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동네 초등학교 앞을 지나가는데 교문앞에 특정 종목의 운동에서 1등을 한 어린이의 사진이 이름과 함께 걸려 있었다. 내가 고등학교에 다닐때만 해도 2등과 3등까지는 이름이 올랐는데 어제 본 초등학교 현수막에는 오직 1등 뿐이었던 것이다. 해당 대회에 참가했던, 1등을 하지 못한 아이들은 그 현수막을 보며 어떤 생각을 할까. 참여의 기쁨을 가르칠줄 모르는 학교의 배려없음에 기가찼다.
이런 것들을 전에는 잘 보지 못했다. 한국사회는 상당 기간동안 불평등에서 비롯된 상실에 힘겨워하고 있는데 그 뿌리가 무엇인지, 무엇이 상실되고 있는것인지 모호해서 정확하게 감을 잡지 못했다. 웬디 브라운의 '남성됨과 정치'를 읽으며 한국사회가 '상실'하고 있는 것들에 좀 더 다가가게 된것같다.
노예는 여가/시간 없는 사람을 뜻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를 빌려 시간의 사회정치적 의미를 이야기한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의 저자 더글러스 러미스에 따르면 과로+성과체제에 속한 우리 대부분은 노예의 범주에 들 것이다. (...)민주주의의 필요요건은 사회에 여가, 자유시간이 있어야 한다. 여가가 없으면 민주주의가 성립하지 않는다.(...)사람들이 모여 의논을 하고 합의를 하고 정치에 참가하는데에는 시간이 걸린다.p.270,존버씨의 죽음
한국은 독일보다 대체로 5개월을 더 일한다고 한다. 5주도 아니고 5개월이다. 이렇게 쉬지못하고 일을 하는데도 평생 내집마련은 커녕 시민들에게 정치를 들여다볼 여력이 남아있을리 없다. 바쁜 와중에 귀에 들리고 눈에 들어오는 정치 이슈는 이성도 논리도 없어서 혐오를 일으킬 뿐이다. 이런 혐오로 인한 무관심을 이용해 무책임한 정치인들은 자기들 밥그릇 싸움에 열을 올린다. 웬디 브라운은 현실과 동떨어진 정치의 배경에 과거 정치 사상가들의 지배, 착취의 남성됨의 이데올로기가 있음을 밝힌다.
남성이 노예,여성,동물의 육체에 대한 통제권을 얻으면, 이들은 오직 남성의 욕구 파악과 충족을 통해서만 인간의 구조에서 생존과 장소를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정신까지 남성의 욕구에 바치게 된다.(...)미시적으로 볼 때 여기에는 주인과 노예, 남편과 가족, 인간과 동물, 정치의 영역과 필요의 영역등의 '자연스러운'관계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식화가 있다.p.107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마키아벨리를 거쳐 막스베버에 이르기까지 이 사상가들은 이상적인 정치를 위해 그것을 다루는 남성됨의 목표를 비현실적으로 잡아갔다. 이들은 각자 자신의 시대를 초월하려 했으며 거기에 여성,노동자,자연은 없었다. 그로인해 정치는 자연스럽게 이들 다수를 배제하고 심지어 혐오했으며 꾸준히 소수만을 위한 이상이 되어왔다. 이런 '소수 남성됨의 정치'에 영향을 받은 다수는 다시 소외되지 않기 위해 소수가 되기 위한 능력주의,성과주의에 몰입한다.
예속적이며 더렵혀지기 쉬운 여성의 지위는 여성이 육체와 동일시되는과정과 철저히 얽혀 있고, 이때 여성의 육체는 개인과 사회를 육체와 정신과 가치 평가하는 또 다른 정신으로 가르는 사회 구조물 내부에 자리한다. 남성은 무엇이든 될 수 있지만, 여성은 생리학에 묶인 존재로서 역사적으로 너무 자주 성적인 측면과 재생산 관련 측면으로 환원되었다.여성이 자연과 동일시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여성의 일상 존재가 생명과 생명에 대한 관심, 즉 출산과 돌봄에 묶이게 된 것도 우연이 아니다. 이런 조합이라면 여성을 정치에 투입하기에 가장 부적절하고 불순한 존재로 보는 것은 그다지 놀랍지 않다. p.357
한국은 급격한 경제성장과 전세계에서 유례없는 민주주의를 꽃피우고 있음에도 불평등과 성과주의로 인한 과로체제가 급속도로 심화되고 있는 극단적인 사례다. 남녀갈등, 세대간 갈등도 심각하고 16년째 자살률1위, 아동 우울증 1위,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률은 25년째 1위라고 한다. 이런 심각한 상황에도 정치상황은 현실 문제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여성의 정치적 입지는 더욱 약화되고 있다. (대의 민주정치라는 헌법정신을 대놓고 무시하는 수구정치,국민 절반인 여성의 '대의'가 없는 정치에서 여성의 목소리는 더욱 작아질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함께 여성정치인이 20프로가 되지 않는 나라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06108&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류호정, 국민의힘 여성할당제 폐지 움직임에 나쁜 정치 일침
이것은 한국정치가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는 대의 정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50대 남성위주의 기존질서에 매여있기 때문이다. 근대 정치의 틀을 잡았다는 막스베버는 무려 100년전 사람이다. 지금의 정치는 과거 베버가 꿈꾸던 소수 카르스마있는 정치인들만으로 꾸리기에 보다 변화무쌍하고 국제관계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제 과거에서 벗어나 정치가 현실에 뿌리내려야 한다.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듯 현실을 아프게 하는 정치는 더이상 정치가 아니다.
http://www.segye.com/newsView/20220117518396?OutUrl=naver
철옹성이 된 기득권 중심주의
http://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96298
국회의원 평균연령 55.5세
너무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ㅡ김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