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채 3부작
막상스 페르민 지음, 임선기 옮김 / 난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막상스 페르민의 <눈>은 한 권의 소설인 동시에 시집이며 시집인 동시에 소설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작가가 추구하고자 했던 목표는 분명한 듯 보인다. 궁극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가장 적절한 수단은 '시'이며 인간이 닿을 수 있는 궁극의 아름다움은 결국 소설에서 집약되는 '눈'이라는 것이다. '눈(雪)'은 백색인 동시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無)이며 '눈멂'을 통한 흑색 공간과도 맞닿아 있다. 어쩌면 이 소설은 한 편의 꿈인 동시에 어느 날 꿈속에서 보았던 아련한 환상일지도 모른다.


"생일날 아침 유코는 은빛 강가에서 말했다. "아버지, 저는 시인이 되고 싶습니다."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였지만 승려의 미간이 깊은 실망을 나타내며 찌푸려졌다. 태양이 물결무늬에서 반짝이고 있었다. 개복치 한 마리가 자작나무들 사이를 지나 나무다리 아래에서 사라졌다. "시는 직업이 아니야. 시간을 흘려보내는 거지. 한 편의 시는 한 편의 흘러가는 물이다. 이 강물처럼 말이다." 유코는 고요하게 흘러 사라지는 강을 깊이 바라보았다."  (p.11)


신도 승려였던 유코의 아버지는 아들 유코가 승려 혹은 군인이 되길 바랐다. 유코는 결국 아버지와의 타협책으로 겨울에만 77편의 시를 쓰기로 한다. 눈에 매료되었고, 7을 숭배하는 시인이었던 까닭이다. 유코의 나이 열일곱 살이었다. 이 또한 의미가 있어서 유코가 쓰는 하이쿠 역시 열일곱 음절로 구성되는(5-7-5) 짧은 시로 한 음절도 더할 수 없다. 눈과 하이쿠에 매료되었던 유코의 시는 외부의 주목을 받게 되고, 궁정 시인이 방문하기에 이른다. 궁정 시인은 유코의 시에 색이 결여된 것을 지적하면서 소세키 선생에게서 배움을 받으라고 제안한다.


소세키 선생을 찾아 나섰던 유코는 도중에 심한 눈보라를 만났다. 유코를 구원한 것은 이미지였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소세키를 구원한 것도 하나의 이미지였다. 주인공 유코와 스승 소세키의 삶이 젊은 여인의 이미지를 통하여 하나로 엮인다. 다만 유코가 보았던 것은 죽어 있는 여인이었고, 무사였던 소세키가 본 것은 '직선의 단 한 줄에 삶과 생명이 걸린' 곡예사, 즉 프랑스 파리에서 온 네에주(눈)였다.


"소세키의 눈에 그녀는 한 편의 시였다. 한 폭의 그림이었고 서예였다. 춤이었고 음악이었다. 그녀는 네에주였다. 눈. 예술의 모든 아름다움의 상징이었다."  (p.78)


네에주와 소세키는 결혼하여 딸(봄눈송이)을 낳고 한동안 행복한 나날을 보낸다. 네에주가 마지막 줄타기 공연을 시도하기 전까지. 네에주의 공연을 보기 위해 전국에서 몰려온 사함들. 너무도 높은 곳에서 하얀 점처럼 나아가던 그녀는 줄이 끊어짐과 동시에 추락하여 사라진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소세키는 모든 것을 버리고 딸의 교육과 예술에 전념한다. 밤낮으로 자신의 아내를 그리며 눈을 혹사하던 소세키는 실명하고 만다. 유코는 자신이 보았던 네에주의 시신을 소세키에게 알린다. 유코의 말이 진실이라는 걸 알지만 소세키는 네에주를 보러 가자는 유코의 제안을 거절한다. 그리고 자신이 갈고닦은 예술을 유코에게 가르친다.


"시인에게 가장 어려운 일은 시쓰기라는 줄 위에 계속 머물러 있는 일일세. 삶의 매 순간을 꿈의 높이에서 사는 일, 상상의 줄에서 한순간도 내려오지 않는 일일세. 그런 언어의 곡예사사 되는 일이 가장 어려운 일일세." (p.100)


소세키는 네에주 옆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반면 실의에 빠져 집으로 돌아온 유코는 다채로운 색의 시를 쓰기 시작했다. 그리고 1년이 흐른 어느 날 봄눈송이가 찾아온다. 유코는 봄눈송이와 혼인한다. 유코는 궁정 시인의 길을 포기하고, 봄눈송이는 곡예사가 되기를 포기한다. 그리고 둘은 사랑한다.


8,90년대를 지나쳐 온 사람들은 시에 대한 막연한 부채의식을 지니고 있는지도 모른다. 권력의 속박으로부터 해방되는 제도적 자유를 꿈꾸던 그 시절에 시는 곧 영혼의 탈출구였고, 욕망의 해방구였으며, 궁극의 아름다움이었다. 시는 작가가 정의하지 않은 무한의 아름다움이었으며, 구석구석 묘사하지 않은 상상의 공간이었으며, 흰 여백에 그려진 나만의 꿈이었다. 수많은 '계절들이 시간의 모래시계 속에서 떨어져 내'리는 동안 '시간이 되면 언젠가 시를 읽어야지.' 하는 생각이 움켜쥔 손 안에서 화석처럼 구르고 있었다. 앤 카슨의 소설 <빨강의 자서전>을 떠올리게 하는 막상스 페르민의 <눈>. <눈>을 읽는다는 건 우리가 닿을 수 없는 궁극의 아름다움을 깨닫는 일인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