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4
헤르만 헤세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200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싱어송라이터 박소은의 <너는 나의 문학>이라는 노래가 있다. "너는 나의 문학 작품이야"라는 고백을 다양한 책을 통해 전하는 가사가 인상적인데, 그 중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와 『데미안』이 언급된다. 헤르만 헤세에 대해서는 잘 몰라도, (막스) 데미안은 익숙한 독자들이 더럿 있을 것이다. 그 명성과 영향력이 지대했기에 어린 시절 『수레바퀴 아래서』의 내용에 충격을 받았던 내가 『데미안』을 이제야 읽는 것이 이상할 정도였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작가의 자전적 체험이 다분히 담긴 이 소설은 나에게 그렇게 흥미롭지 않았다. 아마도 내가 너무 커버린 탓이겠지. 기존의 세상에 대한 인식을 깨라, 특히 이분법적인 가치관으로 세상을 바라보지 말라는 막스 데미안의 외침은 오래 전부터 내면화되었던 주제였기에 '늦은 혼잣말'이 되었다. 그래도 박소은의 노랫말이 얼마나 낭만적이었는지 다시금 깨달았다. "너는 나의 데미안"이라는 말은 "너는 또 다른 나야"라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헤르만 헤세는 왜 그토록 정해진 틀과 자신을 가둔 세계를 깨고자 했을까? 때로는 그 보호되고 정제된 세상이 자신을 지켜주기도 하는데 말이다. '새'라는 상징성이 큰 까닭은 거기에 있다. 아기새는 어미새의 둥지 아래서 먹이를 먹으며 살아갈 수 있지만, 때가 되면 스스로 나는 법을 익혀야 한다. 단순히 주변의 환경을 깨는 것에 그친다면, 성장과 반항은 무의미하다. 그 모든 몸짓들이 도약으로 이어졌을 때, 새가 느낀 고통은 커다란 희열로 변한다. 이러한 보편적인 원리로 이유를 설명하는 일이 때로는 더 나을 수도 있다. 어린 시절의 억압을 거스르는 태도, 제1차 세계대전이 주는 상실감 등은 깨달음에 이르는 여정의 일부였다. 그러한 경험들이 많은 것을 대변해줄 수는 있어도 전부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헤르만 헤세의 발칙한 사유들, 예를 들어 아브락사스나 카인의 표식 등에 대한 기나긴 설명들은 한국의 독자들에게 와 닿지 않을 수도 있다. 한국은 유럽처럼 카톨릭(내지는 개신교)이 일상생활에 배어 있지도 않기에 야곱의 씨름이나 십자가에 매달린 두 강도들이 표제로 나올 때 의아함을 느끼는 독자들도 있을 것이다. 오히려 1장부터 프란츠 크로머로부터 구제해주는 '사이다'를 선사하는 데미안의 모습이 더 각인되었으리라. 하지만 나를 둘러싼 모든 인물들은 양면적이다. 구세주처럼 보이는 존재가 악마가 되고, 영원한 사랑처럼 여겨진 존재가 사실은 과장되었음을 깨닫기도 한다. 이 작품의 주인공이 싱클레어라는 사실을 잊지 말자. 주변에서 알을 깨라고 다그쳐도, 선택은 그대의 몫이니까. 

그는 그저 한 여인을 얻는 대신 온 세계를 가슴에 품게 되었다. 하늘의 모든 별이 그의 내면에서 빛났으며, 그의 마음에 기쁨의 빛을 반짝이게 했다. 그는 사랑했고, 그럼으로써 자기 자신까지 찾은 것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대개 사랑하면서 자기 자신을 잃는다. - P1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