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빈곤대국 아메리카 르포 빈곤대국 아메리카 1
츠츠미 미카 지음, 고정아 옮김 / 문학수첩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미국이란 나라의 허상이 솔솔 드러나기 시작한 것은 아마도 마이클 무어라는 다큐영화감독의 영화들을 하나둘 보기 시작하면서부터인 것 같다. 미국내 총기소지, 9.11테러에 대한 정치권의 배후, 그리고 최근에는 미국 의료보험제도의 현실에 이르기까지 그가 다룬 주제들은, 미국이란 거대한 이미지뒤에 감춰진 실제 모습은 우리가 생각하듯 위대하거나 결토 낭만적이지 않다는 걸 일깨워 주었다. 미국의 비만인구에 대한 반성과 패스트푸드 식습관을 고발한 모건 스퍼록의 '수퍼사이즈 미' 역시 또하나의 이면을 드러내주는 자료영화라 할 것이다.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침체를 겪고 있는 요즘에는 마구잡이 신용팽창이라는 미국의  경제적 부실과 직면하여, 케네디시절의 프론티어 정신이 무색해진 취약한 나라의 뒷모습이 처량하기만하다. 마침 이즈음 일본인 작가의 미국 르뽀는 현실감과 함께 시의적절성을 띠고 독자들에게 다가간다.

 

빈곤대국 아메리카...... 미국이 빈곤하다는 말에 몇프로 정도가 동의할까? 달러보유고로 한 나라의 경제기반이 평가되는 시절에 그 달러의 종주국인 미국이 가난하다면 말이 되는가. 물론 빌 게이츠도 워렌 버핏도 미국국적이다. 그리고 뉴욕의, 엘에이의 명품가에는 보통 사람들에게는 일년 생활비의 옷값 가방값이 즐비하지 않는가. 명품구매자들은 비싼 의료보험에도 가입하고 마음껏 그 혜택도 누릴 것이다. 그러나 미국내 빈곤계층은 어떤 생활을 하고 있나. 한 나라가 국민 생활의 기초를 보장하고 사회적 재분배를 통해 빈곤층을 끌어 안을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에 따라 국가의 기본 소임을 다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지 않을까. 미국은 자본주의가 가장 성공적으로 실현된 나라이자 자본주의의 가장 큰 폐단도 몸소 겪고, 아니 앓고 있는 나라이다.

 

<빈곤대국 아메리카>가 꼽고 있는 빈곤 미국의 요소들은 크게 5가지이다. 비만, 재난의 민영화, 의료보험, 청년층의 학자금대출과 모병비리, 그리고 전쟁의 민영화가 그것들이다.

 

비만이란 소득이 높은 계층에서 발생하는 질병이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란 것이 저자의 견해다. 실제로 고소득층의 자녀들은 가정에서 질좋은 재료로 만든 슬로 푸드와 영양가 있는 음식들로 적당한 체중을 유지하는 반면 빈곤층의 자녀들은 푸드스탬프로 겨우 한끼 때우는 방식으로 생활하기 때문에 햄버거와 피자등 고열량, 저영양의 음식을 먹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적은 돈으로 수퍼마켓에서 구입할 수 있는 재료는 저가에 요리가 간편한 냉동음식들 뿐이다. 이렇다보니 빈곤층의 아이들중에 비만아가 많아지는 것이다.

허리케인 카트리나로 쑥밭이 되어버린 뉴올리언즈는 사실 좀더 일찍 재난 방재를 준비할 숟 있었음에도 재난이라는 중대한 사안마저 민영화라는 자본주의적 발상에 노출되어 뒤늦은 처치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것은 극단적인 자본주의의 폐해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도대체 국가란 무엇이고 정부의 일은 어디에 있는가?

 

민영화의 폐단은 의료보험제도에서 가장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영화 '식코'에는 넷째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을 절단당하는 사고를 입은 환자가 어마어마한 치료비때문에 가운데 손가락의 치료를 포기하고 넷째 손가락만 잇는 수술을 받았다고 피력하며 절단된 가운데 손가락을 보여주는 장면이 나온다. 그처럼 고가의 보험료를 부담할 수 없는 중류층이하의 사람들은 그저 살아있는 동안 아프지 않기만을 간절히 고대하며 하루하루를 불안하게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심지어 아이를 출산한 산모가 당일 퇴원이라는 무리수까지 무릅써야 한다니 이 무슨 비극인가. 호주 정부는 임산부의 건강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영양제(초유같은)를 공급한다고 들었는데 정말 비교되는 현실이다.

 

학생들까지 학자금대출을 갚지 못해 신용불량자가 되고 빚을 갚기 위한 방편으로 전쟁에 파견될 군인 모집에 어쩔 수 없이 응하게 된다는 보도는 또다른 놀라움을 자아냈다. 얼마전 우리나라에도 대학졸업자의 학자금대출 신용불량자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는 짧은 뉴스를 접한 적이 있는데 무엇이든 미국만 따라하는 우리나라의 슬픈 현실의 한 단면인 것같아 우울해졌다. 미국이 아프간과 이라크에 군대를 파견할 수 있는 근거는 애국심에 불타는 젊은이들이 많아서가 결코 아니었다. 한계상황에 도달한 청년들이 어쩔 수 없이 선택하는 것이었고, 대출금 전액 상환과 전장파견불가라는 계약조건을 위반하면서 전쟁터로 학생들을 가게한 정부의 술수로 가능한 것이었다. 심지어 낙오된 고등학생들에게도 군대는 새로 시작할 수 있는 곳으로 꾸며진다.

 

젊은이들을 모병한다면 민영화된 전쟁관련 파견회사들은 전장에 수급되는 물자를 나르는 운송트럭의 기사를 모집한다. 전국을 다니며 궁지에 몰린 사람들을 물색해 조건을 제시한다. 핵에 노출된 시신은 고국으로 돌아올 수 없다는 이야기도 스스럼없이 풀어낸다. 그만큼 선택의 여지가 없는 부유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반증일 것이다. 파견회사와의 계약으로 전 세계 약소국에서 모여든(아니 팔려온) 계약자들은 군인들이 마시는 생수조차도 얻어마실 수 없고 최악의 조건에서 계약기간을 버텨낸다. 아프다고 말하는 것은 곧 고향으로 돌아갈 수 없음을 스스로에게 인식시키는 일이 된다. 참으로 모든 영역이 비즈니스가 된 미국사회를 바라보면서 이러한 잔인한 거래가 테러에 버금가는신형 공포가 아니고 무얼까 곰곰히 생각해본다.

 

아직도 유학하면 미국을 떠올리고 세계비즈니스의 현장하면 월가를 염두에 두고 세계 학문이 몰딩되고 다듬어져 세계인의 표준치로 거듭나는 곳이라고 생각되는 미국이다. 미국비자가 면제되면 미국에 쉽게 입국할 수 있을 것이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대하고 있기도 하다. 뉴욕의 브로드웨이에서 뮤지컬 한편 땡기고 헐리우드작 영화로 맛을 돋구고 보스톤으로 날아가 아이비리그 대학들을 순회해보고... 미국하면 가서 경험해보고 싶은 게 셀 수 없이 많아진다. 그런데, 정작 미국의 보도되지 않았던  이면에 눈을 돌리고 그들의 삶의 노곤함도 헤아려 볼 수 있어야할 것이다.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로 집잃은 서민이 늘어가고 있다고 한다. 홈리스 텐트촌에 들어오는 사람들은 어제의 멀쩡한 중산층이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렇듯 신자유주의의 방만이 낳은 병에 호되게 시달리고 있는 미국이 우리가 더 궁금해야할 미국의 본 모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