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는동안 집중하고 최대한 이해하려 노력했지만 여러차례 강제로 안드로메다를 다녀와야 했다. 그래서 어느 시점에서는 이런 고난이도의 글에 대해 집단고소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했다. 


현학적이고 난해해 읽기 버거운 글이 있고 번역의 오류 때문에 읽기 힘든 글이 있다. 이 둘은 구분되어야 한다. 나는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을 읽기 전부터 이 책이 무척 난해하다는 의견과 번역에 문제가 있다는 두 가지 의견을 접했다. 번역에 문제 있는 책을 나도 몇 권 읽어봤기 때문에 어느정도일지 두려웠다. 하지만 '옮긴이 해제'를 읽어보니 이 책의 경우, 번역의 문제 보다는 버틀러의 난해한 글쓰기가 근본 원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당연히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다.)

난해함은 어떤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떨어뜨려 배제를 추구한다고 믿었던 나는 버틀러가 왜 하필 이렇게 까지 어려운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게 된 것인지 내내 의문을 가지고 책을 읽어나갔다. 


철학자이자 퀴어이론가이면서 수사학과 비교문학과 교수인 주디스 버틀러는 이 책에서 뤼스 이리가레, 위티크,푸코,보부아르,프로이트,라캉,크리스테바,에르퀼린의 이론의 일부를 분석하고 때로 비판한다.ㅡ역시 이 과정에서 철학 개념어들이 쏟아지는 것도 이 책이 난해해 지는데 한 몫을 했다.ㅡ주디스 버틀러의 흥미로운 주장을 몇 가지 정리해 보면 이렇다.


금기와 이중부정

보통 생각하는 것과 달리 욕망 다음에 법이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고 법이 욕망을 구성한다.

버틀러는 보다 근원적인 욕망은 동성애였으며 이 것 다음이 근친상간. 근친애라고 주장한다. 근친상간의 금기가 법으로 규정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이성애가 정상적인 것으로 자리잡았다는 것이다. 즉 어떤 것의 금기는 다른 것의 허용을 의미한다. 근친애를 제외한 이성애가 정상이 됨으로써 동성애는 금기가 된다. 


P.38 배제된 동성애는 완전히 배제되어 사라진 것이 아니라, 그 부정이 부정되어'이중부정'의 방식으로 주체의 내부에 이미 들어와 있다. 그래서 남성 안에 여성이 있고, 이성애자 안에 이미 동성애가 있는 것이다.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조현준)


젠더의 수행성

젠더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 굳건한 젠더 정체성이란 환상에 불과하다. 반복과 수행으로 인해 

물화되고 상투화된다.정상/비정상,적절/부적절등의 구분에 깔린 규범이 있다. 비정상은 정상이 무엇인지를 가리키고 부적절은 적절한게 무엇인지를 담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규제를 만든 관념과 담론은 감춰져 있으며 이를 반복하는 수행성으로 인해 힘을 얻는다. 젠더는 환상일 뿐이며 역할을 수행하는 이들의 반복된 수행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P.13 만일 우리가 여성이나 남성에 대해 어떤 특성이나 특질을 기대하고 있다면, 사실상 그런 본질에 대한 기대가 그 속성을 만드는 것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질은, 본질이라고 믿어지는 특성에 대한 기대와 그런 기대가 만든 반복적 의례 행위에 의해 만들어지는 구성물이라는 주장이다.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조현준)


젠더 계보학과 정치

사회,문화적 구성물로 여겨지는 젠더가 어떻게 구성되어졌는지 역사적인 배경과 권력의 역학관계를 밝히려는 시도다. 젠더 계보학에 의하면 "섹스는 언제나 젠더였다." 버틀러는 젠더 계보학을 정치학에 적용해 여성없는 페미니즘이 가능해야 한다고 주장하다. 반복된 의미화 규범과 수행성으로 만들어진 정체성이기에 규범을 전복하기 위해서 정체성의 범주가 열려야 하는 것이다. 


P.79 타고난 운명이라고 말해지는 해부학적인 성차나 근원적 욕망이라 말해지는 섹슈얼리티조차 사실은 당대의 지식체계가 구성한 규범의 산물이자 담론적 구성물이라는 사실을 드러내기 위함이다. 니체의 도덕의 계보학,푸코의 지식의 계보학을 기반으로 버틀러는 젠더의 계보학을 논의한다. (주디스 버틀러, 젠더 트러블.조현준)


주디스 버틀러는 여러 철학자들의 관점을 이야기하고 비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주장을 피력한다. 버틀러가 어려운 글쓰기를 하는 이유는 규범에 따르는 '정상적인'범주의 고정화된 글쓰기에서 탈피하고자 함이다. 수행과 수행문의 그렇듯이 반복적인 수행과 수행문은 규범을 강화하고 복종을 의미한다. 


버틀러는 섹스는 언제나 젠더였다고 말하지만 내 생각에 젠더는 언제나 여성이었다. 젠더의 개념 자체가 분류를 위한 것이다. 남성은 중립적이거나 언제나 보편적 인간을 가리킨다. 그들과 동등하다면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다. 누군가의 가슴에 별을 달거나 출신을 묻는다는 것은 그들을 우리와 다르다고 생각하고 분류하는 것이다. 


하지만 버틀러는 이 정체성이란 가면이고 환상이라고 말한다. 젠더라는 가면과 환상으로 인구의 절반을 분류하는 것은 결국 모두를 지치게 만들 뿐이다. 버틀러의 암호적 글쓰기가 가리키는 곳은 명명화된 구분이 없어지고 모두가 그 존재만으로 존중받는 세상이다.  

 

P.301 성을 명명하는 것은 지배와 강제의 행위이며, 성차의 원칙에 따라 담론적/지각적인 몸의 구성을 요구함으로써 사회적인 실제를 창조하고 또 합법화하는 하나의 제도화된 수행문이다. 따라서 위티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우리는 몸과 마음속에서 특질 하나하나마다 우리를 형성해온 자연의 관념에 맞출 것을 강요당한다.(중략)남성과 여성은 정치적인 범주일 뿐 자연적인 사실이 아니다."(Ibid.p.17)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4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07-24 20:35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1등.🖐 ♡♡♡♡♡

미미 2021-07-24 20:39   좋아요 6 | URL
스콧님~🙆‍♀️🙆‍♀️🙆‍♀️🙆‍♀️🙆‍♀️

scott 2021-07-25 00:58   좋아요 2 | URL
우와 미미님 드디어 버틑러라는 산을 넘으셨군요
이책의 번역자가 버틀러 연구자인데도 원문이 무척 난해 한것 같습니다

이책 완독 하셨으니 앞으로 어떤 산를 만나도
미미님은 이전의 읽었던 지식의 양식들이 든든한 뒷받침이 될것 같습니다

( •̀ᴗ•́ )و ̑̑

미미 2021-07-25 08:43   좋아요 2 | URL
아 스콧님 말씀 때문에 힘이 납니다! 번역자분이 이 책 때문에 많은 항의를 받았었나봅니다. 보충 하는차원에서 쓴 책이 두어권 있는데 둘 중 한권을 함께 읽으니 좀 더 이해할 수 있었어요. 다른 책도 기대됨요!😊

페넬로페 2021-07-24 21:09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지금까지 미미님의 글중에 젤 어려운 듯 해요. 리뷰가 이리 어려우면 텍스트는 얼마나 더 어려울까 생각해봅니다. 이런 책은 완독 자제가 큰 의미가 있는것 같아요.읽느라 수고하셨고 한발한발 더 여성주의에 더 깊고 넓게 들어가시는 미미님이 대단합니다👍👍👍

미미 2021-07-24 21:24   좋아요 6 | URL
네😭 어려웠고 미미하게 이해했지만 몇몇 철학 이론과 주장이 놀라워서 좋았고 의미있었어요. 응원해주셔서 감사해요. 읽으면 읽을수록 앞선 지식인들의 발자취가 끝이 없고 더 아득한건 왜일까요.ㅋㅋㅋㅋㅋ

mini74 2021-07-24 21:44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이중부정, 명명화되는 것 또한 권력이라는 것, 젠더는 동사라는 것. 많은 생각꺼리와 배움 얻고 갑니다 *^^* 이 책 읽기 힘들기로 유명하던데요. 어렵다는 소문도 ㅎㅎ 미미님 엄지척 ! 안드로메다에서 고향별로 오신 거 환영~~

미미 2021-07-24 21:57   좋아요 5 | URL
안드로메다를 갔다왔더니 많이 어지럽네요ㅋㅋㅋㅋ요즘 거부들이 우주여행 시도하던데 왜 그렇게들 돈을 들이는지 모르겠어요. 이 책이면 바로 떠날 수 있는데 말이죠ㅋㅋ🤭

새파랑 2021-07-24 23:1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4등~★★★★ 오늘 저녁은 나름 바빴어요 ㅜㅜ 하나가 금기고 다른 하나가 정상이면 나머지는 비정상? 이런 인식의 흐름은 뭔가를 규제하는 느낌이 강하게 드네요. 이게 전문용어로 이중부정인가봐요. 전 미미님 리뷰 글만 읽어도 너무 어려워 보이네요. 그걸 읽고 소화하는 미미님은 천재? 🤔

미미 2021-07-24 23:19   좋아요 2 | URL
ㅋㅋㅋ천재는 아마도 이런 논리를 펼친 작가겠죠? 저는 다 이해하지도 못했어요.그래도 얼마안되지만 몇 가지라도 얻은데 만족입니다.😵😁

그레이스 2021-07-24 23:3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정상적인 범주의 글쓰기를 모두 수행과 수행문으로 바라본다. 그래서 어려운 암호적 글쓰기를 하다. 으윽 너무 차원이 ...!
이러다가 문자도 배제하겠어요.^^
악보 없는 음악처럼.

미미 2021-07-24 23:46   좋아요 3 | URL
그렇죠!ㅋㅋㅋㅋㅋ😆결국 노래나 소리로 전달해야하는건 아닌지 참....(ㅋㅂㅋ)

바람돌이 2021-07-25 02:23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와우 인용된 문장만 봐도 장난 아니네요.
이거 읽으려면 마음의 각오를 몇번은 다지고 또 다져야 할듯요. 글이 너무 어려워지면 그 글을 따라가는게 너무 힘들어서 내 생각이 뭔지를 돌아볼 여유가 없어지던데 열심히 읽고 계시는 미미님 훌륭하세요. 응원 응원 열렬히 응원하겠습니다. ^^

미미 2021-07-25 08:34   좋아요 3 | URL
하루만에 읽어낼 수 없는 책이라 노트를 이용하지 않았다면 리뷰 쓰기가 쉽지 않았을 거예요. 배경지식이 많을 수록 더 보이는 그런 책이라 제 수준이 답답했습니다.ㅋㅋ응원 감사해요~♡

다락방 2021-07-25 21:0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는 아직 완독하지 못했는데 미미님의 이 리뷰가 앞으로 남은 부분 읽는데 아주 도움이 될 것 같아요. 난해하고 어려운 글읽기라 하셨지만 정리를 아주 잘 해주신 듯 합니다. 저는 다 읽고 나서도 아마 정리하지 못할 것 같아요.
무더위에 이렇게 어려운 책 읽기 함께 해주셔서 감사해요, 미미님. 8월 만나게될 책은 부디 접근이 좀 더 쉽기를 바라봅니다.
고생하셨습니다!!

미미 2021-07-25 21:26   좋아요 1 | URL
이런 책을 선정해주시고 포기하지 않고 읽게끔 중간중간 페이퍼올려주신 다락방님 덕분이예요~♡♡ 혼자 도전했다면 절대 읽어내지 못했을거예요. 많이 부실하고 부족하지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관심없는 분들도 이해하시게끔 정리하고 싶었는데 아직 능력이 안되네요. 다락방님 스타일대로 써주시리라 믿어요. 이런 기계적인 리뷰보다 다락방님 스타일이 훨 멋지고 가독성높음요!!😊👍

공쟝쟝 2021-07-28 16: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고생많으셨습니다! 어쩜 이리 핵심만 뽑아서 잘도 요약하셨는지. 쿄쿄 이 리뷰는 제 앱 노트에 스쿠랩을 해두겠어요!!! 젠더는 여성이었다는 말에 동의합니다. 😩 아이 참 저도 마저 읽어야하는데 한 챕터나 남았어요 흑…ㅠㅠ

미미 2021-07-28 17:07   좋아요 1 | URL
저는 쥐어 짜는거고 쟝쟝님이 진정 핵심 찝고 계시던걸요~♡ 이번 책은 정말 자신과의 싸움인듯ㅠㅇㅠ힘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