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외딴 마을에 가난한 가족이 살고 있다. 다큐멘터리 PD가 그 집에 방문한다. 가족들은 손님을 위해 이것저것 음식을 준비한다. 그들은 모두 환하게 웃고있다. 방문을 마친 PD는 집앞에 서서 말한다." 참 아름답지 않나. 가난해도 이들은 행복해 보인다." PD에게 묻고 싶다. 손님이 집에 찾아왔는데, 그것도 카메라를 들고 들어왔는데 거기다 찡그리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거기서 어제 다툰일을 꺼내 투닥투닥 싸우는 부부가 있을까? 무엇을 위한 해석인가? 누구를 위한 해석인가? 왜 유독 가난은 쉽게 해석되어지는가? 


혐오의 대상을 구별하는 핵심은 몸이다. 몸이 차별의 근거가 된다. 혐오는 이분법을 타고 흐른다. 남성/여성, 문명/야만, 장애/비장애, 젊음/늙음…. 이분법에는 위계가 있고 혐오는 은유를 타고 확장된다. 젊음은 혁신의 은유, 남자답다는 용기의 은유, 아름다움은 선함의 은유가 된다. 은유에는 논리가 없고 설명이 필요 없다. 스며들 뿐이다. 맞서 싸우기 힘들다. 그래서 몸의 차이를 근거로 차별하면 쉽게 오래 착취할 수 있다. 착취당하는 사람 스스로 자신을 혐오하게 되니까. P.11


내 몸은 과연 내것인가? 질문한다. 여성의 몸은 과연 여성의 것인가? 노동자의 몸은 과연 노동자의 것인가? 장애인의 몸은 장애인의 것인가? '그렇다'라고 할 수 있으려면 주체의 의지대로 '몸'이 살아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주체가 필요로 할때 '안전'한 장소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여성들에게 '집', '화장실'은 안전한가? 장애인들에게 '이동'은 안전한 것인가? 노동자들에게 '일터'는 안전한가?



왜 어떤 '몸'들은 유독 사회적인가?



특권은 편안함이다. 너무 자연스러워 특권을 누리는 게 느껴지지도 않아야 일상적 특권이다. 피부색, 성별, 가난 탓에 자기가 타인에게 어떻게 보일지 매 순간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자유다. 타인의 시선, 타인의 시선으로 자신을 보는 자기 시선, 그 시선을 회의하는 또 다른 자기 시선, 이 모든 시선에 신경 쓸 필요가 없는 거다. 그 시선들의 투쟁이 일어나는 복잡한 마음을 알지도 못하면서 묻는다. ‘그걸 왜 못 해?’ ‘왜 그렇게 꼬였어?’ P.74


*https://n.news.naver.com/article/002/0002241492?cds=news_media_pc   뉴스기사

얼평,몸평하는 사회. 혐오의 뿌리는 우리들의 몸





*https://www.ytn.co.kr/_ln/0103_202205010525069459    뉴스기사

중대재해법 도입 석 달 동안 59명 사망 "죽지 않을 권리"



'근로자의 날'이다. 노동계는 법의 한계를 지적하며 '법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하고 경영계는 '감정적인 처벌보다 예방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경영책임자의 처벌수위는 최대 징역1년이다)


*https://www.ytn.co.kr/_ln/0103_202205010525069459   뉴스영상





어떤 사람들의 목소리는 죽어야 들린다. 

하지만 어떤 이들의 목소리는 아무리 계속 죽어도 잘 들리지가 않는다.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5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22-05-01 16:5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아무리 죽어도 그 목소리가 아직도 안 들리니
정말 😠 😡 얼마나 더 희생되어야 한답니까 ㅠㅠ 티비에 보이는 게 다가 아닌데 우린 쉽게 단정하는 오류를 늘 범하지요. 편안함의 특권을 누리고 사는 대개의 우리는 그게 특권인 줄 모르고 살아요. 잃어보면 공짜가 아니었다는 걸 조금이라도 느끼게 됩니다.

청아 2022-05-01 12:57   좋아요 5 | URL
얼마나 더 희생되어야 주목받게 될까요 무뎌지는것만큼 무서운것도 없는듯 합니다. 시간 지나면 흐지부지...늘 권력자들의 목소리만 크게 들리니 답답한 일이죠. 네! 특권을 의식하도록 애쓴다면 목소리가 좀더 들릴듯합니다.^^*

mini74 2022-05-01 13:10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예전 기사에서 문제가 된 단톡방들 수위가 올라왔는데 댓글이, 그 정도는 괜찮지 않냐 까탈스럽다 등등 ㅠㅠ아직도 여전히 피해당한 사실을 말하면 가해자가 되어 까탈스러운 사람이 되어 있더라고요 여성과 관련된 신체 , 모성애 등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발언권을 가지는 기득권이 백인 남성이라고 하던 여성과학자 글 생각나요. ㅠㅠ

청아 2022-05-01 13:16   좋아요 4 | URL
여성의 ‘몸‘에 관한 멸칭도 너무 많은데 실제로는 비만도 남성비만이 여성의 두배라는 기사를 최근 읽었어요.
정작 특권층일수록 ‘몸‘은 전혀 문제가 안되고 ‘개인적일 수‘ 있다는 사실이 웃프네요. ^^;

새파랑 2022-05-01 15:04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이 없어지는 세상이 언제쯤 올까요? ㅎ 이런 사례를 보면 성악설이 맞는거 같기도 해요 ~ 좀 더 연민어린, 공감하는 생각이 많아지길 바랄 뿐입니다 ^^

청아 2022-05-01 15:24   좋아요 3 | URL
워낙 위계적 사회가 공고해서,일부 사회학자들의 주장처럼 그런 날은 아예 오지 않을지도 모르죠. 그래도 자꾸 목소리가 들리도록 귀기울이고 싶어요^^*

페넬로페 2022-05-01 15:44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저는 요즘 뉴스란의 댓글 보기가 무서워요. 어쩜 그렇게 쉽게 말을 내지르는지요. 그들은 도대체 무엇을 추구하는것일까요?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자세히 들여다보지도 않고 그저 혐오만을 합니다. ㅠㅠ
법이라는게, 자본이라는게 누구를 위한 것인지도 의문이고요.
미미님께서 보여주시는 이 문제의식들에 새삼 부끄럽기도 하고 또 많은 관심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는 것 같아요.
언제나 존경합니다♡♡♡♡♡♡

청아 2022-05-01 16:30   좋아요 4 | URL
저도 그래요 페넬로페님! 제가 찾는 이슈관련 댓글들은 약자들에 대한 혐오가 많아서 슬쩍 보기만해도 아찔해요ㅠㅠ 정치인들의 언어가 강력한 동기부여가 되는걸 그들은 곧잘 악용하는것 같아 화도 나고요. 알라딘 하면서 이런저런 리뷰읽고 사회문제에 관심이 더 가더라구요. 항상 깊이 있게 읽고 써주시는 페넬로페님이야말로 제가 마음가득 존경합니다~🥰🥰 공감해주시니 힘도 얻고요!ㅎㅎ

singri 2022-05-01 15:50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중대재해법 지켜라
한명도 죽지않게 예방 해라 경영책임자야

미미님 목소리가 자꾸 퍼지길 바랍니다ㅡㅡ

청아 2022-05-01 16:34   좋아요 5 | URL
작년에 비해 같은 기간 사망자 수치가 단 3명 줄었다는데 중대재해법이 무리하다는 경제계.

언제까지 인간 존엄을 위한 기초적인 합의에서 매번 분노하고 싸워야 하는것인지 의문입니다.ㅡㅡ;

scott 2022-05-01 16:59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동남아 외딴 마을에서 일어나고 있는 노동 착취!
특히 여성과 아이들 ㅜ.ㅜ
5월 싱그러움으로 가득차야 할 계절에

우울한 소식만 가득합니다 ㅜ.ㅜ

청아 2022-05-01 17:18   좋아요 3 | URL
그렇죠! 정작 다큐가 다루어야 할 숨겨진 사실들.
우크라이나 전쟁도 장기화 될것같아요 5월 가정의 달. 타국의 가정들도 안정속에
평온해졌으면 좋겠어요ㅠ

스콧님 페이퍼보고 오늘 그래도 힐링이었습니다^^*

얄라알라 2022-05-01 17:5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왜 어떤 ‘몸‘들은 유독 사회적인가?˝

어제 내내 레이디 시크릿 완독하면서, 거칠게 들었던 질문들과도 연결되는 미미님의 질문, 담아가 계속 생각하겠습니다...

일관되게 미미님께서 목소리 내주셔서, 부끄럽지만 읽으며 따라가겠습니다

청아 2022-05-01 18:31   좋아요 3 | URL
얄라알라님도 완독하셨군요! 수고하셨어요^^*

유독 사회적인 ‘몸들‘은
유독 사회적 ‘약자‘네요.

미흡하고 부족한것 투성인데 공감해주시고 귀기울여주시니 항상 감사드려요

희선 2022-05-02 01:3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죽어야 들리는 목소리라니... 죽어도 들리지 않는 목소리가 더 많겠군요 들었다 해도 모르는 척하고... 일하는 곳에서 같은 사고가 자꾸 일어나기도 하더군요 그런 일이 일어나면 일하는 사람한테 책임이 있다는 식으로 말하기도 하고, 더 안전하게 일하게 해줘야 하는데...


희선

청아 2022-05-02 09:25   좋아요 2 | URL
네! 중대재해법 시행뒤에도 사망사건이 발생되고 나서 증거인멸 정황, 허위진술 종용등이 있었다고해요.
법이 자리를 잡으려면 오래 걸릴듯 한데 새정부가 이 법안마저 축소하거나 없앨까봐 걱정입니다.
일터가 안전한건 너무나 당연한데 말이죠.

희선님 평온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