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보다 : 가을 2024 소설 보다
권희진 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보다 가을』에 실린 세 편의 소설을 다 읽고 한참을 그대로 누워 있었다. 마음 같아서는 일어나서 물을 마시고 청소를 하고 정리 정돈 같은 걸 하고 싶었는데 그러지 못했다. 마음의 힘도 물리적인 힘도 나지 않았다. 드라마 《더 글로리》의 동은이 대사, '이 사람과 나는 우리는 왜 매일 힘을 내야 하는 걸까 힘내는 거 힘들어'하던 대사가 머릿속을 맴돈다. 


힘들다는 사람한테 힘을 내라는 말 밖에 하지 못해서 힘들다. 해결을 해줄 수 없어 무책임하게 힘내라고 밖에는 말할 수가 없어서. 힘이 나지 않으니 힘이 돌아올 때까지 누워 있었다. 소설의 제목만 열거해 보자면 「걷기의 활용」(난 면허도 차가 없으니 걸어 다닐 수밖에 없으니 무조건 걸어야지.), 「옮겨붙은 소망」(소망보다는 돈이 옮겨붙었으면 좋겠다, 난.) 그리고 「슬픈 마음 있는 사람」(슬픈 마음 있는 사람은 다른 마음 없이 슬픈 마음만 있는 것 같아.)이다.


잠깐 힘이 날 것 같다가도 으이구 내 힘 어디 갔어 도로 누워 있을 제목들이다. 특히나 「슬픈 마음 있는 사람」은. 우리를 파멸 시킨 사람 김병철에게 욕을 하고 저주를 퍼붓는 이야기의 소설. 어쩔 수 없는 사람들이 만나 어쩔 수 없이 일어나는 일들의 그런 이야기를 읽고 나니 천장의 무늬를 열심히 보게 되는 것이다. 「걷기의 활용」에서는 시절 인연을 그린다. 마른 노인이 될까 봐 무섭다는 태수형에게 미처 하지 못한 말이 후회로 남는다. 


「옮겨붙은 소망」은 특이한 지점의 소설이다. 소설 분석은 나의 역할이 아니고 오로지 F스러운 감성으로 떠들자면 주인공의 이름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난감해서 내 맘대로 읽었다. 결혼은 정말 미친 짓이 맞을까. 그런데도 결혼을 하는 미친 사람들이 계속 생겨난다지. 협박조의 말을 계속 듣다 보니 머리가 이상해져서 조금이라도 이해가 어려우면 내 맘대로 해석해 버린다. 


소비는 죄책감이 든다. 돈을 아껴 써야 하는데 뭔가는 계속 사고 싶고. 그럴 때 책을 사는 것으로 잠깐의 스트레스를 풀고 마음의 양식이라는 명목으로 죄책감을 덜어낸다. 그리하여 내 책상에는 신간 도서들이 한가득. 언제 다 읽을 거야. 책들이 아우성치지만 나는 바로 들어줄 마음이 없다. 천천히. 마른 노인이 될 때까지 기다리렴. 


2025년 2월은 계획대로 살지 못했고 살지 못하는 중이고(언제는 계획대로 살았나. 아니 계획을 세우기나 했나.) 다가오는 3월도 그럴 것 같은데 망했다 같은 말로 나의 삶을 단순화하는 건 게을러 보여서 다른 말을 찾을 찾아볼 때까지 책이나 읽어야징. 지금은 예소연의 소설집 『사랑과 결함』을 읽는 중.(목차 보니 소설 보다 시리즈에 실린 작품들이 여럿 있네. 왜 근데요 님아 너는 기억을 못 하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