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국내 소설에 대한 관심이 점점 옅어지기 시작하더니 어느 순간 외국 소설만 읽고 있는 걸 깨달았습니다. 흥미를 잃은 것이고 다른 이야기를 찾아 나선 결과입니다.
원체 책 읽는 속도가 느린 편입니다. 집중력 부족과 독해력 빈곤 때문이죠.
번역서를 읽을 때 조금 더 고생하는 편입니다. 특히 쌀겨처럼 까칠한 번역을 만나면 두 세 배로 힘겨워합니다. 그래도 외국 소설만 계속 읽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다보니 나무토막 같은 둔탁한 번역투 문장으로 중무장한 외국 소설도 조금씩 소화하는 능력이 생기더군요.
최근 어쩌다보니 보니 국내 소설을 네 편이나 읽게 되었습니다. 공교롭게 모두 최근에 출간된 여자 작가의 작품이었습니다. 그리고 네 작품 모두 글 읽기가 즐거웠습니다. 오랜만에 진짜 우리글을 읽은 거죠. 내용이야 어찌되었든 정말 편안하게 술술 읽었습니다.
공선옥의 <내가 제일 예뻤을 때>도 그 가운데 한 작품입니다. 앞서 읽은 네 편의 작품 중에는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가 포함되어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모두 90년 초에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작가들이군요.
그래서 일까요? 두 작품은 비슷한 점이 많아요. 일상 속에 숨어있는 섬세한 감정을 간결하고 단단한 문장으로 포착하는 작가의 노련한 솜씨가 드러납니다. 두 작품 모두 사투리의 아름다움을 멋들어지게 담아내고 있습니다.
공선옥은 여전히 80년 광주와 투쟁의 기억과 아픔을 이야기하고 있더군요. 신경숙의 작품에서 여전히 ‘깊은 슬픔’이 감지되는 것처럼 말입니다. 이건 두 작가의 상처이자 창작의 근간이겠죠.
무엇보다 흥미로웠던 것은 두 작품 모두 ‘테레비 연속극 같다’는 겁니다. 이건 칭찬입니다.
<엄마를 부탁해>는 엄마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수많은 드라마에서 익히 보아온 이야기와 크게 다를 바 없고, <내가 제일 예뻤을 때>는 추억을 되새김질하게 만드는 7,80년대 배경의 드라마에 어울리는 에피소드가 빈번히 등장합니다. 그래서 두 작품은 ‘테레비 연속극’처럼 익숙한 재미를 선사합니다.
동시에 두 작가의 작품은 통속극의 수준에서 한참을 뛰어넘는 울림을 줍니다. 단순한 감정의 자극이 아닌 공감할 수 있는 속 깊은 무엇이 느껴집니다. 그것이 정확히 무엇 때문인지 설명하긴 힘들지만, 작가의 역량과 문학성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예전처럼 국내 소설을 열독하는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솔직히 국내 소설을 읽고 이러쿵저러쿵 이야기하기도 뭣하고, 별점을 주기에는 더욱 부담스럽습니다. 역시 생각나는 대로 막말하기에는 외국 소설이 편합니다. 특히 최근 즐겨 읽는 장르 소설은 더욱 그렇습니다.
그래도 종종 국내 소설을 읽을 작정입니다. 문장읽기의 즐거움과 편안함을 위해서라도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