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을 리뷰해주세요.
-
-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 상처에서 치유까지, 트라우마에 관한 24가지 이야기
김준기 지음 / 시그마북스 / 2009년 7월
평점 :
트라우마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말하며 신체적, 정신적 충격을 경험한 후 나타나는 심리적 외상"을 뜻한다. 트라우마 즉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해 처음으로 관심을 가지고 그 심각성을 깨달았던 때가 바로 IMF 직전이었다. 성수대교 붕괴, 대구 지하철 폭팔사고, 삼풍백화점 붕괴 이 외에도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질 않았었다. 당시 참사에서 살아남은 이들은 물론이고 유족들과 생존자들의 가족들을 비롯해서 전 국민이 함께 슬퍼하고 충격에 빠졌던 기억이 난다.
그 후로 수년이 흐른 뒤 생존자들을 인터뷰한 내용이 있었는데 눈만 감으면 그 때의 상황이 떠올라 패닉 상태에 빠지곤 한다는 것이었다. 삶에 대한 의욕이 없어 무기력해지고 도대체 무슨 잘못을 했길래 그런 끔찍한 상황을 겪어야만 했는가 스스로를 자책하기도 하고 때에 따라서는 주변 사람들, 애먼 사람들에 대한 원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반응은 트라우마를 겪은 이들에게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모습이다.
만약 주위에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이 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처음에는 그들의 상처에 안타까워하고 함께 슬퍼할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느정도 시간이 흐르면 "이제 그만 잊어라, 무기력한 생활을 벗어나라, 예전 모습으로 돌아오도록 노력하라"는 식으로 압박아닌 압박을 하게된다. 그때 일을 되뇌이고 자꾸 떠올릴수록 결국 당사자만 괴로워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자는 단호하게 말한다. 이같은 행동이야말로 트라우마를 겪은 이들에게 2차적인 상처가 될 수 있다고 말이다.
"그곳을 빠져나가는 최선의 방법은 그곳을 거쳐 가는 것이다. - 로버트 프로스트 (p.178)"
상처를 외면하지 말고 당당하게 맞서라는 말, 솔직히 많이 들어봤다. 자기계발서에서도, 성장 소설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내용이다. 이럴땐 장르는 다르지만 결국 길은 하나로 통한다는 것을 느끼곤 한다.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은 심리적 충격을 받은 직후 공황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지 못하고 왜곡해서 받아들이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상처를 덮어두면 덮어둘수록 왜곡되어 받아들여진 내용이 심리적 상태를 지배하게 되어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다. 당장은 자신이 없더라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꾸준히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나라의 경우 트라우마나 우울증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었음에도 정신병원에서 상담받는다고 하면 다들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아동심리치료사' 라는 직업은 그나마 들어보기라도 한 것 같은데, 어른의 경우 트라우마를 상담받거나 구체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곳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 말하고 있는 것 처럼 트라우마 라는 것은 언론에 보도될 만큼 큰 사건, 사고를 통해서만 겪는 것이 아니라 일상 생활 속에서 창피를 당하거나 어린시절 사소한 상처가 트라우마로 자리잡았다가 어른이 되어서 일깨워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어느 누구도 과거로 돌아가서 새롭게 시작할 순 없지만 지금부터 시작하여 새로운 결말을 맺을 순 있다. - 카를 바르트 (p.11)"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이 책은 24편의 영화를 통해 트라우마란 무엇인가를 시작으로 원인, 유형, 치료까지 설명하고 있다. 처음엔 직접 본 영화가 다섯 손가락으로 꼽히는 정도라서 당황하기도 했는데, 각 파트마다 1편 이상은 아는 영화가 나오고 영화마다 내용이 소개되니 큰 어려움은 없었다. 영화나 소설 속 주인공이 아니더라도 사람들은 저마다 크고 작은 트라우마를 가지고 산다.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용기는 결국 가족과의 관계, 친구, 연인과의 관계를 통해서 힘을 얻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을 믿고 '그 길'을 걸어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