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환승 인간 - 좋아하는 마음에서 더 좋아하는 마음으로
한정현 지음 / 작가정신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정현의 에세이 『환승 인간』의 첫 문장은 '그것이 나의 문제라고들 한다'이다. 이어서 로베르토 볼라뇨의 소설 속 이야기를 들려준다. 화장실에서 일주일 동안 숨어서 지낸 시인의. 예전에 읽었던 르포를 떠올리게 했다. 집이 없어 공원 화장실에서 지내던 여성 노숙인의. 전자는 허구이고 후자는 현실이다. 간격과 차이가 있을까. 없다고 나는 생각한다. 


한때 나는 자주 빈번하게 화장실로 도망을 갔다. 일을 하다 숨이 막히고 울 듯한 기분이 들 때마다. 세계에서 가장 편한 곳이 배설을 하는 화장실이었다 게 믿기지 않는다. 그때의 그곳을 지나 이곳으로 나는 도착해 있다. 잘한 일이고 잘하고 있는 걸까 매 순간 의문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요즘의 나는 입속에 '사랑'이라는 말을 넣어 다닌다. 


사랑이 필요해, 사랑이 있을까, 사랑이 있었으면 하는 식으로. 『환승 인간』을 읽으며 더 자주 사랑이라는 말에 매달렸다. 어디에도 사랑이 없는 것 같은 봄이다. 가혹하고 비참하고 서글픈 봄이다. 나와 당신 우리에게 예전의 봄은 다시 찾아오지 않겠지. 화장실에 숨어 시를 외우던 시인은 미친다. 이후에 시인은 아무것도 잊지 못하고 사람들은 그것이 시인의 문제라고 말한다. 


시인의 문제는 나의 문제이다. 아무것도 잊지 못하는 것, 아니 아무것도 잊을 수 없는 것. 잊어버려라고들 쉽게 말하지만 과거의 슬픔과 아픔, 분노, 수치는 잊히지 않는다. 그러다 한정현은 '문학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떠올린다. 나에게 하는 질문으로 답을 해보자면 무엇을 할 수 없는 게 문학이다고 말할 수 있겠다. 사는 데 도움도 쓸모도 없는 문학. 자의식 과잉에 겉멋만 들게 하는 문학. 


『환승 인간』의 주제처럼 나는 나에게서 다른 나에게로 환승하고 싶다. 지금보다 말도 잘하며 단호하고 문학을 숙제처럼 여기지 않는 나로. 그리고 도움을 받고 싶다. 누군가 나를 조금이라도 도와줬으면 좋겠다. 나를 버려두지도 방치하지도 않은 채 말이다. 한정현은 어린 시절과 어른이 된 지금에 본 영화를 소개해 준다. 소설가가 되기까지 고통의 순간에서 만났던 사람과 문학과 영화는 도움이었다. 


소설을 오래 쓸 거라는 생각은 별로 하지 않는다. 영원히 소설을 써야 한다는 생각도 전혀 없고, 소설 외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는 마음은 더욱더 없다. 내 인생의 모토는 '살아만 있자'인데, 사실 이건 책과 인생이 유사하다고 느끼는 지점 때문에 더욱 그렇다. 책이 끝나지만 않으면 다음 장은 분명 예측 불가하지만 흥미로운 일들이 존재하고, 인생도 그렇다고 느낀다. 무조건 '살아 있을 것'이 내 인생의 모토이다. 다만 살아 있을 때 재미있으면 좋으니까, '여러 이름'을 뒤집어쓰고 '여러 존재'로 환승하며 살아보는 거다.

(한정현, 『환승 인간』, 「오래 살아서 더 자주 환승해야지」中에서)


소설가 한정현은 소설을 오래 쓸 거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고 너무도 솔직하게 밝힌다. 소설가니까 끝까지 소설을 쓰겠다는 집착과 다짐이 없어서 혹은 욕심이 없어서 놀랐다. 문학을 사명처럼 여기지 않는 산뜻함에 반했다. 그저 살아만 있자는 재미있으면 좋으니까 여러 이름과 여러 존재로 환승하며 살아가자는 소설가라니. 매 순간을 진지하고 무겁게 사는 내가 본받아야 할 자세이다. 


오늘의 나는 환승에 실패했다. 다만 기회가 된다면 하고 싶은 말을 잊지 않기 위해 적는다. 이렇게 추상적으로밖에 말할 수 없어서 죄송합니다. 그저 누구라도 나를 도와주었으면 합니다. 나는 사람들의 감정 쓰레기통이 아닙니다. 여러분들이 해결하기 힘든 해결하기 싫은 일을 대신해주는 사람이 아닌 문학이 취미인 사람입니다. 자꾸 그러시면 환승 이직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