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진언니의 해제부터 구구절절 의미심장하다.

p.11 국민은 동질적인 존재 같지만, 실상 사회는 성원권 개념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성원권은 군사화된 보호 개념으로 정의된다. 보호자와 피보호자의 구별과 위계화가 그것이다.
공동체를 지킨다고 자부하는 이들은 보호해야 할 사람과 그렇지 않을 사람을 구별하는 권력을 갖게 된다. 

그것이 배제, 타자화, 혐오이다. 성차별과 젠더 정치의 핵심은, ‘정상 남성‘인 보호자가 남성 문화가 규정한 남성 이외의 사람들을 타자 the others로,
피보호자로, 비非국민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패러다임에서 평화는 외부로부터 ˝지키는 것˝이 된다. 이처럼 평화가 성취의 목표가 되면, 전쟁은 불가피하다. 평화를 지키기 위해 일상은통제된다. ˝나라를 잃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이것이국가주의와 안보 이데올로기의 결합이다.





공동체의 평화는 ‘지키는 이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상호 돌봄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리어든의 주장이다. 국제정치학이만들어내는 국제정치 영역은 젠더가 만들어지는 방식과 유사한이원적 대립에 근거한다. 전쟁/평화, 국외/국내, 질서/혼란, 현실/이상과 같은 이분법에서, 
어느 한편은 성별화性別化된다. 이를테면 질서가 남성적 가치라면, 
혼란은 예측할 수 없는 여성의 심리와 같은 것으로 취급된다. 

국제정치학이 별도의 학문 분과로제도화된 시기가 여성들이 선거권을 획득함으로써 국내 정치에진출하게 된 이후라는 사실은 우연이 아니다.
- P11

리어든은 발상의 전환을 제안한다. "평화는 지키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평화로 가는 길은 없다. 평화가 길이다." 

페미니즘의 주장은 평화를 대상화하거나 목적으로 삼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존의 전쟁과 평화는 반대말이 아니라 같은 말이다. 침략과 정복을 명분으로 내세우는 전쟁은 없다. 모든 전쟁은 정의justice에서 출발한다. 텔레반으로부터 이슬람 여성 같은약자를 보호하고, ‘악의 축인 북한과 같은 깡패 국가로부터‘ 평화를 지킨다는 설득력 있는 명분이 따른다. 

미국의 (우익) 페미니스트들이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지지한 것은 전혀 놀라운일이 아니다. 2018년 한국의 일부 페미니스트들이 난민 수용을거부한 명분 역시 한국 여성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다는 여성주의‘였다.
- P12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4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i74 2021-08-30 14:29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평화가 통제의 도구처럼 쓰이기도 하죠. 겁주기. 구분해서 증오하게 하기. 남녀문제뿐 아니라 지역 인종. 비주류ㅠㅠ 정희진작가님 기획이군요 !!

미미 2021-08-30 14:37   좋아요 6 | URL
네~♡ 아프가니스탄이 지금 그런 모든 상황을 극단적으로 표출하고 있죠ㅠㅠ 정희진님 믿고 고른책인데 역시입니다👍

다락방 2021-08-30 14:59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꺅 >.< 이 책을 읽으십니까. 미미님 멋집니다!!

미미 2021-08-30 15:05   좋아요 5 | URL
정희진님 해제 들어간 책은 필독서네요~♡ 단발머리님 페이퍼보고 챙겼어요😆

바람돌이 2021-08-30 15:01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이런 당연한 논지가 기존의 남성 중심적 안보패러다임앞에 가면 아무 힘이 없어져버리는게 너무 슬퍼요. 이론이 현실앞에서 너무 무기력해지는 순간들이죠.ㅠㅠ

미미 2021-08-30 15:07   좋아요 5 | URL
그러게 말입니다~♡ 막연하게 생각했던 것들이 너무나 잘 정리되어 한 문장 한 문장이 쏙쏙 박힙니다ㅠㅇㅠ

새파랑 2021-08-30 15:14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평화는 만들어가는 것~!! 정희진님 책을 한권 읽었다고 그래도 이해가 되는데요? 😅 완전 어려운 책~! 이분법적인 생각이 언제나 문제가 되는거 같아요 🤔

미미 2021-08-30 15:27   좋아요 5 | URL
맞아요~♡ 새파랑님도 전에 읽으신적 있죠👍 정희진님 글은 명쾌하게 분석,정리되어 더욱 타격감이 있는것 같아요! 지금 실컷 두들겨 맞으며 웃고 있습니다ㅋㅋㅋㅋ

페넬로페 2021-08-30 17:05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이 책을 우리가 읽지 말고 권력자들이 읽어야할것 같은데~~어쩐지 소리 없는 아우성이라는 느낌이 드는건 넘 비관적인건가요? ㅠㅠ

미미 2021-08-30 15:40   좋아요 5 | URL
그렇게 생각하시는게 어쩜 당연해요~♡ 저도 그랬구요 그런데 저는 ‘읽는 이‘=‘가장 수용 가는한 이‘라고 믿기에 여기서부터 퍼트리는걸 목표로 하고 있어요! 페넬로페님이 <세계는 왜 싸우는가>같은 책을 읽고 리뷰 남겨주시는것도 세계평화에 일조한다고 봐요. 거창한 일보단 작은 표지하나가 쌓여서 언젠가 적절한 힘을 받으면 무시할 수 없는 도미노가 되는 것처럼요😍

페넬로페 2021-08-30 16:03   좋아요 5 | URL
미미님, 말씀에 백퍼 공감합니다^^ 작은 것부터 차곡차곡 채워나가야 할 것 같아요^^

미미 2021-08-30 16:12   좋아요 5 | URL
네 정희진님도 그런 이야기를 꽤 들었나봐요 저도 처음 두권까지는 너무 힘들었는데 점점 익숙해진건지 수월해져서 이젠 이해안가는 부분도 훨 줄었어요ㅋㅋㅋㅋ

붕붕툐툐 2021-08-30 22:27   좋아요 3 | URL
이 대화 너무 멋있어요...ㅠㅠ 어흑~ 멋진 사람들....😍😍

미미 2021-08-30 22:52   좋아요 3 | URL
멋지게 봐주는 툐툐님이 젤 멋짐요~🙆‍♀️🙆‍♀️🙆‍♀️

페넬로페 2021-08-30 23:01   좋아요 3 | URL
툐툐님, 멋지게 봐주셔서 감사해요. 서재분들은 모두 다 멋진것 같아요♡♡♡♡♡

syo 2021-08-31 00:1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안 읽어도 될 이들은 읽고 읽어야 할 놈들은 안 읽으면서 착한 사람은 점차 착해지고 나쁜 놈들은 답없이 나빠진다! ㅎㅎㅎㅎㅎ

미미 2021-08-31 00:20   좋아요 1 | URL
우리는 대신 읽기에서 그치지 않고 써 내야죠ㅋㅋ 계속 읽고 더 써서 주변부터 퍼트리고 더더 전염시키고 모두 감염되고 전복되는 날까지!ㅋㅋㅋㅋ

행복한책읽기 2021-08-31 00:2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평화로 가는 길은 없다. 평화가 길이다> 저는 이 말이 좋네요. 미미님 이런 어려운 책 꾸준히 읽어주는 덕에 플친들도 평화의 길에 나란히~~~^^

미미 2021-08-31 00:30   좋아요 1 | URL
책에 대해 나눌 수 있는 것만도 기쁜 일인데 공감해주시니 더 읽게되고 계속 나누고 싶어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