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MBTI가 같네요! ㅣ MBTI 테마소설집 3
김홍 외 지음 / 읻다 / 2023년 5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928/pimg_7492941144033649.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928/pimg_749294114403365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928/pimg_7492941144033652.jpg)
유행에 한 발 뒤처지는 정도가 아니라 유행이 뭔지도 모르는 채로 살고 있는지라. 그러다 뒤늦게 눈치 없는 애처럼 뭐야, 뭐야 그게 뭐야 한다. 나도 좀 알자 이러면서. 열풍인 MBTI도 그랬다. 유행일 땐 관심도 알 필요도 없다고 생각했다. 이제 지겨우니까 MBTI 이야기는 그만하자. 이럴 땐 난 MBTI에 과몰입해 있다.
알면 알수록 신기하고 신난다. 나도 잘 모르는 나를 알파벳 네 개로 알려준다니. 혈액형 한 글자로는 부족했지. 암 그렇고말고. 좀 더 많이 알려줘야지. 종이 검사지로 해본 나의 MBTI는 ISFP이다. 침대와 한 몸. 계획은 세우기만 할 뿐. 귀찮아라는 말을 수시로 하고 상대의 말에 아 진짜?와 그렇구나로 돌려 막는다. 선택하는 일에 어려움을 느낀다. 특히 물건 살 때. 얼마간의 고민 끝에 두 개를 다 사고 후회하는 타입.
MBTI 테마소설집 『우리 MBTI가 같네요』는 귀찮음의 대명사 그렇지만 미워할 수 없는 ISFP 이야기가 있다. 그것도 내가 좋아하는 소설가 이주란이 썼다. 이주란도 ISFP란다. 어쩐지. 소설을 읽어갈수록 극공감 되어 나중에는 울고 있더라니. 성향이 비슷해서 그런 거였다. 신기방기 동방신기. 다섯 편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감정형 F들을 그린다.
첫 번째 소설 「여기서 울지 마세요」는 제목부터 나를 울린다. 나이 때문도 아니고 원래부터 나는 눈물이 많았다. 소심하고 예민해서라고 생각했지만 이제 나는 내가 ISFP라는 걸 아니까 괜찮아졌다. 너의 그런 모습을 MBTI로 책임을 돌리지 말라고 혹자는 말하지만 그러거나 말거나 너는 이렇다고 세상 친절하게 알려주는데 감동하지 않을 수 없다.
울지 말라고 했지만 「여기서 울지 마세요」를 읽고 울고 다음 편 「9」를 읽으며 대책 없는 계획에 또 한 번 눈물바람. 드디어 나의, 나에 의한, 나를 위한 ISFP 소설 「안경」 차례. 성향이 비슷한 두 친구의 일상 이야기는 나의 모습 그 잡채. 귀찮아와 다음에 할까를 연발하며 그럭저럭 하루를 얼렁뚱땅 넘기는 나를 사찰하여 쓴 소설이다. 「양지바른 곳」은 독특한 인물이 나온다. 흡혈인 조황주의 내일이 궁금하다.
나랑 딱 하나만 다른 ISFJ 이야기 「수호자」는 목에 올라탄 귀신과 함께 할 수밖에 없을 주인공 때문에 웃프다. 현실에서 이 말을 꼭 해보고 싶다. 우리 MBTI가 같네요. 같은 ISFP인들을 만나서 맞아, 맞아, 그래, 그래, 아 진짜를 연발해 보고 싶다. 침대와 이불, 베개 정보를 묻고 어떤 자세로 누워 있을 때가 편한지 조언도 좀 듣고 말이다.
여행 이야기는 금물. 내일 뭐 할까 묻는 것도 금물. 아무 이야기 안 해도 괜찮고 뭐 먹고 싶어요라고 계속 질문하는 ISFP인들의 만남을 호응해 주시라. 원래도 누워서 읽지만 『우리 MBTI가 같네요』는 시작부터 끝까지 누워서 읽었다. 잠깐 앉아 있을 수도 있을 텐데 말이다. 귀찮지만 타인의 곤란함에 대해서는 모른 척하지 않고 어떻게든 도우려고 한다. 다른 성격학 검사도 있다고 하지만 당분간 MBTI로 나를 위로할래. 칭찬만 해주세요. 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