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근희의 행진
이서수 지음 / 은행나무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요일 저녁에는 유튜브 요약본으로 올라온 《나의 아저씨》를 봤다. 알 수 없는 유튜브 알고리즘. 추천해 주니까 클릭. 요약본이라고 해도 약 여섯 시간짜리였다. 전체를 다시 볼 에너지는 없어서 춘식이 소파에 누워서 압축된 지안과 동훈의 서사를 따라갔다. 집으로 올라오면서 계획했던 일, 씻고 일기와 몇 문단의 글을 쓰는 일, 은 하지 못했다. 


유튜브만 봐도 금요일 밤과 주말은 순간 삭제되어 어느새 월요일. 매일 아침마다 그렇지만 월요일은 일어나기 진짜 힘들다. 인간과 삶에 대한 고찰을 한다. 그 짧은 시간에. 왜 인간으로 태어났을까부터 돈이란 무엇인가까지. 다시 금요일 밤이 왔으면 좋겠다는 아메바적인 생각으로 귀결되는 고찰을 끝으로 일어난다. 내내 누워서 유튜브,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디즈니 플러스를 봤으면 좋겠다. 한 일 년 정도 그렇게. 안 될까?


안 돼. 


이서수의 첫 소설집을 얼마나 기다렸던가. 『젊은 근희의 행진』을 받아들고 표지를 한참이나 들여다봤다. 표지에는 단발머리를 하고 가방을 멘 여자의 옆모습이 있다. 와 순간 나인 줄. 몇 년 동안 내가 이러고 다닌다. 한결같은 스타일. 단발머리, 책가방. 머리를 길러서 묶어볼까도 했지만 아침에 머리 말리는 시간을 끝내 확보하지 못했다. 보부상 재질이라 핸드백은 꿈도 꾸지 않는다. 갑자기 비가 와서 양말 젖으면 어떡해. 양말, 우산, 비상약, 물티슈, 마스크, 장바구니 등등 넣어야 하니 책가방 못 잃어. 


책 이야기하자 본격적으로. 


『젊은 근희의 행진』, 말해 뭐해. 전 국민 필독서로 지정해서 읽고 독후감 써서 국세청 홈페이지에 신고서 양식으로 제출하는 거 어떨까. 잘 쓴 순으로 세액공제 해주는 거지. 소설집에 실린 열 편의 소설을 아껴서 읽었다. 이미 읽은 소설이 꽤 있었지만 처음 읽는 것처럼. 첫 마음으로. 두 번 읽으면 그렇다. 처음엔 보이지 않고 느끼지 못한 부분을 만나서 마음이 찡해진다. 내가 《나의 아저씨》를 다시 보면서 훌쩍인 것처럼. (지안이 할머니에게 "내 할머니가 되어줘서 고마워." 했던 부분. 정말 고마워.)


시를 쓰는 엄마와 사는 일상을 그린 「미조의 시대」부터 등단작 「구제, 빈티지 혹은 구원」까지. 찡하고 울컥한데 웃긴다. 근로소득으로는 집을 사지 못함을 예감하는 부부의 이야기 「나의 방광 나의 지구」를 읽는 토요일 오전이었다. 집을 찾다가 지친 아내가 남편에게 땅을 사서 거기에 천막을 짓고 살자는 말에 남편이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장면에서 토요일 오전이 유머로 가득해졌다. 헛웃음이 났지만 유머가 우리의 슬픔을 구원해주리라 믿음이 생겼다. 


「현서의 그림자」는 또 어떤가. 자신을 외계인이라고 믿는 현서, 숙모의 딸이기도 한 현서와 이야기를 하기로 한 이유는 숙모가 '나'에게 가끔 용돈을 주었기 때문이다.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외계인이라고 믿는 현서의 처지가 '나'보다 더 낫다는걸 깨닫는다. 이서수 소설의 인물들은 가난하고 힘이 없지만 긍정만은 넘친다. 열정, 열정, 열정 대신 긍정, 긍정, 긍정을 수시로 외친다. 소리 내는게 아니라 속으로 속으로. 집을 구하지 못한다 해도 긍정, 압박 면접 끝에 연락이 오지 않아도 긍정, 손님이 없어도 긍정. 


뭐 어쩔 수 없잖아 그냥 받아들여라는 무책임한 긍정을 강제로 주는 게 아니라 그런 상황에서도 농담을 주고받으며 진지하게 긍정을 손에 쥐여주며 웃는다. 표제작 「젊은 근희의 행진」은 동생 근희가 회사를 그만두고 유튜브 방송을 하는 걸 지켜보는 언니 문희의 이야기이다. 모두가 유명해지는 시대에 나 역시도 유명해지면 안 되겠느냐고 책 유튜버를 하더니 똑똑해진 근희의 주장에 나는 힘을 실어주고 싶다. 유명해져서 종합소득세 내자, 근희야. 동생을 아메바라고 하지만 문희는 근희를 사랑하고 걱정한다. 


미조, 근희, 문희, 가진, 사영, 경희, 언니, 나 그리고 서수, 많관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