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자은, 불꽃을 쫓다 설자은 시리즈 2
정세랑 지음 / 문학동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세랑의 추리소설 시리즈 설자은 두 번째 이야기가 돌아왔다. 첫 번째 시리즈인 『설자은, 금성으로 돌아오다』를 읽은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라니는 아니고 엄청 기다렸단 말이지. 『설자은, 불꽃을 쫓다』의 제목대로 표지는 강렬한 붉은색이다. 망해가는 집안을 살리기 위해 여장 남자로 사는 자은의 본격적인 사건 추리가 펼쳐진다. 


왕의 부름을 받으며 매가 그려진 칼을 하사받은 자은. 집사부의 대사로서 금성에서 일어나는 해괴한 사건들의 진상에 다가가는 자은. 이미 망해버린 나라 백제 유민으로서 자은의 보호막을 자처하는 목인곤. 자은과 인곤은 서로를 의지하고 걱정하며 이상한 사건들을 해결한다. 세 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는 『설자은, 불꽃을 쫓다』는 두 사람의 성장담 같은 소설이다. 


두 사람의 활약을 문장으로 따라가다 보면 그들이 마치 내 눈앞에서 활극을 벌이고 있는 듯한 착각이 든다. 베어야 할 때가 있으면 베어야 한다는 왕의 명령으로 받은 칼로 자은은 금성에서 벌어지고 있는 기괴한 사건의 실마리를 풀고자 한다. 식객 인곤과 말갈인 삼 형제와 함께 말이다. 영민한 동생 도은의 도움도 받으면서. 


『설자은, 불꽃을 쫓다』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여성 캐릭터의 독보적인 활약상이다. 남자로 위장했지만 주인공 자은은 원래 여자 미은이었다. 두 형의 죽음으로 첫째가 된 호은은 집안을 일으키려는 능동성은 없이 여동생들에게 얹혀 가는 형국이다. 세 번째 이야기에서 어떤 모습으로 등장할지 예측 불가하지만 호은은 『설자은, 불꽃을 쫓다』에서만큼은 형편없는 캐릭터로 설정되어 있다. 


그렇다고 『설자은, 불꽃을 쫓다』에서 남성의 역할을 축소하거나 은폐하지 않는다. 인곤과 말갈인 삼 형제는 이야기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사건의 중심에 자은과 도은, 산아라는 여성이 주축으로 움직이면서 남성 캐릭터들이 그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한다. 최근에 보기 시작한 《옥씨부인전》은 조선 시대의 외지부(변호사)라는 소재로 노비 구덕이 양반 옥태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흥미진진하게 그렸다. 


여성 캐릭터들이 두둥 등장하고 서사 안에서 거칠 것 없이 자유롭게 극을 이끌어 가고 있다. 주변인이 아닌 주인공으로. 불귀신 지귀가 나타나 더러운 금성을 정화할 것이라는 소문이 퍼지면서 금성 곳곳에서 불이 나는 이야기 「화마의 고삐」를 시작으로 탑돌이를 하는 도은에게 비단으로 싸인 돌이 던져지는 「탑돌이의 밤」, 용의 가면을 쓴 자들이 여자들을 잡아가는 「용왕의 아들들」까지 금성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자은과 친구들은 풀어 나간다. 


소설의 마지막 문장이 여운이 깊다. 아무것에도 욕심내지 않고 살기란 힘들다. 자은은 죽을 고비를 넘겼고 칼에 피를 묻혀도 봤다. 그런 그가 아무것도 기원하지 않는 사람이 되어 살아가는 이야기는 계속된다. 통일신라라 칭했지만 실상 백성조차 융합하지 못하며 천년 왕국을 꿈꾸는 나라 안에서 피를 보지 않기란 어렵기에 설자은 시리즈는 다음권을 향해 달려갈 수밖에 없는 운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