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 유신과 서양 문명 한림신서 일본학총서 83
다나카 아키라 지음, 현명철 옮김 / 소화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가고시마에 여행가기 전에 읽은 책이다. 실제로 가고시마의 유신 후루사토관에 가서 이들의 사진과 업적을 소개한 판넬을 보니, 일본 근대사에서 이들의 비중이 대단하구나, 하는 것을 실감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유신 후루사토의 길에도 이들이 요코하마 항을 떠나 구미 각 나라를 순방한 항로가 새겨져 있기도 하다. 이 책을 안 읽고 갔더라면 감흥이 적었을 것은 분명하다.

 

1871년, 메이지 정부는 이와쿠라를 특명전권대사로 삼아 기도 다카요시, 오쿠보 도시미치, 이토 히로부미 등 총 46명의 사절단을 구미로 파견한다. 기본 목적은 기존에 일본이 구미 각 제국과 체결한 불평등 조약개정을 위한 예비교섭과 선진제국의 문물제도 조사였다. 이들은  1년 10개월동안 미국, 영국, 프랑스, 프로이센, 벨기에 등 12개국을 회람하고 귀국하는데, 이의 기록이 이 구메 구니타케가 편수한 <특명전권대사 미구회람실기>이다. 이 책은 <실기>를 간략히 소개, 분석한 책이다.

 

일단 내 입장에서는 정부 출범 4년밖에 안된 메이지 정부에서 정부 요인의 거의 절반을 회람단으로 파견한 점에서, 신정부의 근대국가 건설에 대한 강한 의욕을 느꼈다.(이때 남아 일본 내정을 담당한 사람이 사이고 다카모리.) 게다가 당시 30,40대인 참가자들의 나이로 보아, 이들이 구미 회람 후 보고 듣고 느낀 점들을 얼마나 강한 추진력으로 정부시책에 반영했을지도 감이 잡힌다. 그리고, 다른 연구자들도 이미 많이 지적했듯, 나 역시 프로이센에서 만난 비스마르크의 영향으로, 이들이 귀국후 일본국가가 군사적 대국주의를 지향하게 된 점을 이후 역사에 비추어 주목하게 된다. 물론, 단순히 비스마르크의 영향뿐이었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