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일전쟁 - 세계 최강 해군국 조선과 세계 최강 육군국 일본의 격돌 우리역사 진실 찾기 2
백지원 지음 / 진명출판사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에 관심이 많다. ^^ 역사는 그저 지나가버린 이야기가 아니라 과거를 통해 현재와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계기가 되곤 한다. 같은 사건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대할 때면, 혼란스럽다기 보다 오히려 역사에 대한 관심이 커진다. 특정 인물이나 사건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재평가 되었다가 후대에 또다시 재평가 되기도 하는 것처럼 역사는 시대에 따라,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역사는 카메라에 찍힌 피사체처럼 고정이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이들에 따라 다양한 해석들이 나오는 것이다. 
 

 <조일전쟁> 이 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도 '다양성'이라는 부분과 연결된다. 우선은 임진왜란을 조일전쟁이라 불러야 한다는 것을 제목으로 말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맘에 들었다. 7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국토는 황폐해 지고 왕궁은 불탔으며 수많은 백성들이 죽임을 당했다. 더구나 명군이 출병했고 조선에서도 의병을 비롯해 수많은 영웅을 낳았던 사건을 단순히 왜란이라고 주장하다니 이것은 분명 역사적 오류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공감과 기대로 시작했던 책 읽기는 시작과 동시에 암초에 부딪혔다. 책읽다가 던져버리고 싶었다, 라는 경험을 들은 적이 있는데 기분이 딱 그랬다. --;; 차례에서 부터 '거지 같은 공신 책봉', 이거 왠 막말이지? 라고 했는데 갈수록 가관이다. 본문 첫페이지부터 '등신 같은 선조 임금', '일본애들은, '애새끼라도 오기가 있으면', '쳐먹고 놀다가', '개같은 서인'(p.25-27) 등등 표현이 너무 거칠다. 술 한잔 걸치고 까마득한 후배들에게나 할말이지(현실에서 이런 선배 만나면 다시는 안볼거지만) 대중서에는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  

 

 가령 A가 B에게 억울한 일을 당하여 C한테와서 육두문자 섞어가며 B욕을 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C는 B에게 향할 것이기는 하나 면전에서 욕을 들어야만 한다. 개인적으로 그런 상황 매우 싫어한다. 그냥 자초지종과 억울한 일만 전달하고 공감을 호소할 것이지 왜 욕까지 해대냐는 것이다. 더구나 역사학자라면서 이토록 감정적인 표현을 쓴다는 것이 이해가 안된다. 주장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냉철하게 판단하고 증거 자료를 제시하면 될 것을... 이렇게 막나가니 객관성이 떨어지고 횡설수설하는 것 처럼 보인다. 

     

 일단은 앞서 언급했던 것 처럼 '임진왜란 보다 조일전쟁' 이라는 주장에 공감하고, 당시 선조의 무능함과 썩어빠진 조정 신료들에 관한 부분도 인정한다. 솔직히 신라나 고려에 대한 사료가 워낙에 부족한 이유도 있고, 근대와 연결되는 부분이기도 하다보니 조선시대가 많이 비춰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유교니 성리학이니 저자가 흥분하는 것 만큼이나 싫어하는 독자들 많으리라 생각한다. 나라가 위급한 상황이나 천민들은 군에 지원할수도 의병으로 활동할 수도 없어 그들끼리 뭉쳐서 싸워야만 했다. 전쟁 후 논공행상의 부당함은 말할 것도 없고 억울하게 끌려간 백성들을 향한 차가운 시선은 그 시대를 살았다는 이유만으로 겪어야 하는 아픔이었다. 

 

 우리 역사 바로 알기에 대한 의견은 좋은데 이순신 장군의 키가 실제보다 부풀려 졌다든지 해전의 승패에 연연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저자 스스로도 밝혔듯이 '해전다운 해전'의 기준과 승과 패의 기준을 어디에 두는가 하는 것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말이다. 이순신 장군의 최후에 대한 자살설, 은둔설과 원균에 대한 이야기를 비롯해서 거북선의 실제 모습까지도 수년전 '불멸의 이순신'이라는 드라마가 방영될 당시 나왔던 이야기라서 새로울 것도 없었다. 중요한 것은 이순신이라는 영웅과 거북선은 역사의 한 부분에 머물지 않고 애국심을 상징하는 '신화적 존재'가 되었다는 사실이다. 그것은 대한민국 국민들이 유별나서가 아니라 세계 어느라든지 마찬가지다. 역사의 왜곡이 아닌, 역사의 진화인 것이다.    

  

 끝으로 한 마디만, 초장에 머리말에서 역사 왜곡의 심각성은 '수많은 멍청한 독자들이 조작된 역사에 만족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 부분에서 하도 어이가 없어서 소리 내어 웃었다. 역사 왜곡이란 그 시대의 정치가들과 그에 부응하는 역사학자들 때문이라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독자는 학자들이 쓴 글을 통해서 지식을 습득하는 사람들인데 어떻게 전문가들 보다 더 역사를 왜곡한다는 말인가? 대중들이 잘못된 역사 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느낀다면 학자로서의 게으름을 먼저 탓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순신 장군의 전적가지고 딴지 걸 여력이 있다면 동북공정과 독도 문제에 열정을 쏟으라고 말하고 싶다. 대신 욕은 하지 말고. 이런 문체로 중국이나 일본에 대응한다고 생각하면 그들이 우리 수준을 어찌 볼지 생각만해도 낯이 뜨겁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int236 2009-09-04 18: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습니다. 백지원씨의 책은 왕을 참하라를 읽었는데요. 상하로 된 두권의 책을 읽는 것이 무척이나 힘들었습니다. 정말 돈이 아까워 오기로 읽었던 기억이. 그 후 두번 다시 이분의 책은.ㄷㄷㄷ

푸른바다 2009-09-07 11:43   좋아요 0 | URL
제가 평소에는 긍정적인 책읽기와 서평을 자부하는 편인데 이번에는 다소 격한 표현을 쓰게 되었답니다.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도 중요하지만 독자들에게 어떤식으로 다가가느냐도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준 책인 것 같아요. 서평 올려놓고도 괜시리 마음이 불편했었는데... 공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