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 종말론적 환경주의는 어떻게 지구를 망치는가
마이클 셸런버거 지음, 노정태 옮김 / 부키 / 2021년 4월
평점 :
대개 사회적 통념을 지적하는 책들은 열렬한 지지를 받거나, 격렬한 공격을 받는다. 하기야 "당신 생각이 틀렸습니다"라고 말하는 책들에 마냥 호의적인 시선을 보내기가 쉽지 않다. 나 역시 마이클 셸런버거라는 사람에 대해 들은 적도 없고, 서점에서 우연히 끌려서 구매한 것이라 반신반의하는 마음으로 책을 읽기도 했다. 리뷰를 쓰는 지금도 그의 주장에 부족한 점이나 논리적 허점이 있는지 궁금하다. 다만, 종말론적 환경주의, 나아가 환경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에 비판적인 나로서는 저자의 기획 의도에는 적잖이 동감하는 바이다.
환경을 지키기 위해, 나아가 지구를 지키기 위해 인간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교과서나 공익 광고에서 배운 대로라면, 우리는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전기를 아껴 쓰며, 고기 섭취를 지양해야 한다. 얼마 전에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에서 육식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제로 한 글을 본 적이 있다. 그렇다면 채식주의자에 재활용품만 사용하는 아날로그 인간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지구를 지키는 데에 한층 더 기여하고 있을까? 슬프게도, 그것을 꾸준히 실천하는 사람들도 현실을 직시하고 있다. 빠르게 녹아가는 만년설과 한반도보다 커지는 쓰레기 섬, 몇 달씩 지속되는 산불 소식을 들을 때마다 마음이 좌절되곤 한다. 그들은 무엇을 위해 그토록 노력하는가?
종말론적 환경주의는 인류가 병들어가는 지구를 고치기에는 너무 늦었고, 지구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문명을 모두 뒤엎는 변혁이 일어나야 한다는 움직임이다. 그들의 행동 방식은 환경 파괴의 앞잡이로 여겨지는 육식, 도시 개발, 그리고 원자력에 정면으로 맞서는 것이다. 그러나 저자는 각 장마다 그것들이 사실은 환상에 가깝다고 주장하며, 원전을 모두 해체하고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이들의 생각에 반박한다. 또한, 환경 보호를 내세우며 개발도상국이 성장하는 것을 원천에 차단하는 선진국의 위선을 고발하기도 한다.
어쩌면 이것이 『지구를 위한다는 착각』의 요지일지도 모른다. 왜 환경주의자들은 호화로운 전용기를 몰고 다니며 지구를 지켜야 한다고 부르짖는가? 어째서 선진국들은 개발도상국의 도시화를 가로막는가? 그저 위기에 빠진 지구를 구한다는 명목으로 원하는 것을 이루고야 마는 환경주의자들이야말로 지구를 진정으로 위험에 빠뜨리고 있지는 않은가? 어떤 이들은 걱정한다. 현재 농업, 어업 기반의 국가들마저 공업, 첨단 산업으로 전환하면 지구에 남아 있는 자원이 없지 않겠냐고. 식량 부족과 에너지 고갈로 현재의 인구가 그 생활을 영위할 수 없지 않겠냐고. 글쎄, 그걸 인식하는 사람들은 아마 기존의 편한 생활(언제든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환경, 원하는 음식을 매일 먹을 수 있는 여건, 필요할 때만 일회용품을 쓸 수 있는 조건)을 포기하고 싶지 않아서 그런 말을 할지도 모른다.
물론 나는 저자의 의견에 모두 동의하지 않는다. 개인의 힘으로 현재의 문화적 흐름을 바꿀 수는 없겠지만, 환경에 유해한 것들을 줄이려는 인식이 확산되면, 생산하는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것이다. 원자력에 대한 지나친 옹호도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사고가 날 확률이 불가능한 것도 아니며, 한 번 발생하면 생태계에 반영구적인 손상을 주는 것이 원전인데, 조금 비효율적이고, 저자의 주장대로 친환경과 거리가 멀다 해도 신재생 에너지로의 도입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재생 에너지가 도입된다면, 그것이야말로 새로운 세상의 시작이 아닐까, 라는 기대도 든다. 그리고 종말론적 환경주의에 대한 비판적 입장도, 저자의 지위를 고려했을 때 다소 정치적으로 보인다. 본래 "이것은 정치가 아니라, 교육이다"라고 말하는 사람을 조심해야 하는데, 환경 휴머니즘을 주창하기에는 아직 보여준 것이 많이 없다. 두 번째, 세 번째 책에서 더 풍성한 논의가 나온다면, 그때 이 책을 재평가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가장 와 닿았던 부분은 자연(nature)의 본성에 대한 설명이었다. 자연은 자기 통제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큰 변화를 겪는다. 새로운 종이 탄생하고, 내지는 진화하고, 기존의 종이 멸종하는 것도 모두 자연의 일부이다. 기후와 지구 생태계에서 벌어지는 현상도 점진적이고 순차적이다. 어떤 특정한 기간의 기후 변화를 놓고 '위기'나 '종말'을 언급하는 것은 지구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다. 인간이 아무리 현상을 보존하려 해도, 특정한 종의 탄생과 절멸은 필연적이다. 이것을 인식한 이들은 인간의 시대가 다했다는 의미를 부각하기 위해 '인류세'(anthropocene)의 개념을 도입하기도 했다. 요컨대, 인간을 생태계에 속한 일부로 보고, 그들이 멸종한 이후에는 새로운 종의 시대가 도래한다는 주장이다.
미래에는 어떤 시대가 도래할까? 그야 아무도 모른다. 기후 위기를 지혜롭게 극복해서 전 세대가 조화롭게 풍요 속에 살아갈 수도 있고, 부족한 자원을 차지하기 위해 파멸적인 전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과학 기술과 자연 환경의 균형이 유지될 수도 있고, 인간이 살아갈 수 없는 환경이 조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러한 상태에 대해 우리가 "자연스럽지 않다"고 말할 수 있을까? "지구는 인간이 살 수 있는 유일한 행성이다"라는 명제는 인간의 관점에서만 유효한 것이다. 지구는 그 명제를 증명할 이유가 없다. 그러니 자기 만족을 위한 명제를 지키려고 노력하고 있다면, 다시 생각해 보라. 지구는 당신의 생존에 그다지 관심이 없다. 지구를 지구스럽게 만들자. 해석은 당신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