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나쁜 페미니스트 - 개정 완역판
록산 게이 지음, 노지양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1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08/pimg_749294114431994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08/pimg_749294114431995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08/pimg_7492941144319953.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0608/pimg_7492941144319955.jpg)
록산 게이의 책 『나쁜 페미니스트』에 대한 정보를 구하고자 이 글을 읽게 된다면 그건 잘못된 일이라고 먼저 말해주고 싶다. 사실과 정보보다는 느낌과 단상 정도는 써 낼 수 있다. 번아웃 증후군이라는 거창한 말보다는 소진이라는 걸 겪어 내고 있을 때 틈틈이 조금씩 겨우 『나쁜 페미니스트』를 읽어 나갔다. 주말과 빨간 날은 쉴 수 있다. 다른 게 아닌 이 정도가 행운이라고 느낀다.
남들 다 쉴 때 쉬지 못하는 이들이 태반이니까. 쉬어야 할 때는 쉰다. 단순한 명제에도 쉬는 것에 왜 죄책감을 가지게 되었을까. 지금보다 나은 사람이 되고 싶어서겠지. 알고리즘 관리를 어떻게 했길래 갓생과 미라클 모닝에 대한 영상만을 보고 있는 걸까. 그러니까 좀 더 생산적인 인간이 되고 싶은 열망에서. 한 번 해보고 해 봤으니까 이 정도면 됐다는 생각으로 쉬고 있다.
『나쁜 페미니스트』를 읽으며 책에서 소개해 주는 영화들을 봤다. 《나를 찾아줘》와 《헬프》. 《헝거게임》은 너무 긴 시리즈라 유튜브에 올라온 요약본으로(바쁘다 바빠 집순이 사회). 《오스카 그랜튼의 어떤 하루》는 좀 더 있다가 보자. 록산 게이는 다정하고 쉬운 언어로 페미니스트의 진정한 의미를 구하고자 한다. 책에서 표현한 대로 '페미니스트란 개똥 같은 취급을 받고 싶어 하지 않는 여성일 뿐'이라는 의미 말이다.
여성이라 함은 날씬하고 외모를 가꾸고 결혼을 하여 아이를 낳고 그럼에도 경력을 이어 간다는 것. 그러한 범주에서 벗어나면 왜를 끊임없이 질문하는 사회에 살아가고 있다, 여성들은. 연애나 결혼을 하지 않는 나이가 있는 여성들을(이건 남성들에게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향한 부정적인 시선은 고쳐질 기미가 없다. 미디어 역시 한몫을 하고 있다. 록산 게이는 영화, 드라마, 뉴스, 잡지에 실린 기사의 예를 소개하며 잘못된 점을 이야기한다.
『나쁜 페미니스트』를 읽으며 그동안 인종 문제에 무지했다는 걸 깨달았다. 주변에 없다고 해서 문제가 없지는 않다. 미국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종 차별의 사례는 좋아지기는커녕 심각해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를 든 것이겠지만 한국 사회 역시 마찬가지라는 걸 안다. 인종, 성별, 계급, 나이, 학력을 근거로 일어나고 있는 차별. 우리는 차별 사회에 살고 있다.
록산 게이는 말한다. 자신은 나쁜 페미니스트라고. 페미니스트의 본질에서 한참을 벗어난 나쁜 페미니스트. 여성의 인권 신장을 위해 공부하고 강의하고 글을 쓰지만 누군가 자신을 도와주면 좋겠고 다른 사람의 말과 시선에 신경을 쓰며 핑크색을 좋아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자신은 어쩔 수 없이 나쁜 페미니스트가 될 수밖에 없다고. 남성 임금의 77퍼센트만을 받고 꾸밈 노동을 강요받는 사회에서 우리는 좋은 사람이 좋은 페미니스트가 될 수 없다.
나쁘고 좋다고 두 갈래로 분류하는 걸 좋아하는 모양인데 그걸로 한 시대를 지탱한 모양인데 이제는 어림없다. 이분법으로 세상을 재단하는 건 이제 한 물 갔고 좋고 나쁘고 이상하고 기묘하고 독특한 세상이 찾아왔다. 나쁜 척하면서 좋은 사람이 될 수도 있고 그런 것들이 섞이다 보면 다양한 면을 가진 사람이 될 수 있다. 외모와 살 이야기를 하면 너무 한 거 아니냐고 사과하라고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나쁜 페미니스트가 되면 좋은 여성이 될 수 있다는 록산 게이의 말을 오래도록 간직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