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스바루>를 읽고 리뷰해주세요.
굿바이, 스바루 - 뉴욕 촌놈의 좌충우돌 에코 농장 프로젝트
덕 파인 지음, 김선형 옮김 / 사계절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농부는 농부인데 어설퍼 보이는 한 남자가 표지를 장식하고 있다.  편하고 아늑한 도시 생활을 포기하고 뉴멕시코의 외진 곳으로 내려간 그는 자연친화적인 에코 농장을 일구어 가는 과정을 책으로 펴냈다. 그가 추구하는 것은 단순히 귀농해서 공기 좋고 물 맑은 곳에 산다는 개념이 아니다. 우선은 의,식,주의 자급자족으로 농작물과 가축을 키우고 먹고 남는 것은 내다 팔기도 한다. 거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태양열을 모아 자가 연료를 확보하고 석유가 아닌 폐식용유로 움직이는 차를 운전한다. 제목의 '스바루'는 농장으로 오기 직전까지 저자의 애마였던 도요타 자동차로 문명의 이기(화석연료, 탄소가스 등)를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인생이 계획대로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솔직히 농장주가 되겠다는 결심을 굳히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까지도 충분히 힘들었을 텐데 모든 것이 일사천리로 평탄하지만은 않다. 그 이유 때문에 독자들은 그의 이야기에 더욱 귀를 기울이겠지만 말이다. 에코 농장을 만들어 가는데는 어느 정도의 초기 비용을 생각해야 하고, 치명적일지도 모르는 화학물질의 힘을 빌려야 한다든지, 염소와 닭을 괴롭히는 코요테와 날짐승들의 습격, 자연재해 때문에 농작물을 망친 일, 언제 어디서 나타날지 모르는 방울뱀의 위협에도 노출되어야 한다. 책 읽다보면 '맨 땅에 헤딩한다'는 표현이 딱 어울리는 장면들이 많다. 

 

 여행작가이면서 프리렌서로 활동하던 저자는 뉴욕 토박이였다고 한다. 처음엔 그랬다. 배울만큼 배우고 나름 잘난 사람으로 보이는데 왜 하필 '에코 농장'에 필이 꽂혔을까. 차라리 자신의 능력을 다른곳에서 펼쳐도 될텐데 라고 말이다. 하지만 오늘날 인류에게 당면한 가장 시급한 과제가 환경 문제라는 것을 떠올려보면 저자의 노력이 결코 헛되지 않음을 알게 된다. 인간은 노력하기에 따라서 자연을 훼손하거나 파괴하지 않고, 자연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직접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조금 더 편하자고 개발을 서두르고, 탄소 가스를 뿜어낼 것이 아니라 미래를 위해 무엇이 최선인지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다.

 

 사람이란 '궁하면 통하는 것'이고, '목 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고 했다. 우리 나라의 경우 기름 한 방울 나지 않는 나라가 아닌가. 이만한 기술력이면 세계 제일의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폐식용류로 움직이는 차량, 태양열 같은 대체 에너지 개발도 마음만 먹으면 충분히 앞서나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무엇이 문제일까. 오히려 북유럽의 복지국가로 알려진 스웨덴은 1차 오일쇼크 이후 꾸준히 '석유 제로'를 내세우며 세계에서 탄소 연료를 가장 적게 소비하는 나라가 되었다. 석유야 말로 가장 쉽게 세금을 거둬들이는 방법이기 때문에 유혹을 떨칠수는 없겠지만 미래 환경이나 후손들을 생각한다면 에코 산업을 꾸준히 지원하고 정책적으로라도 대체 에너지 개발을 서두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