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유시민 작가가 나와 대화 하던 중에 유럽은 천년동안 국가가 없었다는 말이 귀에 들어왔다. 유럽사에 대해 전혀 모르는 나지만, 과학사를 읽다보면 아무래도 중세 유럽사에 대한 약간의 지식들을 줍곤 한다.
야마모토 요시타카는 일본 학자지만 고대 그리스를 시작으로 과학사(정확하게는 책제목이 자력과 중력의 발견)를 썼는데, 이게 재밌는게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자석과 중력에 대한 서술을 한 후, 신기하게도 유럽 중심부인 11세기로 넘어 온다. 근 천년의 세기가 빠져 있다.
읽었을 때만 해도 별 생각 없었는데, 유시민 작가의 말을 듣고 순간적으로 과학의 탄생에서 천년의 세기가 왜 빠진 체, 고대 그리스에서 11세기로 넘어왔는지 짐작이 갔다. 천년 동안 종교 지배 후, 상업의 발달은 유력한 가문들이 생겼고 이탈리아 같은 경우는 종교와 예술이 만나 르네상스 문화가 융성하였으며, 이 때 학문도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우리는 갈릴레이의 과학 논문들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다.
갈릴레이 이후, 과학과 수학은 유럽 곳곳에서 발현되었지만, 지역이 통합 되지 않었기에, 몇 몇의 자연 과학자들의 논문만 널리 읽히곤 하였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갈릴레이 이후, 근대 과학이 탄생한 영국이 과학 선진국으로 나아갈 수 있었던 건 유럽 본토와 달리, 유럽 대륙과 떨어진 체 영국이라는 국가의 정체성이 확립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유럽 대륙이 지역분쟁으로 하나의 국가라는 정체성을 획득한 건 18, 19세기로 알고 있다. 예를 들어, 동시대에 미적분을 발명한 뉴턴과 라이프니츠 위상이 후대에 엄청난 차이를 나타난 건 영국은 한 영토에서 (그 영토안에서 지지고 볶아도 런던을 중심으로 한) 역사의 한 줄기가 이어져 와, 뉴턴으로 이어지는 과학자를 양성하면서 대영제국의 자부심으로 전 세계에 알렸지만,
독일은 저 때만 해도 지역 분쟁으로 갈라져서 라이프니츠의 업적은 프랑스에서 더 알려졌다. 후에 영토를 통일하고 독일이라는 국가를 정립한 후에야 라이프니츠의 업적을 기렸지만 이 마저도 동/서독으로 분단되면서, 라이프니츠 대학이라고 명칭한 대학을 다른 이름으로 명명했다가 독일이 통일되면거 라이프니츠 대학으로 공식 명칭화 하였다.
뉴턴의 미적분도 많이 쓰이지만 라이프니츠의 미적분이 더 널리 이용됨에도 불구하고 미적분하면 뉴턴이라는 이름이 연상되는데는 영국이라는 국가 정체성이 확립되었기 때문이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