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작품의 잔잔한 물결에 발을 적시다가 서서히 옷이 젖는걸 느낀다. 일렁이는 파도에 한동안 뒤뚱거리다가 그만 왈칵 눈물을 쏟았다. -미미


20세기 페미니즘 소설의 선구자로 알려진 케이트 쇼팽의 소설을 이번에 처음으로 읽었다. 당시 이 소설은 여성, 특히 가정의 수호자가 되어야 할 '어머니'인 여성의 일탈을 소재로 해 사회로부터 비난받았다. 출판사 소개에 따르면 금서가 되어 도서관에서도 거부당했고 아마도 이로 인해 케이트 쇼팽은 더이상 활발하게 창작활동을 하지 않았던 것 같다. 이 소설을 읽은 나로썬 참으로 개탄할 일이다.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소설에 금기는 있어서는 안된다고. 소설은 어쩔수 없이 그 시대를 반영하기도 하지만 뛰어넘기도 해야한다. 이른바 '도덕'도 넘어설 수 있는 것이 소설이다. 미디어와는 다르다. 현실에서 경험할 수 없는 것도 소재로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야 상상력이 힘을 얻는다. 또한 그래서 소설은 독재자들에게 위험한 경계의 대상이었다. 누군가의 상상력에 한계를 두는것은 누구에게도 권리가 없다. 다만 예술과 소설에 한해서 그런 자율권이 주어져야 한다고 나는 믿는다. (그 외의 것은 법의 테두리 안에 있다.) 지금의 금기가 다음 세계에서는 다른 것일수도 있다. 시대에 발이 묶인 독자는 작가에게 족쇄를 채우는 오만함을 경계해야한다. 작품은 인간보다 생명이 길고 시대를 넘어서 재평가된다.


줄거리는 이렇다. 사업을 하는 남편과 두 아이를 두고 남부러울것 없이 살아가던 '에드나 퐁텔리에'는 휴양지에서 '로베르'라는 청년을 만나 자주 함께 시간을 보내게 된다. 그러다 '로베르'를 점점 좋아하게 되고 그 또한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자유롭지 못한 그녀의 상황에 로베르는 자신의 감정을 숨기고 멕시코로 떠나게 되는데 그의 빈자리를 통해 에드나는 자신의 감정에 비로소 눈을 뜨고 더불어 속박당하지 않는 자유로운 삶의 필요성을 자각한다. 에드나는 그렇게 로베르가 떠난 뒤부터 서서히 자신의 정체성을 찾게된다. 사랑과 고통을 오롯이 경험하며 그 모든 것들이 삶을 보다 충만하게 한다는걸 깨닫는다. 


무엇보다 이제야 비로소 알 것 같았다. 뭔가 이해한 듯한 기분도 들었다. 눈앞을 가리던 뿌연 안개가 걷혀, 삶이란 것이, 그 괴물처럼 아름다우면서도 잔인한 것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조금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 P176


'에드나'는 점차 남편 퐁펠리에의 아내가 아닌 자신의 삶의 주인공이 되어간다. 그리고 결국 로베르를 만나 진심을 전하게 되는데...이야기가 진행되는 내내 특별한? 사건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은 전혀 지루하지가 않았다. 단지 '에드나'의 감정의 변화, 자각의 확산이 서서히 물결치듯 그녀의 삶을 사로잡는 것을 지켜보며 전율하고 감동 받았다. 19세기 후반이었던 당시로서는 분명 이정도도 파격적이었을 것이다. 소설에서도 에드나의 자유를 향한 몇가지 시도에 그녀의 친구가 '쿠테타'라고 표현한다. 지금과 비교하면 사소한 시도일 뿐인데도 말이다. 하층민 여성은 그저 묵묵히 시중들고 노동하는 것으로, 중,상류층의 여성은 온실속의 화초같은 모습이 요구되었을 테니까. 그러나 이 소설은 지금의 우리에게도 분명 파급력을 발휘하리라 믿는다. 케이트 쇼팽이 살았던 시기에 비해 세상은 좀 더 여성에게 관대해졌지만 온전히 여성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아직도 넘어서야 할 수많은 경계와 가시덤불을 지닌 이 세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것이 얼만큼 소중한 것인지 케이트 쇼팽은 묵묵히 소설안에서 질문하고 있는 것 같다.


전통과 편견이라는 평원 위로 날아오르려는 새는 강한 날개를 가져야 해요. 약한 새들이 상처 입고 지쳐 날개를 퍼덕이며 다시 지상으로 낙하하는 모습은 서글픈 광경이에요. - P174



  

  

  















댓글(21)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2-01-12 15:18   좋아요 8 | 댓글달기 | URL
케이트 쇼팽이 쉰네 살나이로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14년 동안 두편의 장편 기타 단편을 발표 했죠. 격변의 20세기 자신의 이름이 새겨진 작품을 발표한 것만으로도 대단한 용기! 이 작품 <각성>의 에드나의 삶이 <인형의 집>노라의 삶과 중첩 되네요 ^^

미미 2022-01-12 15:24   좋아요 7 | URL
그렇네요!!<인형의 집>은 워낙 오래전에 읽어서 가물가물해요. 스콧님이 말씀해주시니 다시 읽어보고싶어집니다ㅎㅎ
쉰네살에 떠났다니 너무 짧았군요. 나머지도 다 궁금합니다^^*

그레이스 2022-01-12 17:37   좋아요 2 | URL
저도 <인형의 집> 생각했어요^^

persona 2022-01-12 15:27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저도 작품에 도덕적인 잣대 들이대기는 좀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편인데 우리나라가 유독 또 그런게 심한 편인 거 같기도 해요. 안맞는 책 읽고 까는 게 차라리 건강한 거 같아요. 그런데 여성작가들에 대해선 너무도 당연하게 이런 생각이 드는데 남성 작가들에 대해서도 이렇게 말할 수 있느냐에 자신할 수는 없더라고요. ^^;; 예를 들어 서정주의 시나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이나 김훈의 칼의 노래를 한때는 모두가 좋아하고 필사하고 했는데 이제는 작가들 이름을 언급하는 것만으로도 작가 지망생들 모임 같은데서는 분위기 싸해지곤 할 정도니까요. 왜 보이콧하지 않느냐고요. 이런 부분 생각하면 마음이 괜히 복잡해요.
한편 저는 한때 유미주의자를 정말 아주 단호히 싫어했었는데 제가 자라고 나니 유미주의자더구만요. 그래서 김동인을 미워하던 스탠스를 계속 취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는 저를 보면 스스로 심란하기도 합니다. ;; 이게 은근 저에겐 고민이고 주된 내적 갈등이고 그래요. 그러나 어느 방향이든 다른 사람들 생각은 응원합니다. 저도 많이 보고 배우고 제 갈 길 정해보려고요.
저도 마침 실비아 플라스가 자꾸만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대목을 보니까 오늘 너무 마음이 아프더라고요.

미미 2022-01-12 16:11   좋아요 6 | URL
갑자기 문자받고 부랴부랴 선별진료소 다녀오느라 이제 봤네요ㅠㅠ 페르소나님 넘 좋은말씀이세요!! 분명 여성들에게는 다른 잣대가 있죠. 심지어 ‘82김지영‘은 읽었다는것 만으로도 비난받으니 말다한거죠. 입장이란게 어느 위치에서 어떤 상황에 처해있느냐에따라 시시각각 달라지는것 같아요. 저도 되도록 포용하자는 입장이긴한데 케이트 쇼팽이 처했던 상황에 그만 속상해지더라구요. 실비아 플라스는 어떤 사정인지 궁금하네요 찾아봐야겠어요ㅎㅎ🤭

persona 2022-01-12 16:21   좋아요 5 | URL
정말 그것도 그래요. 공감 안할 수 없는 소설인데 영화도, 소설도 보는 것만으로도 불편하게 생각하는 게요. 참. 그 소설로 인해서 남녀 시각차가 엄청나다는 걸 깨닫게 됐어요.

미미 2022-01-12 16:24   좋아요 5 | URL
네! 여성은 문학적 표현도 정치적 발언권도 너무나 협소한 현실인거죠.ㅠㅜ

페넬로페 2022-01-12 17:30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케이트 쇼팽의 책이 제법 많이 있네요.
살아가면서, 결혼을 하든, 하지 않든
우리는 여러 번 정체성과 생각의 변화를 겪는데 그것이 당연시되어야 하는데 제약받는다는게 참 슬프네요^^

미미 2022-01-12 16:13   좋아요 6 | URL
네!!ㅎㅎ은근 많아서 저도 놀랐어요. 왜여태 한번도 읽어보지 않았을까 안타깝기도 했고요. 잔잔한데 별10개쯤 주고싶을만큼 은은한 감동이 있었어요^^*

Jeremy 2022-01-12 17:1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 책 마음에 드셨으면 제가 ˝The Awakening˝ 과
Kate Chopin 관련해서 찾은 portal 들을
거의 집대성해놓은 것 같은 이 Site 한 번 훑어 보세요.
You might like it.
https://www.katechopin.org/the-awakening/


미미 2022-01-12 17:34   좋아요 3 | URL
와!!!!지금 들어가봤는데 정말 훌륭합니다👍👍
감사히 읽어볼께요♡^^♡

mini74 2022-01-12 17:32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누구의 아내가 아니라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이군요. 미미님 글이 너무 좋아요. 정체성을 찾기위한 쿠데타 ~~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미미님 ~~ 헉 미미님 선별진료소 갔다오신거예요? 별일없으신거죠?ㅠㅠ

미미 2022-01-12 17:37   좋아요 4 | URL
네! 제가 도서관에 간날 확진자가 들렀나봐요ㅠㅠ
워낙 조심하니까 만났어도 옮진 않았을것 같긴하지만 내일 아침까진 불안할듯해요ㅋㅋㅋ미니님 이 작품 너무 좋았어요^^♡

mini74 2022-01-12 17:38   좋아요 4 | URL
아이고 하필 그 날 ㅠㅠ 별일없을거예요. 미미님 저녁 야무지게 잘 챙겨드세요 ㅎㅎ~

미미 2022-01-12 17:39   좋아요 4 | URL
감사해요 미니님~♡안그래도 지금 평소보다 든든히?먹고있어요 헷😉🤧

새파랑 2022-01-12 17:39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예쁜누나 미미님 선별진료소 다녀오셨군요.검사받을때 많이 아프던데 ㅜㅜ 저도 너무 읽고싶었던 책인데 벌써 이렇게 턱 리뷰를 남겨주셨군요~! 실눈 뜨고 리뷰 읽었는데 완전 흥미롭습니다~!! 검사결과는 당연히 음성에 적립금을 겁니다. 걱정하지 마세요 ^^

미미 2022-01-12 17:43   좋아요 4 | URL
그렇게 불러주시니 새삼 부끄럽네요ㅋㅋㅋ제가 넘 그 별명을 강조했나봅니다ㅋㅋ도서관에서 빌렸는데 소장각이예요! 친구한테도 벌써 홍보하고 있음요. 적립금 감동입니다🥲👍

Jeremy 2022-01-12 18:0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Public Domain 에 속한 책이라서 영어로는 그냥 읽을 수 있어요.
미미님이 인용하신 새에 대한 구절, - P174
표현 참 좋지 않나요?

˝The bird that would soar above the level plain of tradition and prejudice
must have strong wings.
It is a sad spectacle to see the weaklings
bruised, exhausted, fluttering back to earth.”

제가 제일 좋아하는 구절은 Chapter VI 중

˝The voice of the sea is seductive;
never ceasing, whispering, clamoring, murmuring, inviting
the soul to wander for a spell in abysses of solitude;
to lose itself in mazes of inward contemplation.
The voice of the sea speaks to the soul.
The touch of the sea is sensuous,
enfolding the body in its soft, close embrace.˝

>>>Sexuality & Self-expression
그리고 그런 자유 Freedom 가 불러올 어쩔 수 없는 고독 Solitude,
이 모든 것의 상징 Symbol 인 매혹적인 Seductive 바다!


미미 2022-01-12 18:09   좋아요 3 | URL
새에 대한 구절 참 좋더라구요.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거예요!그리고 제가 바다에 관해서 리뷰에 더 자세한 언급을 하지 않았던게 좀 많이 아쉽네요! 작품에서 바다가 생각했던 것 이상의 의미가 있는듯해 적어주신 댓글 읽으며 소름 돋았습니다. 이 작품은 역시 재독할 만한 가치가 충분한 것 같아요. 다시 읽을 때 바다에 좀더 집중해서 봐야겠어요~♡♡ 감사해요 Jeremy님!!^^*

책읽는나무 2022-01-12 18:41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자유를 향한 시도가 쿠데타!!ㅜㅜ
그래도 쿠데타는 계속 이어지는 게 여성들의 삶의 변화가 더 클 수 있겠죠?
나중에 한 번 읽어봐야 겠네요!!
미미님도 선별 진료소 다녀 오셨어요?
저도 오늘 오전에 문자 받고 다녀 왔네요ㅜㅜ
전 토요일 잠깐 다녀 왔었는데 동선이 겹쳤었다고....오늘 문자 와서...더 당황!!
애들은 이미 학원 여러 군데 다 돌아다녔었는데???
남편은 근무지에서 아까 검사 받고, 전 울동네 보건소에서 꽥 한 번, 눈물 찔끔하고 왔네요.
이번이 두 번째 받는데 아~~적응 안됩니다ㅜㅜ
별일 없을 거라고 생각은 하는데, 만약 양성이면? 싶어서 뭐부터 준비해야 하나? 뭐 그런 생각을??
암튼...모두가 음성 나와서 무탈하길 빌어봅니다^^

미미 2022-01-12 18:49   좋아요 3 | URL
나무님도 오늘 검사받으셨군요ㅜㅜ무서워요!!! 지뢰밭이 깔린느낌?ㅜ 저는 일요일에 도서관 다녀왔는데 거기 확진자가 왔나봐요. 저도 눈물찔끔했어요. 문자받자마자 초스피드루 날아갔어요. 나무님도 저도, 모두가 부디 무사하기를 바랍니다. 이 소설 좋아요 나무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