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구 충격, 부동산 대변혁 - 인구 변화에서 부동산시장의 해법을 찾다
김효선 지음 / 메이트북스 / 2025년 4월
평점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한국 사회의 저출산이라는 문제가 많이 심각한 상황이라는 것을 기사를 통해 많이 접하고는 한다. 딱히 바로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문제라 앞으로 어떤 문제들이 일어날지 주시하고 있는 분위기인데 전세계가 지켜보고 있는 모양새다. 한국은 경제발전도 속도면에서 정말 빨리 발전했는데 저출산도 거의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저출산 기조로 가고있고 고령화 속도도 상당히 빠르다. 이런 인구 충격이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궁금해 이 책을 읽게 됐다.
한국 사람들의 대다수는 부동산을 재산으로 가지고 있고 그렇기에 부동산 시장은 전국민의 관심사가 아닐까 싶다. 누구나 집이라는 것이 필요하기에 여러 면에서 부동산 시장의 등락에 관심이 많은데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간 부동산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 차이는 분명히 존재하는 듯하다. 과거 집 한 채를 장만하는 것이 꿈인 세대가 있는 반면, 집을 소유의 개념에서 한 발짝 물러나 보는 세대도 있는 듯하다.
이런 부동산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들에 대해서도 알게 됐고 1인가구가 증가하고 저출산으로 부동산 수요가 줄어드는 상황 속에서 부동산 시장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도 알게 됐다. 기존 아파트 대단지 구조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산업이 빨리 발전할 때 많은 인구를 수용하기에 좋은 수단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더이상 그런 고성장 시대가 아니고 인구도 저출산, 고령화로 인구구조의 큰 변화를 맞을 것이기에 어떤 구조의 주택이 필요한지 변화가 필요하다는 말이 일리가 있어 보였다.
결국 모든 분야에서 양보다는 질이 중요한 지점이 되지 않았나 한다. 부동산 시장도 몰리는 지역은 오르고 그렇지 않은 지역은 소멸의 단계로 하향곡선의 흐름을 탈 것이다. 지방의 경우 인구 감소가 심각한 지경인데 지방의 경우 특색있는 그 지역만의 문화를 만들지 못하면 소멸의 길로 갈 수도 있다는 예상이 들어 꽤 충격적이었다. 갈수록 변화가 빨라지는데 어떻게 부동산 시장은 흐를 것이고 개인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다각도로 생각해 볼 수 있어 유익한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