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인의행복한책읽기>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 - 독서의 즐거움
정제원 지음 / 베이직북스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아침에 눈을 뜨니 좀처럼 붓지 않은 얼굴이 퉁퉁 부어오르고 몸은 천근만근이나 되는 것처럼 자리를 털고 일어날 수가 없었다. 딱히 뭘 잘못 먹은 것은 없는데 며칠 동안 새벽까지 책을 읽느라 기력이 쇠한 탓인지 '눈이 붙었다'는 표현이 그냥 나온 말이 아님을 실감했다. 고3때 이렇게 공부했더라면 지금의 나와는 또 다른 삶을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 요즘들어 자주 한다. 저질 체력 탓에 아무리 중요한 시험이 있어도 밤샘 한번 해본적 없고, 자정이면 무조건 잠자리에 들었던 내가 나이 서른이 훌쩍 넘어 뒤늦게 '책바람'이 들어 날이면 날마다 새벽까지 독서삼매경이라니... 아무리 생각해도 참 신기하다.
소설이야 원래부터 좋아했었지만 어느 순간부터 재미가 붙은 인문학 관련 책들은 확실히 생각의 깊이를 더하고 세상을 다르게 보는 눈을 키워준다. 하지만 책 읽기가 재미있어 질수록 '책 고르기'에 대한 고민이 커지는 것도 사실이다. 결혼생활 초기에는 책 한 권 맘편히 읽을 시간이 없었는데 수년 전부터 여유가 좀 생기니까 말 그대로 닥치는대로 읽었었다. 그리곤 활자를 읽는다는 것 자체에 스스로 감격해하는 요상스런 독서를 했다. 그런 과정을 거치고 나니 이젠 한 권을 읽어도 피가 되고 살이 되는 독서, 한 권을 가지더라도 소장가치를 따지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
<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와 같은 책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솔직히 궁금했다. 남들은 어떤 책을 읽고 그 책은 어떻게 고르며, 소장 가치는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는지 등 책을 읽고 관리하는 것까지 많은 것이 궁금했다. 이렇게 말은 하지만 솔직히 처음엔 사람들을 통해서 정보를 얻었지 독서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책에 대해서는 그렇게 긍정적이지 않았음을 고백한다. 독서는 지극히 개인적인 취미라서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할지라도 섣불리 추천하거나 선물하는 것이 망설여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책은 이렇게 읽어야 하고, 이 책은 꼭 읽어야 한다고 하면 그런 조언이 독자들에게 보편적으로 맞아떨어질까 회의적이었다.
지금은 생각이 좀 달라졌다. '독서를 위한 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들, 정보의 가치를 알기 때문이다. 우선 '감히' 독서의 방향을 제시하는 책을 내려면 저자가 오랜 시간 동안 엄청난 권수의 책을 읽어야 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지식과 노하우는 그냥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정도를 열정과 노력, 경험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음을 말이다. 읽은 책을 다시 분류하고 정리하고 문단의 평론과 독자들의 반응, 현시대를 살아가는 대중들에게 공감을 끌어낼 수 있는지 등 주관적이면서도 객관성을 유지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독서에세이'가 문학이라면 <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는 인문학에 가깝다.
기억하고 싶은 내용 중에 두 번 이상 읽는 책을 늘려야 한다, 서점을 사랑하고 작가를 사랑하라, 어려운 책에 도전하라, 책에서 책으로 지식을 확장하라... 등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조언들이 많아 역시나 읽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덮으면서 보니 나중에 주문해야지 하며 따로 적어둔 책들이 정말 빼곡하다. 신기한 것은 저자가 언급하고 있는 책들이 한 번쯤은 들어봤었고 이미 장바구니에 담긴 책도 더러 있다는 것을 볼 때, 시대를 뛰어넘어 보편적인 가치와 통하는 스테디셀러라는 것이 확실히 있긴 있나보다 싶었다. 독서에 있어서 나만의 스타일, 나만의 독서 계획을 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앞으론 타인의 독서, 특히 고수들의 비법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겠다는 다짐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