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마지막 인터뷰>를 리뷰해주세요
노무현, 마지막 인터뷰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노무현!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기자와 나눈 3일간 심층 대화
오연호 지음 / 오마이뉴스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  - 대통령 노무현 비문 -  
 

 그 날은 평소와 다를 것 없는 지극히 평범한 주말이었다. 적어도 늦잠에서 깨어 TV를 켜기 전까지는 그랬다. 처음엔 '노 전 대통령 등산하다가 실족'이라는 속보를 보고 깜짝 놀라 주목하고 있었는데 이어 '투신', '서거'라는 보도를 접하고 깊은 한 숨이 새어 나왔다. 솔직히 전날 까지만해도 언론에서 시끄럽게 떠들던 검찰 조사와 관련하여 조금은 비뚤어진 시선이었다. 하지만 죽음으로써 명예를 지키려 했던 고인의 선택을 대하니 그제서야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언제쯤이면 죄책감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사람들은 어리석다. 결국은 잃은 후에야 소중함을 깨달으니 말이다. 

 
  서거 소식과 함께 전국민이 오열하고 슬퍼하는 가운데 노무현이라는 한 사람에 대해 새롭게 조명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국민들의 바램을 읽기라도 한듯이 언론들도 앞다투어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추모 방송을 내보내고 있었다. 오래 기다릴 것도 없이 출판계도 어찌나 발빠르게 대응하는지 감성에 호소하는 책들이 마구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젠 좀 차분해질 필요가 있다. 언론에서 뭐라고 보도하면 거기에 솔깃에서 마구 욕하다가 반대 의견을 내놓으면 다시 아니구나, 하면서 줏대없이 끌려다닐 것이 아니라 이젠 감정을 가다듬고 이성적으로 판단해야 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노무현 대통령 스스로도 말하기를 자신이 당선된 것은 '우연'이라고 하였다. 민주당 경선 후보로 출마할 때만 하더라도 대통령이 되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이인제 씨를 견재하기 위해서 였다고 한다. 경선에 불복하고 다른 당에서 다시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한다는 사실이 노 전 대통령에게는 용납이 되지 않는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노 전 대통령의 당선은 원칙있고 떳떳한 정치가 이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좋은 예가 되었다. 대통령 취임 이후 한나라당으로 부터 탄핵을 받자 국민들은 분노했고, 열린우리당을 제 1당으로 만들어 주었다. 

 
 하지만 국민들이 해줄 수 있는 것은 모두 해주었다고 믿고 있는 반면에 경제는 더 어려워 지고, 이라크 파병과 한미 FTA 체결 등 퇴임때까지 지지도가 계속 추락했다. 더구나 대통령의 임기 말년에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제각각 살길을 찾아 대통령에게 등돌리기를 시작했고, 노 전 대통령의 증언처럼 자신과 독대라도 해서 충분히 의사를 전할 수 있었던 사람들이 그 자리에 있을 때는 아무말도 없다가 뒤에서 공격하는 지경까지 갔다. 신기한 것은 퇴임 후 고향인 봉하 마을로 돌아가 평범한 시민으로 돌아가자 오히려 인기가 급상승 하였고, 국민과의 소통도 더 활발해 졌다는 것이다. 결국 그 이유가 비극의 씨앗이 되었지만 말이다.   
 

<노무현, 마지막 인터뷰> 이 책을 처음 보았을 때만 해도 노무현이라는 인물을 다룬 많은 책들 중 한 권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노무현 대통령의 임기말년에 이루어진 인터뷰를 바탕으로 연재되었던 <인물연구 노무현>을 책으로 펴내려다가 결국 서거 이후 출간된 것이라고 하니 객관성의 측면에서 믿음이 갔다. 대통령 못해먹겠다고 말할 수 있었던 인간 노무현은 참 진솔했다. 대통령되면 세상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뜻대로 되지 않았다고 털어놓는 모습에서 특히, 개인적인 신념과 반하는 결정을 내려야 했을 때 힘들었다고 말하는 모습이 인간적으로 느껴졌다.    
 

 인간 노무현은 김구 선생과 링컨 대통령을 가장 존경한다고 했다. 평생을 원칙있는 삶, 지조 있는 삶을 살았다는 이유에서이다. 신념을 위해 기꺼이 '바보 노무현'이 되었던 그는 무엇을 말하고 싶었을까. 정치는 줄을 잘서서 하는 것이 아니라 소신있는 사람이 하는 것이라고, 불법자금 없어도 선거 운동 할 수 있다고, 권력을 위해 정치가가 되려하지 말고 서민의 편에 서기위해 정치를 해야한다고, 정치는 잘 난 사람들이 알아서 하도록 내버려 두는 것이 아니라 국민의 뜻을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라고... 이것이 바로 노 전 대통령이 우리에게 남긴 유산이다. 

 
"나는 처음부터 정치하려고 이 판에 뛰어든 게 아니다. 강자의 횡포에 맞서다 보니 나도 모르게 정치인이 됐다. - 노무현 - (p.1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