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게으른 시인의 이야기
최승자 지음 / 난다 / 2021년 11월
평점 :
시인의 산문집을 좋아한다. 콕 집어 좋아할 만한 뚜렷한 이유를 발견하지는 못했지만 시인 특유의 섬세함과 글에 담긴 웅숭깊은 사유가 어쩌면 우둔한 나에게도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았나 싶다. 시에 대한 이해가 일천한 나로서는 시보다는 산문집이 오히려 읽기에도 편하고 낯설지 않아서 좋았는지도 모른다. 그러다 보니 지나친 허세가 발동하는 경우도 종종 있어서 시인이 아닌 일반 에세이스트의 글을 하찮게 여기거나 책을 다 읽은 후에도 '이걸 글이라고 썼나? 내용도 빈약하고 표현도 거칠고...' 하는 식의 박한 평을 늘어놓는 것이다. 물론 남들 들으라고 입 밖으로 내는 경우는 지금껏 단 한 번도 없었지만 말이다. 그러나 책을 쓴 당사자는 허투루 한 나의 말에 몹시도 귀가 가렵지 않았을까.
"방법적 꿈은 과거도 현재도 미래도 갖고 있지 않고, 따라서 기억도 상처도 못 이룰 희망도 갖고 있지 않다. 나는 그 존재하지 않는 시간의 향기로운 사탕발림 속에서 내가 공상으로 절여두었던 맛있는 것들을 한 입씩 꺼내 먹는다. 그렇게, 과거를 가진 기억과 시간 밖에 존재하는 방법적 비몽사몽 사이에서 나의 정신은 진자운동을 거듭한다." (p.21)
최승자 시인의 산문집 <한 게으른 시인의 이야기> 역시 제목에 섞인 '시인'이라는 두 글자가 나의 시선을 사로잡았음은 두말할 것도 없다. '가거라, 사랑인지 사람인지,/사랑한다는 것은 너를 위해 죽는 게 아니다.// 사랑한다는 것은 너를 위해/살아,/기다리는 것이다./다만 무참히 꺾여지기 위하여.'라고 썼던 시인의 시구와 문장으로 이어지지 않는 몇몇 시구들이 마치 오래된 어느 궁궐의 조각난 기왓장처럼 내 기억의 발길에 차여 뒹굴 뿐 시인에 대한 존경이나 독자로서의 팬심이 나를 사로잡았던 건 아니다. 인연이란 그저 시간의 벌판에서 마주치는 하나의 우연에 지나지 않는다.
"그때부터 나는 이 고독이라는 어휘와 그것이 뒤에 후광처럼 거느리고 있는 어떤 분위기에 집착하기 시작했다. 나는 고독을 연기해보고 싶었다. 아니 이런 말이 있을 수 있다면, 나는 고독을 실행해보고 싶었다. 그렇게 하여 내 유년기 최초의 고독 연습이 시작되었다." (p.106)
거친 피부와 광대뼈가 불쑥 솟은 시인의 얼굴은 신산스러웠을 어떤 삶과 연결 지어지곤 한다. 그것이 꼭 시인 자신의 삶은 아니었을지라도 그런 얼굴이 갖는 이미지는 어쩌면 고독, 죽음, 우울, 가난, 지병 등 온갖 부정적인 단어들과 연결된 채 더 이상 근접할 수 없는 어떤 거리감을 유지하게 한다. 온갖 어두운 그늘이 얼굴 전체에 덕지덕지 붙은 누군가를 바라보면 볼수록 나 역시 질긴 삶의 악연에 손목을 낚아채일 것 같은 느낌. 시인에게선 그런 불길한 징후가 풍기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시인이 알고 있는 삶의 이면을 반드시 알아내야만 할 것 같은 어떤 책임감에 사로잡히는 것이다.
"카발라가 유대 신비주의라면 수피즘은 이슬람 신비주의인데, 수피즘은 이론보다는 주로 시와 우화를 통해서 가르치지. 재미있는 것은 모든 신비 체계에는 죽음의 주제가 나오는데, 그건 바로 재탄생 혹은 부활의 주제라고 할 수 있지. 죽지 않으면 재탄생, 부활이 가능하지 않으니까. 그러네 그 경우 죽음이란 우리가 두려워 마지않는 물질적, 육체적 죽음의 극복을 뜻하고, 그건 달리 말하자면 죽음이란 없음을 깨닫는 것을 뜻하지. 육체적 죽음이 마지막 목적지로 정해져 있는 인생 프로그램에서 죽음이란 없음을 뜻하는 것, 즉 '죽음'의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은 모든 신비 체계의 클라이맥스이고, 연금술에서 말하는 현자의 돌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거야." (p.168~p.169)
시인은 에둘러 말하는 법을 알고 있는 사람이다. 그러나 자신이 쓰는 산문집의 모든 글을 에둘러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시에서 잘 드러나지 않던 시인의 본모습은 산문에서 더 뚜렷이 드러날 수밖에 없다. 독자들에게 자신의 적나라한 실체를 드러낸다는 건 시인에게도, 우리와 같은 장삼이사에게도 불편하고 꺼려지는 일임에 분명하다. 시인이 산문집의 출간을 꺼리는 하나의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본업이 아니기도 하지만 말이다. 그러나 독자들의 욕심은 끝이 없어서 감추고 싶은 시인의 속내를 끝내 들추어내고 만다. 시인의 기억 속에서 '기억의 병균들'을 끝도 없이 끌어올려 현재라는 도마 위에서 무참히 난도질하는 풍경은 차마 볼 수가 없다. 시인의 산문집을 사랑하는 나는 오늘에서야 비로소 죄책감을 느낀다. 부끄럽고 또 부끄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