 가는 빗소리와 새소리, 그리고 자동차 소리 등 이러저러한 삶의 소리가 한꺼번에 들려오더군요.  이런 기회는 의외로 많지 않습니다.  우리는 모든 소리를 선별적으로 듣기 때문입니다.  외부 환경에 자리를 펴듯 마음을 펼쳐 놓지 않으면 이런 소리들은 결코 신의 연주곡처럼 들리지 않거든요.

 

나이 드는 것에 대한 감사가 늘어날수록, 나이 든 사람들이 평화롭고 여유로워 보일수록 우리의 젊은이들도 나이 든 사람들을 더욱 존경하지 않을까요?  그렇게 되기 위해서 자연스럽게 나이 드는 것을 배우고 시간을 멈추려는 해괴한 짓거리는 당장 멈추어야 할 것입니다.  우리 사회에는 존경받지 못할 어른들이 너무도 많습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후즈음 2013-09-13 14: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비슷하게 느끼는 부분중에 하나가 나이를 먹을 수록 주변 사람들에 대한 서운함이 사라지는 부분이에요. 옛날은 연락 안하는 친구들이 너무 섭섭하고 그랬는데 지금은 그냥 그들도 그들의 삶을 살아가고 있고, 가끔 결혼식, 아이들 돌...뭐 이런 행사때 얼굴 보는게 어디냐..그렇게 생각하니 섭섭한것도 없어요..

꼼쥐 2013-09-24 13:35   좋아요 0 | URL
그렇죠?
어쩌면 열정이 식어 무덤덤해졌다고 부정적으로 평할 수도 있겠지만 제 생각엔 나이가 들수록 여유롭고 편해졌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