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열과 통일의 독일사 - 케임브리지 세계사 강좌 1
메리 풀브룩 지음, 김학이 옮김 / 개마고원 / 2000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꽤 오래 잡고 있었다. 몇 가지 작업하다가 막혀버린 부분이 있는데, 왠지 좋은 독일사 한 권 읽고 나면 묵은 숙변을 제거하는 비방약을 복용한 것처럼 한 방에 뚫릴 것 같았다. 그러나 중세를 거쳐 프로이센, 제2제정을 지나 바이마르 공화국으로 가면서 도저히 진도가 나가지 않고 머릿속이 너무 복잡해졌다. 그래서 한 문단 읽고 먼 산 바라보고, 한 문단 읽고 멍 때리고,,, 이러면서 일주일을 보냈다.

 

아, 오해는 마시라. 이 책의 수준이나 서술의 문제 때문이 아니다. 일단 내가 조금 읽은 독일 중세사를 지나 근대로 가면서 내 배경 지식이 부족해서 헤맨 점이 있었다. 특히 각 정당간의 입장 차이라든가 독일 정부 구성 등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바가 거의 없었다. 하지만 이보다 더 나를 고민하게 만든 것은 이 저자분이 독일사를 보는 시각이었다. 물론 독일사에 대한 기본이 상당한 수준으로 이미 갖춰져 있어야만 이 저자의 서술을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수준 낮은 내가 보기에도 기존의 독일사, 특히 독일 근현대사를 보는 시선이 다른 책의 저자들과 확연히 다름이 보였다. 바로 이 점이 이 책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점도 되며, 또한 고민하며 읽게 만드는 점이 되기도 한다.

 

즉, 기존 독일사를 서술하는 다른 저자들은 영국이나 프랑스의 경우와 달리 비 민주적인 과정을 거쳐 근대에 도달한 독일의 역사를 보편적이지 않은 특수한 케이스로 보는 경우가 많다. 특히 독일인 저자라면 누구라도 히틀러와 나치의 망령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다. 그래서인지 근현대사의 모든 과정이 히틀러와 나치즘을 설명하는 원인을 찾는 것으로 귀결되는 듯 보인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는 독일사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새로운 시선으로 보고 서술한다. 독일 정치의 전근대성과 경제의 근대성의 간극과 모순을 지적하면서도 독일 역사의 긍정적인 측면을 발견한다. 예를 들자면 독일이 중앙집권 통일국가로 향하는 과정이 다른 국가들보다 늦은 점이 단점이 아니라 오히려 영방의 군소국가들의 유지를 가능하게 만들어 독일의 빛나는 문화적 업적을 이룰 수 있었다고 보는 점. 그리고 저자는 민족국가, 통일국가의 과업을 이룩한 비스마르크 시대의 프로이센을 긍정적으로 그리지도 않는다. 오히려 독일사 최초의 공화국을 붕괴시키고 양차대전을 일으켜 독일 분단을 가져온 원인을 비스마르크 시대부터 과부하된 독일 사회의 긴장에서 찾는다. 이런 점을 저자는 기존 명망있는 독일사학자들의 견해를 요약해서 자신의 견해와 비교하며 함께 들려준다. 아주 재미있는 시각인데, 지금 내 수준에서는 어떻게 비판적으로 읽어야 할지 감 잡을 수가 없다. 공부 더 하고 몇 년 후 다시 읽어봐야겠다.

 

본문 365쪽에 "모든 역사는 그것이 쓰여지는 시대의 산물이다."라는 문장이 있다. 생각해보니, 내가 알고 있는 독일사에 대한 지식은 세계가 미, 소 양극으로 나눠져 있던 시기에 집필된 책들에서 얻었던 지식이었다. 같은 국가의 역사를 서술하더라도, 단 몇 년 차이인데 독일 통일과 소비에트 붕괴 이후 서구사의 서술은 확실히 뭔가 다른 면이 있는듯하다. 역사 서술에 있어 보다 다원적인 뭔가가. 

 

두서없이 쓰다보니 정작 책 내용 소개가 빠졌다. 이 책은 시리즈의 이탈리아사처럼 1장은 기본적 독일과 독일인에 대한 배경 지식을 알려 준다. 2장은 중세 독일 부분. 어떤 사학자는 카를 데어 그로세(프랑스에서는 샤를 마뉴라고 부르는)의 서로마 제국부터, 어떤 사학자는 신성로마제국부터 독일사를 본격적으로 서술하는데 이 저자분은 이 모두를 간략히 언급해 준다. 3장인 '종교개혁의 시대, 1500~1648'에서 루터의 종교 개혁이 이후 독일인들의 정치적 심성에 미친 영향을 서술한 부분이 특히 재미있었고, 4장인 '절대주의 시대, 1648~1815' 부분은 일목요연한 정리가 좋았다. 이후 프로이센 주도의 독일 통일, 산업화, 1차 대전, 바이마르 공화국의 실패, 나치의 득세, 2차 대전과 분단, 통일까지의 서술이 5장 '산업화의 시대, 1815~1918'와 6장 '민주주의와 독재, 1918~1945'. 7장 '두 개의 독일, 1945~1990'에 이어진다. 마지막 8장인 '독일사의 패턴과 여러 문제들'부분은 저자가 보는 독일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부분이 잘 정리되어 있다.

 

마르크시스트 역사학자인 저자는 민족을 그리 신성하게 보지도 않고, 서독 위주의 통일에 과도한 의의를 부여하지도 않아서 특히 더 신선했다. 관심있는 분께 자신있게 권할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