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 누아르 달달북다 3
한정현 지음 / 북다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의 합계 출생률이 0.78명이라고 했더니 미국의 법학자 조앤 윌리엄스는 와,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라고 말했다. 이 인터뷰는 유명해져서 조회 수가 100만을 넘겼다. 영상 밑에 달린 댓글도 화제가 되었다. EBS는 조앤 윌리엄스를 초청해 다양한 세대들과 만나 대한민국의 망해가는 현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우연하게 본 영상을 보면서 전통적인 성 역할과 왜 출생률이 낮을 수밖에 없는지에 생각해 보았다. 


힘들게 공부해서 대학 가고 취업까지 했는데 아이를 가졌다는 이유로 경력단절. 결혼 하고 아이를 가지는 과정에서 남성은 승진을 여성은 퇴사를 고민한다. 회사 내규상 육아휴직을 사용하고 돌아오면 근무에 차별을 두어서는 안된다고 했지만 오랫동안 승진의 문턱에서 좌절했다고 조앤 윌리엄스와 이야기를 나누는 한 여성은 말했다.


여기 시간을 2024년에서 198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 한정현의 소설 『러브 누아르』의 시간적 배경으로 말이다. 37년 전에 한국은 어땠을까. 어때긴 뭐 어때. 여전히 지옥이면서도 누군가에게만 천국이었지. 이름은 박선. 한양 물산 2층 사무실에서 미쓰 박으로 불리는 그녀. 9남 1녀 중에 다섯째. 직업 고등학교를 나왔고 나중에 뭐가 되고 싶냐는 미쓰 리의 질문에 한참을 고민하다가 주판을 잘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말하는 지금은 미쓰 막걸리로 불리는 선.


같은 곳에서 일하지만 이름은 모른 채 미쓰 박, 미쓰 리, 미쓰 김, 미쓰 윤, 미쓰 최라고만 불리는 그녀들이 『러브 누아르』에 존재한다. 선은 경리 일을 하면서 노트에 무언갈 자꾸만 쓰고 있는 미쓰 리를 만난다. 미쓰 리는 선에게 조언한다. 여기에서는 웃지 말라고. 웃게 되면 임신 아니면 낙태를 하게 된다고. 살벌한 인생 조언이다. 


『러브 누아르』는 달달 북스에서 칙릿이라는 주제로 쓰인 소설이다. 작품을 읽어가다 보면 성공한 여자의 일과 사랑을 다룬다는 칙릿의 서사와는 조금씩 어긋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소설이기도 하다. 주로 역사, 여성, 연구와 관련된 주제로 소설을 쓰는 한정현에게 칙릿이라는 장르를 쓰게 하다니. 대체 여성이 일과 사랑에 성공할 수 있는 게 지금 시대에 가능하기나 한 걸까. 


일을 하려면 사랑을 포기해야 하고 사랑을 하려면 일을 포기해야 한다. 합계 출생률 0.78명이 말해주고 있지 않은가. 어렸을 때 그땐 완전 어렸을 때 나도 결혼하고 애 낳아서 훌륭하게 키워야지 했더랬다. 지금은 책임감이라는 걸 감당할 자신이 없기에 현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 조앤 윌리엄스는 말한다. 한국의 청년들이 아이를 낳고 싶지 않은 게 아니라 낳을 수 없는 상태에 처한 것이라고. 


한정현의 칙릿은 1987년에 이름도 없이 미쓰로 불리는 여성들의 노동과 사랑, 현실을 반짝이 없는 흑백의 질감으로 그려낸다. 달달한 배경음악? 그런 거 없다. 화려한 입성의 여성들? 역시 없다. 가슴 설레는 로맨스? 당연히 없음. 남성이라고는 대통령 측근이라는 부장이 나올 뿐이고 그마저도 인성 쓰레기로 등장한다. 선은 남영동에 끌려가고 미쓰 리의 이름을 알지 못해 풀려나온다. 


우리에게 필요한 장르는 러브가 아닌 누아르라고 선은 말한다. 사랑하는 대신 싸우고 배신하고 쟁취하는 것. 사랑을 하게 된다면 살벌하게 해내는 것. 한정현의 칙릿은 환상 소설이 되었고 결코 여성은 현실에서 일과 사랑에 성공할 수 없고 그런 서사를 보고 싶다면 장르를 바꿔야 한다. 오로지 상상과 환상에 기반한. 미쓰들에게 사랑을 해서 결혼이라는 엔딩만 있어야 하고 누아르는 필요하지 않다고 말하는 사회에서 기필코 살아남아야 한다고 『러브 누아르』는 외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