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즈 러너'를 처음 본 건 영화관에서였다. 친구들과 함께 시내 영화관으로 무슨 영화를 볼지 고르다가, 이 영화가 재미있어서 보여서 무턱대고 보게 되었다. 예고편도 보지 않고, '미로를 달리는 사람들'이라는 제목만으로 내용을 추론했다. 처음에는 이렇게 생각했다. "아, 아이들은 어떤 게임에 참여해서, 한 명씩 한 명씩 미로 속의 난관 속에 죽어가고, 주인공을 비롯한 일부 사람들만 살아남아 목표를 이루는 영화구나." 한 마디로, '메이즈 러너'는 단순한 할리우드 오락영화로 본 것이다.
그런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내 예상과 다르게 영화가 진행되었다. 할리우드 영화가 어쩔 수 없이 가지는 '진부한 요소(이른바 클리셰)'가 종종 보였지만, 결코 평범한 오락영화로 보이지 않았다. 미로는 게임이 아니라 시험이었다. 한 명씩 한 명씩 죽는 게 아니라 무리를 지어 움직인다. 남아 있으려 하는 무리, 떠나려는 무리. 글레이드, 미로, 그리버 등이 주는 함축적 의미는 조금만 더 생각해 보면 우리의 삶을 떠올리게 한다. 매력적인 배우들 때문에, 그들이 죽지 않기를 간절히 바랬고, 적어도 1편에서는 그랬다. 또 볼 수 있다는 것, 그들이 이 재앙을 끝낸다는 희망 때문에 2, 3편은 꼭 볼 것이다........
그러고 나서, 최근에 『메이즈 러너』를 구매해서 읽어본 결과, 영화와 책 모두 대만족이었다. 각자 매력을 담고 있었다. 책에서만 담을 수 있는 내용을, 영화가 적절히 편집하고 창조해서 어느 매체로 읽든 이 매력적인 스토리를 제대로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오랜만에 다음 페이지가 기대되는 소설을 만났다.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지만, 영화와 책 모두 '토머스'를 중심으로 그를 따라가는 시점을 사용해서 스릴이 넘쳤다. 생각해 보라. 토머스 없이 진행되는 장면은 책에서 단 하나도 없었다(에필로그 제외). 영화도 거의 그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연들은 하나같이 빛이 났다. 또, 죽는 이들도 똑같이 죽어서 다음 편에도 비슷한 현상을 겪을 것 같다.
사실 『메이즈 러너』는 영상화하기 아주 좋은 소재를 지니고 있다. 괴수(그리버), 미로, 재앙, 글레이드(책에서는 공터라고 부른다)에 대한 자세한 묘사는 독자들의 상상력을 자극했고, 웨스 볼은 그것을 스크린에 멋지게 구현해내었다. 영화와 책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 바로 '탈출구'인데, 개인적으로 책이 더 마음에 든다. 책에 묘사된 '절벽'은 내가 예전에 즐겨했던 게임, '마인크래프트'의 베드락 아래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절벽의 묘사를 표현하면, 대략 이 정도?) 출처: 구글 이미지
결론은, 책이든 영화든 어느 것을 보든 큰 즐거움을 맛볼 것이고, 나아가 이 이야기를 하나의 상징으로 본다면 많은 깨달음을 얻을 것이다. 다음 편을 정말 읽고 싶지만, 영화를 위해 나도 참는다.
(메이즈 러너처럼 책이 기대되는 작품은 '에메랄드 아틀라스' 시리즈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