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핸드폰
류진운 지음, 김태성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1958년 허난성 옌지현에서 태어나 1982년 베이징대 중문과를 졸업한 류전윈은 중국에서 상당한 인기를 누리고 있는 작가 중 한명이다. 그의 작품은 당대 중국 사회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내가 처음 접한 그의 단편모음집 <달털같은 나날> 역시 시대의 풍향에 따라 이리저리 나부끼는 중국 도시인들의 삶을 냉철하게 풍자하고 있다.

 

지나치게 가슴 아프지도 진지하지도 않거니와 과장되지도 거칠지도 않은, 그의 작품들은 독자들을 현대 중국 사회로 안내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감정의 고조없이 평상심으로 일정한 거리감을 유지하면서 현대 중국 사회를 살아가는 동시대인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는 소중한 '창(窓)'이 되어준다.

 

2003년 출간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동명 영화로도 제작된 바 있는 장편소설 <핸드폰>은 '말'에 의한 인류의 소통 문제를 다루고 있다. 소설은 주인공 옌셔우이(嚴守一)을 중심으로 과거(1960년대)-현재(1990년대)-과거(1920년대) 순으로 시대에 따라 변화해 온 '소통의 방식'을 보여준다.

 

 

이제 막 변성기에 접어든 옌셔우이는 1969년 어느 겨울날 전화 한통을 걸기 위해 옌씨 마을로 시집온 뤼귀이화를 자전거에 태우고 40여리를 달려 읍내 우정국으로 간다.

 

마침 탄광에 큰 눈이 내려 마씨의 목소리는 산 속에서 끝없이 메아리쳤고, 메아리는 어지럽게 흩날리는 눈 속에서 수천수만의 마씨가 되었다. 모두들 눈을 맞으면서 방송을 듣고는 하얀 이를 드러내며 웃었다. 그 뒤 십여일 동안 그 이야기는 제3탄광에서 한 곡의 노래가 되었다. 매일 식사 시간이 되면 사람들은 식판을 두드리며 이 노래를 불렀다.

 

 

뉴싼진, 뉴싼진

당신의 아내 뤼구이화

뤼구이화가 묻습니다

일간 언제쯤 돌아오시나요?

 

옌셔우이는 울었다.

-제1장: 뤼구이화(呂桂花) 또 다른 사람이 말하길 中-

 

19세기 후반 발명된 이후 반세기가 다 지났어도 전화는 여전히 참 귀했더랬다. 비록 비용이 들고 전화가 설치되어 있는 읍내나 마을 이장네로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급한 소식을 전하려면 어쩔 수 없었다. 인편이나 편지를 띄우는 것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전화가 동네방네 가가호호로 진출하게 되고, 다시 모든 사람들의 손에 전화기가 들리게 되기까지는 그로부터 겨우 사반세기의 세월밖에는 걸리지 않았다.

 

자동차 뒷좌석은 침대보다 훨씬 더 갈증 해소에 도움이 되었고 소독도 잘 되는 것 같았다. 그는 행위를 시작하기 전에 안전을 위해, 그리고 그 일에 몰두하기 위해 핸도폰을 꺼두었다. 그러나 핸드폰을 끄는 바람에 우유에와의 불륜사실이 들통나고 더 큰 일이 벌어지게 될 줄은 미처 생각지 못했다.

(...)

위웬쥐엔이 전화기 폴더를 열고 말을 꺼내기도 전에 전화기에서 페이모의 다급한 목소리가 들려왔다.

"드디어 핸드폰을 키셨군. 아직도 밖에서 장난 치고 있나? 아까 두 시간 전에 원쥐엔이 전화로 자네를 찾았네" 페이모의 말소리는 한구절 한단어 그대로 옌셔우이의 귀에까지 들려왔다.

(...)

그런데 바로 이때 '딩동'하고 핸드폰이 또 울리더니 문자메시지가 들어왔다. 발신자는 우유에였다. 무척 관심어린 어투였다.

'춥네요. 얼른 들어가요. 아까 차에서 자기를 물었던 게 생각나서...잘 때 속옷은 벗지 말아요'

(...)

옌셔우이는 위원쥐엔의 눈에 눈물이 고이더니 안에서 밖으로 천천히 솟구쳐 나오는 것을 발견했다.

(...)

한참이나 입을 벌리고 있던 그는 간신히 한마디를 내뱉었다.

"그런 게 아니야."

숨겨둔 애인이 없다는 말인지 아니면 다른 여자와 함께 있을 때 자신에 대해 수군거리지 않았다는 말인지 애매모호하기만 했다. 이때 위원쥐엔은 이미 평소의 상태를 회복하고 옌셔우이를 뚫어져라 쳐다보고 있었다. 그녀가 천천히 말을 이었다.

"여보! 이제 당신은 날 잃었어요."

말을 마친 그녀는 뜻밖에도 미소를 짓기 시작했다.

우연한 실수 때문에 옌셔우이는 이혼을 했다.

 

 

                                      -제2장: 위원주엔(于文娟) 션슈에(沈雪), 우유에(伍月) 中-

 

 

편리한 소통을 갈망했던 현대인은 마침내 '핸드폰'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소통이 편리해지면 편리해질수록 '비밀'과 '거짓말'도 늘어났다. 핸드폰은 현대문명의 상징이자 동시에 '판도라상자'가 되었다. 핸드폰만큼 개인의 비밀과 정보를 낱낱히 담고 있는 것이 또 있을까. 핸드폰을 통해 관계를 맺고 소통하지만 또한 핸드폰 때문에 관계가 깨지고 소통의 부재를 불러온다.

 

할머니가 반지를 그에게 돌려주었다.

옌셔우이는 할머니가 반지를 션슈에에게 주라고 하실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할머니의 입에서 튀어나온 말은 너무나 뜻밖이었다.

"베이징에 돌아가면 내 대신 원쥐엔에게 돌려주거라. 그리고 이렇게 말해. 이제는 내 손주며느리가 아니지만 대신 손녀가 되었다고 말이야."

그리고는 한 마디 덧붙였다.

"손주 녀석은 철이 없다 해도 죽을 때가 다 된 이 늙은이는 그나마 시비와 도리를 가릴 줄 안다는 것을 그 애가 알게 해야 하지 않겠니."

옌셔우이는 할머니의 다리에 엎드려 엉엉 울기 시작했다.

 

                                      -제2장: 위원주엔(于文娟) 션슈에(沈雪), 우유에(伍月) 中-

 

그렇다. 옌셔우이의 할머니 주(朱)씨는 시비와 도리를 가릴 줄 알았다.

비록, 전화가 생기고 사람들마다 핸드폰을 들고 다니는 시대를 건너왔건만, 그녀의 말수는 적었지만 언제나 '진심'만을 담고 있었다. 소통이 자유롭지 않던 시절 사람들간의 의사소통은 어쩌면 '말'이 아니라 '마음'이었는지도 모르겠다. 현대인들은 소통의 자유와 편리함을 얻었지만 진심을 담아 전달하는 방법은 서서히 잊어버리고 있다.

 

발인하던 날 밤, 옌셔우이는 손전등을 들고 마을 뒤에 있는 작은 산비탈로 올라갔다. 어렸을 때 그는 장샤오주와 함께 늘 광산용 램프를 들고 그곳에서 하늘에 대고 글을 쓰곤 했다. 장샤오주가 즐겨 쓰던 문장은 이랬다.

'엄마, 엄마는 바보가 아니에요.'

옌셔우이는 이런 문장을 즐겨 썼다.

'엄마, 어디 있어요.'

두줄의 문장은 칠흑같은 어두운 하늘 위에 5분 정도 머물러 있곤 했다. 그날 밤은 유난히 어두웠다. 손을 뻗어도 손가락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 마흔 여섯살이 된 옌셔우이는 손전등을 들어 하늘에 글을 새겼다.

'할머니! 얘기 좀 하고 싶어요.'

 

                                   -제2장: 위원주엔(于文娟) 션슈에(沈雪), 우유에(伍月) 中-

 

1960년 대기근 시절 기아에 허덕이던 옌셔우이의 엄마는 결국 굶어죽고 말았다. 그 이후 옌셔우이를 키운 건 순전히 할머니였다. 나무에 떨어져 다리가 부러진 옌셔우이를 업고 깊은 숲길을 사나흘이나 걸어 의원에게 보인 것도 바로 할머니였다. 그런 할머니가 떠난 것이다. 조금만 연락이 일찍 닿았더라도 그는 할머니의 임종을 지킬 수 있었을 것이다. 할머니와 단 몇 마디라도 나눌 수 있었을테고 생전에 그렇게 기다리시던 손주를 직접 보여드릴 수도 있었으련만...

 

이 모든 게 다 핸드폰때문이다.

핸드폰만 아니었어도 옌셔우이는 우유에가 묵고 있는 호텔방의 호수를 알 턱이 없었을 테고 아내와 이혼도 하지 않았을 것이며 션슈에에게 상처를 주지 않았을 것이며 무엇보다도 할머니와 얘기를 나눌 수 있었을 것이다.

 

류전윈의 <핸드폰>은 모두3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언뜻 보면 각 장이 모두 별개의 작품처럼 읽힌다.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 나서야 이 세장이 모두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걸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닭털 같은 나날
류전윈 지음, 김영철 옮김 / 밀리언하우스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1958년에 출생한 류전윈(刘震云) 은 <허삼관매혈기>의 위화, <형제>의 쑤퉁 등과 함께 중국 대륙의 신사실주의 작가로 분류되지만, 주로 20세기 초중반을 작품의 시대적 배경으로 삼은 이들과는 달리 1980년대 중국 사회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一地鸡毛:닭털같은 나날》과《单位:기관》등의 작품에서는 대학을 졸업하고 국가로부터 직장과 주거지를 배정받고 그저 하루하루 자신의 안위만을 위해 살아가는 80년대 중국 도시민들의 삶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먹고 사는 의식주(衣食住)만큼 인간성을 원초적으로 건드리는 문제도 없다. 

'곡간에서 인심 난다'는 말처럼 경제적으로 넉넉할수록 인간의 정신 세계 또한 너그럽고 윤택해지는 반면, 삶이 고달플수록 인간의 이기적인 면모가 유감없이 들어나는 법이다.

 

중국어를 접한 외국인들에게 가장 어려운 단어 중에 하나가 아마 '单位(기관)'일 것이다.

중국인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누구나 单位에 소속되어 집단적인 삶을 살아가야 한다.

아이가 태어나면 출생신고와 동시에 档案(당안)이 만들어진다. 档案은 우리나라의 호적과 엇비슷하지만 출생년도와 출생지 주민등록번호 그리고 부모의 이름 등만 간단하게 적혀 있는 호적과는 달리, 이 档案에는 본적과 부모이름 뿐만 아니라 출신학교 직장명 및 각종 공적과 죄과 등등이 세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 당안(档案)은 평생동안 그림자처럼 졸졸 따라 다닌다. 아이가 유아원에 들어가면 유아원으로 넘어가 보관, 관리되고 다시 유치원 소학교 중고등학교 대학교 등을 거쳐 직장에 들어가면 직장에서 보관 관리된다. 만약 직업이 없으면 거주지 관할 행정기관으로 넘어간다. 자자손손 대대로 한 곳에서 태어나 농사짓고 사는 시골 농민에게도 예외가 없다.

 

'기관(单位)'은 바로 이 당안(档案)을 보관, 관리하는 곳이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单位는 바로 현재 자신이 다니고 있는 학교이며, 직장인에게는 회사가 바로 单位인 것이다. 철부지 학창시절과 퇴직 이후의 기간을 제외하고, 인생의 거의 대부분과 가장 중요한 시기를 직장에서 보내기 때문에 중국어로 单位는 직장 혹은 회사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잘 알다시피, 과거 중국에서는 직장에서 직급에 따라 주거지를 정해주고 식량과 부식거리를 배급해 주었기 때문에 직장이야말로 개인의 의식주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중국인들에게 있어, 单位는 바로 개인의 운명과 사회 생활을 결정해 주는 아주 중요한 곳인 것이다. 인간의 생존과 직결되는 의식주 문제를 관장하는 이런 곳에서 부정과 부패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오히려 이상한 일이리라.  

 

류전윈의 작품《기관: 单位》는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单位에 목숨줄을 매단 채, 개인의 탐욕과 영달만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현대 중국사회를 고발하고 있다.

 

해학적으로 중국 사회의 모순을 신랄하게 풍자한 작가들은 많다.

다만, 위화의 <허삼관매혈기>와 쑤퉁의 <쌀>이라는 작품들이 독자들에게 '이건 꾸며진 이야기일 뿐'이라는 사실을 끊임없이 일깨워주고 있다면, 류전윈의 작품은 읽는 이로 하여금 작가에 의해 꾸며진 '허구'라는 사실 그 자체를 새까맣게 잊게 만든다. 나는 이 점이 바로 그의 작품이 기타 다른 신사실주의 작품들과 맥을 달리하는, 작가로서 류전윈의 뛰어난 점이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한 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제목을 굳이 '닭털같은 나날'로 직역할 필요가 있었을까?

'새털같은 나날들'이나 '소소한 일상'등으로 옮겼더라면 한국 독자들에게 좀 더 부담감없이 다가갈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