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견 치로리 - 쓰레기장에 버려진 잡종개가 치료견이 되어 기적을 일으키다, 개정판
오키 토오루 지음, 김원균 옮김 / 책공장더불어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과 개, 고양이의 관계심리학』은 인간과 개, 고양이의 관계 및 인간이 동물에게 미치는 영향과 개와 고양이에 대한 의문에 대한 대답이 있는 책이다. 그 책은 제목처럼 심리학과 과학의 입장을 통해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정리한다. 그래서 『치료견 치로리』는 위의 도서와는 차이가 있다. 사실 치로리는 꽤 유명하다. 2006년에 암으로 죽었을 때, 300명의 사람들이 '치로리'라는 개를 위해 추모회를 열었다. 그리고 국내에는 『고마워 치로리』로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당연히, 개가 만든 감동 실화다.

 

 치로리는 장애가 있는 잡종개다. 그러나 그는 다른 수많은 개들보다 더 뛰어난 일을 한다. 치료견 훈련을 마치고, 치료견이 된 치로리는 전신마비 환자를 움직이게 하고, 말을 잃은 노인에게 말을 되찾아주었다. 그는 버림받았지만, 그것을 복수하지 않고, 치료견이 되어 세상을 밝힌 것이다. 사람들도 쉽게 할 수 없는 일을 개가 하다니, 참 부럽고, 부끄러웠다. 그의 이야기는 마치 영화와 같다. 만약, 치로리가 그대로 유기견이 되어 안락사당했다면, 이 아름다운 이야기는 모두 없어졌겠지.......

 

 치로리. 2006년에 암으로 떠나고, 1년 후에

 『고마워 치로리』가 출간되었다(『치료

 견 치로리』는 그 책의 개정판이다).

 

 한편으로, 우리나라에는 왜 치로리 같은 좋은 개가 없을지 곰곰이 생각해본다. 우선 우리는 애완견을 더 하등한 생물로 본다. 그저 평등하게만 바라보면 되는데....... 안타깝다. 무엇보다 애완견이 질리면, 마치 생명이 없는 물건을 버리듯 유기한다. 하지만 주인이 유기한다고 해서 책임이 사라지는가? 유기견은 주인이 없으면 안락사당한다. 이 얼마나 억울한 일인가? 자신은 충실하게 주인을 따랐는데, 어느 날 주인이 나를 버리고, 이제 죽어야 한다니. 만약 내가 개를 키운다면 절대 유기시키지 않을 것이다. 치로리는 못 된다 해도, 누군가의 삶의 희망이 될 수 있는 그런 존재로 만들 것이다. 그 전에 내가 그런 사람이 되어야겠지만.

 치로리는 죽었지만, 그의 메시지는 여전히 우리 곁에 남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