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은 소문일 뿐이다
최현숙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과 방, 책상 꾸미기에 열을 올리고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 곰곰이 가만히 찬찬히 생각해 본다. 매일 책을 사들이는 일에 대해서도. 한 문단씩 글을 쓸 수 있게 나온 노트를 몇 권씩 장바구니에 담아 놓은 일까지도. 무언갈 꿰뚫어보는 통찰력이 대단한 사람이 아닌지라 뾰족한 답은 없다. 다만 짐작하기에 쓰지 못하는 일에 답답함을 소비로서 풀어내고 있지 않은가 하는 정도. 


쓸데없다고 하면 쓸데없는 일. 향이 괜찮은 방향제를 두 개 사서 방에 놓아 놓는 일. 냄새에 민감한 나로서는 방문객이 전무후무한 집이지만 집에 들어왔을 때 이상한 생활의 냄새가 나지나 않을까 하는 염려에서. 비슷한 옷을 사고서 잘 샀다고 나를 위로하는 일. 입고 싶을 때 입어야지. 한 살이라도 젊을 때 안 그래, 지나가고 있을 젊음을 만끽하고 싶어서. 


무엇이든 쓴다는 아무 말이나 쓴다와 같다. 어차피 쓰는 거니까. 문제는. 문제는. 없다고 할란다. 내가 쓴다고 하는데 문제가 될 일일까. 최현숙의 산문집 『두려움은 소문일 뿐이다』를 읽다 보니 그 생각은 확고해졌다. 나에 대해서든 부모에 대해서든 쓴다. 살아오면서 부끄럽고 치졸했던 일도 쓴다. 글의 영향력은 쓰는 자의 영향력일진대 쓰는 자의 영향력은 없으므로 그냥 막 쓰는 것이다. 그렇게만 된다면 무언갈 마구 사들이는 일을 잠시 멈출 수 있지 않을까. 


엄마는 내게 이런 부탁을 한 적이 있다. 자기가 나이 먹고 돈을 못 벌면 한 달에 20만 원씩 부쳐 줄 수 있겠느냐고. 나는 그건 할 수 있지 했다. 결국 엄마는 나이 먹고 돈을 못 벌 수 있는 행운을 갖지 못했다. 살아 있어야 나이도 먹고 돈도 못 버는 시기도 갖는 게 아닌가. 『두려움은 소문일 뿐이다』는 엄마와의 그런 마음 아픈 기억들을 떠올리게 했다. 


어린 시절 돈을 훔쳐 스스로를 도둑년이라고 하던 때의 이야기부터 액취증의 기억, 가족과의 결별 스토리, 늙어가는 몸에 대한 단상, 노숙인들과 보내는 노년의 지금까지 『두려움은 소문일 뿐이다』는 거침없이 숨김없이 한 인간의 생애를 바라보며 들려준다. 자신을 자신이 조망하는 시선이 압권이다. 후회나 변명의 언어는 없다. 그때는 그럴만한 사정이 있었다 같은 비루한 관점은 허락하지 않는다. 


걱정도 유전일까. 어느새 나도 그때의 엄마와 같은 걱정을 하고 있다. 눈도 안 보이고 나이 많다고 나가라고 하면 무슨 일을 해야 할까. 퇴사자들에게(딱히 궁금한 건 아니지만 묻는다. 예의상. 이제 뭐 하실 거냐고. 그들 역시 그냥 대답해 준다는 대충의 답으로 장사를 할 거라고 한다.) 농담으로 저 일 잘하니까 저 쓰세요 한다. 노후 대비책으로 말이다. 


『두려움은 소문일 뿐이다』는 하찮은 농담을 하는 나에게 일갈한다. 늙음으로 찾아오는 불행은 소문일 뿐이라고. 카더라 식의 출처 없는 무성의한 농담조차도 되지 않는 이야기일 뿐이라고. 그렇군. 두려움을 심는 일. 자본주의 사회는 두려움으로 굴러간다. 넌 이제 늙을 거야 그러니 어떻게 해야 하겠어. 보험 들고 대출받아서 집 사고 투자해야지. 결혼도 해서 아이도 낳고 그래야 노후가 편하지. 


구술생애사 작가, 소설가, 홈리스 행동가 최현숙은 그 모든 두려움을 소문으로써 날려버린다. 오래 살아남은 자의 조언이자 충고이자 잔소리 같은 말이라서 더더욱 신뢰가 간다. 그가 말하는 족과 관련된 관혼상제 건너뛰기, 원가족과 단절하기, 비급여 항목 정확히 묻기, 반려동물의 이견 지지하기, 간단한 삶에 수긍하며 살기 등 두려움을 소문으로 여길 수 있는 항목을 알뜰히 취해야겠다. 늙을 수 있다는 건 특권이다. 어느덧 그런 사회가 되어버렸다. 늙을 수 있을지 없을지 모르므로 매일 책을 사는 일에 자책하지 말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