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페미니즘 - 여성의 경제적이고 정치적인 완전한 자유
낸시 홈스트롬 엮음, 유강은 옮김 / 따비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제 뉴스에 미국에서 흑인남성이 아시아계 남성을 지하철에서 폭행하는 영상이 나왔다. 

상대 남성은 어느정도 저항을 하다 이내 기절한듯 쓰러졌고 주변에 사람들이 있었지만 

아무도 나서 도와주진 않았다.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해외 뉴스를 통해 인종혐오

범죄로 느껴지는 사건을 심심치 않게 접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330076800009?input=1195m


오늘 뉴스에서는 역시 미국에서 흑인남성이 아시아계 여성을 폭행하는 영상이 나왔다. 

상대 남성은 상당히 건장한 체형이었고 길을 가다 마주친 65세의 여성의 머리를 집중적으로 가격한 다음" 너는 이곳에 속하지 않아"라는 말을 남기고 자리를 떠났다. 

한 건물 앞이었고, 당시 지켜보고 있던 건물 경호원들이 있었으나 자신들은 건물외에는 불의 앞이라도 의무도 책임도 없다는 듯 그 장면 앞에서 오히려 문을 닫았다.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033109667


낸시 홈스트롬의 사회주의 페미니즘을 오늘에야 끝냈다. 분량도 많아 힘들었지만 무엇보다 '사회주의 페미니즘'이라는 낯선 분야를 처음으로 접해 쉽지 않았던 것 같다. 이 책에서는 마르크스로부터 영향을 받은 사회주의 페미니즘 이론들에 대해 분야별로 연구하고 때론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그 안에는 페미니즘 여성운동의 힘겨운 투쟁과 결실도 포함되어 있다. 이를 통해 앞으로 페미니즘이 나아갈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한다. 37명의 분석 중 어떤 내용은 때로 너무나 현학적이고 모호한 느낌이어서 개인적으로 불만도 많았다. 이 점에 대해 잠시 짚고 넘어가고 싶다.


읽기 어렵게 쓰는 글은 연합보다는 배제를 불러 일으킨다고 생각한다. 내용은 어렵지만 이해할 수 있는 글이 있고 내용은 쉬운데 이해할 수 없는 글이 있다. 내가 지적하는 이 책에 담긴 몇몇 논의의 문제는 후자다. 어떤 경우는 마르크스의 자본론보다도 어렵다고 느꼈다. (나는 자본론을 다 읽어보진 못했다. 마르크스의 경우 '공산당선언'을 읽었을 뿐이고 '자본론'은 1권을 읽다가 미뤄둔 상태다. 하지만 난해한 면에서 이 책의 '그 경우'들과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 정도는 읽었다.) 또한 시몬드 보부아르의 '제2의 성'도 '이 경우들'보다 읽기 좋고 심지어 흥미진진 했다. 


안그래도 책을 읽는 사람들은 소수다. 하지만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사람도 그 소수중에 있다고 믿는다. 스탈린이 '박멸'을 시작할때 학자들을 우선 순위로 선택한 것도 그런 점이 두려웠기 때문이다. 읽고 쓰는 사람들은 그 글을 매개로 변화를 주도하고 연대를 이끌 수 있다. 페미니즘은 무엇보다 실질적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연대는 필수다. 그런데 이야기 전달 방식이 어렵다면 누가 귀기울이고 누가 연합할 수 있단 말인가. 소수 엘리트 여성들만이 이해할 수 있는 글 들은 그들의 목적과 달리 모순적으로 배제를 낳는다. 듣지 않는 음악은 의미가 없듯 읽지 않는 글은 힘이 없다. 쉽게 할 수 있는 말을 어렵게 하는 사람들은 펜보다는 체스나 바둑이 어울리지 않을까.


그런 아쉬움들 속에서도 인상깊은 내용들도 많았다. 신시아 인로의 '여성의 삶의 군사화'라던지 밸 플럼우드, 줄리시의 '아시아계 여성들에 대한 반이민 정서와 공격'이 그랬다. 초반에도 밝혔듯이 최근 코로나가 장기화 되면서 이민자들에 대한 반감이 도를 넘어서는 것을 종종 목격한다. 그런면에서 이번 책 을 읽으며 차별에도 나름의 피라미드가 존재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이 책에도 여러차례 나오지만 이른바 유리천장에 근접한 최상위부터 진흙탕에 발딛고 사는 여성들처럼 말이다. 가장 아래쪽에는 아시아계 여성들이 있다.


p.745 미국의 전체 섬유.의류노동자 가운데 53퍼센트가 아시아계 여성이다. 의류노동자들은 점점 더 많은 섬유 분진,염료,포름알데히드,비소 등에 노출되며, 그 결과 면폐증과 호흡기 질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실리콘벨리 조립라인과 생산직에 종사하는 전자노동자의 43퍼센트도 아시아계 미국인(주로 여성)이다. 리의 말에 따르면 ,전자/반도체 산업에 종사하는 아시아계와 라틴계 이주 여성들은 "전자 부품을 세척하는 데 위험한 용제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기타 화학 물질에 노출되는 탓에 중추신경계와 생식기계 손상으로 고통받는다.이 여성 노동자들은 일반 제조업 노동자에 비해 직업병 발병률이 세 배나 높다. 


미국의 흑인들과 백인들의 갈등이 심화되면 결과적으로 한인타운등 아시아인들에 대한 위협으로 불씨가 옮겨가는 경우가 있다. 넷플릭스 스텐딩 코미디 Ronny Chieng의 쇼에서 Chieng은 중국계 미국인의 시선으로 백인과 흑인간의 갈등과 차이를 풍자한다. 그는 제3자의 배제된 입장을 오히려 전복시켜 웃음을 유발하는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트럼프와 코로나 펜데믹 이후 더 심각해지는 웃지못할 상황으로 변화하는 듯 하다. 밸 플럼우드의 그물망 이론처럼 차별의 구조는 그물망으로 사실상 모두에게 덧씌워져 있다. 


              




p.714 "세계의 점점 더 많은 지역이 전 지구적 시장 체계에 통합되고 이 체계가 전 지구적 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에 휘말림에 따라 이 (차별의)그물망의 가닥은 어느 때보다 더욱 탄탄해지고 생명에 해를 끼친다." 백인이 흑인을, 흑인이 아시아인을, 반유대계가 유대계를,남성이 여성을, 가진자가 가지지 못한 자를 향해 차별과 소외의 시스템이 가동되도록 내버려두면 그 영향력과 파괴력은 결국 모두에게 해를 끼친다. 코로나 시대에 소통의 부재로 인해 차별의 피라미드가 더욱 확장되고 견고해질 수 있는 만큼 전지구적 연합과 변화가 절실하다. 




댓글(23) 먼댓글(0) 좋아요(4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미 2021-03-31 18:54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수정하다 지쳐서 그냥 올렸어요.결론이...내 마음대로 안써짐요. 노트정리를 잘 안한 대가가 이렇게 😭

다락방 2021-03-31 18:54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미미님, 읽기 힘든 책 완독 하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그리고 리뷰까지 쓰느라 더 고생하셨고요.
미미님 리뷰가 사회주의 페미니즘 책보다 더 재미있고 잘 읽혀요!!

미미님, 우리 4월달에도 함께 읽읍시다. 4월책은 3월 책보다 낫겠지요? 화이팅!

미미 2021-03-31 18:56   좋아요 1 | URL
이상해져 버렸는데 고맙습니다! 4월은 더 잘해볼께요.🥲꼴지 안할꺼예요!ㅋㅋ

mini74 2021-03-31 18:54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미미님 안타까운 맘이 글에도 느껴져요. 그냥 올리신 글도 좋기만 한걸요. 잘 읽었습니다 미미님~

미미 2021-03-31 18:57   좋아요 3 | URL
올리긴 올렸는데 여기저기 가리고 싶네요.ㅋㅋ 미니님 감사해요!😉

수이 2021-03-31 19:0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다들 훌륭한데 왜 이렇게 오늘은 수정을 하려고 하시나요!! 고생하셨습니다 미미님👍🏻 그리고 꼴찌 아니십니다 ㅋㅋㅋㅋㅋ

미미 2021-03-31 19:09   좋아요 1 | URL
앗 꼴찌인줄 알았어요!ㅋㅋㅋㅋ휴33333333😆

수이 2021-03-31 19:29   좋아요 1 | URL
4월에 만나요! :)

미미 2021-03-31 19:32   좋아요 1 | URL
네? 진짜 만나는 거요??

수이 2021-03-31 19:34   좋아요 1 | URL
앗 ㅋㅋㅋㅋㅋ 일단 책으로 만나고 툐툐님이랑 시간을 맞추어볼까요?!! 😳

미미 2021-03-31 19:36   좋아요 1 | URL
앗ㅋㅋㅋㅋㅋㅋ좋아요!!😆

붕붕툐툐 2021-03-31 22:50   좋아요 2 | URL
앗! 여기서 툐툐가 나오다니! 감동~ 제 시간 다 갖다 쓰세요~ 제발~~~❤

미미 2021-03-31 22:55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ㅋㅋ👍👍

새파랑 2021-03-31 21:1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책 밑줄만 100개는 그으셨을거 같은데 드디어! 완독하셨네요 축하드립니다^^ 리뷰만 봐도 어려운 책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ㅜㅜ

미미 2021-03-31 21:19   좋아요 2 | URL
하..너무 오래 두고 읽으면 안좋다는 걸 깨달았어요.ㅠㅇㅠ
정리할때 모든게 뒤죽박죽😭ㅋㅋㅋ공감해주셔서 늘 감사해요!

붕붕툐툐 2021-03-31 22:4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미미님 글은 엄청 읽기 좋고, 함께 생각해 볼 거리도 많이 던져 주십니다~👍
완독 축하드려요~ 꼴찌라뇨~ 아주 아주 먼 미래로 제쳐놓은 저도 있습니다!ㅎㅎ

미미 2021-03-31 22:55   좋아요 3 | URL
ㅋㅋㅋㅋ툐툐님 덕분에 안심스테이크예요~♡😆♡

scott 2021-03-31 23:06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미미님 벽돌책 완독 전문 독서人이쉼
빨간색 이책보다
미미님 리뷰가 더 명확하고 날카로움 ^ㅎ^

미미 2021-03-31 23:14   좋아요 3 | URL
😊헤헤 더 열심히 하라는 뜻으로 번역해 접수할께요~♡♡

모나리자 2021-04-01 10:31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요즘 아시아인을 향한 폭행 이야기가 많이 들려요. 참 안타까운 현실이예요.
아직도 알려지지 여성들의 고통은 엄청나게 많을 거예요...

어려운 책도 척척 읽어내시는 미미님, 엄지 척!! 대단하세요!
4월도 화이팅 하세요~미미님~^^

미미 2021-04-01 11:35   좋아요 2 | URL
맞아요!! 그런 사실들을 찾아 읽어가기라도 꾸준히 해야겠다 싶어요.
4월도 함께 좋은 책들 쭉 읽어나가요~^^♡

행복한책읽기 2021-04-01 11:31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읽기 어렵게 쓰는 글은 연합보다는 배제를 불러 일으킨다> 미미님 명언으로 등록해두겠슴요. 읽기 어려웠음에도 완독한 미미님께 물개박수👏👏👏👏 지는 미미님 리뷰로 이 책 아는 척하겠음요. 명료하게 써놓아 입으로 읊기만 하면 되겠음요.^^ 글구요, 유발 하라리가 <호모데우스>에서 이렇게 말하더라구요. ˝오늘날 마르크스가 살아 돌아온다면 그는 남아 있는 소수의 제자들에게 <자본론>을 읽을 시간에 인터넷과 인간 게놈을 공부하라고 할 것이다.˝ ㅋ 하여 지는 자본론은 치워버리고 전지구적 연대를 어찌할 수 있나 목하 고민해 보겠습니당^^

미미 2021-04-01 11:38   좋아요 3 | URL
와 마지막 결정 완전 멋지심👍👍 저도 언젠가 읽어야지 했는데 일단 부담벗고 좀 더 가능한 것들에 초점을 맞출래요~♡
책읽기님 4월도 아름다운 시들로 감성파트 끌어주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