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디 얀다르크 - 제5회 황산벌청년문학상 수상작
염기원 지음 / 은행나무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긴장될 때마다 귀가 가렵다. 더러운 거 아는데 그럴 때마다 손가락을 넣어 귀를 판다. 피가 나고 나중에는 염증이 생겼다. 병원 가기 싫어서 몇 년 전에 처방받은 연고를 면봉에 묻혀서 임시 조치를 했다. 감기에 걸려서 어쩔 수 없이 병원에 갔을 때 석션으로 코를 뚫고 그전에 코로나 검사도 하고 음성이어서 속으로 다행, 다행 그러면서 의사에게 귀에서 피가 난다고 했다. 의사는 귀 건드리지 마세요 했다. 네네네.


다행히 위병은 없는 듯. 역류성 식도염 그런 것도 없고. 불면증도 없다. 너무 잘 자는 게 문제. 베개에 머리가 닿으면 침을 질질 흘리면서 잔다. 그러고도 주말에 낮잠을 기본 세 시간 때린다. 염기원의 장편소설 『구디 얀다르크』의 주인공 사이안은 직장에 다니는 내내 불면증에 시달린다. '야근해도 정시출근, 회식해도 정시출근, 야근과 회식이 없어도 새벽 네 시가 되어야 잠드는 생활을 수없이 반복했다.' 이안의 불면증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된다. 


『구디 얀다르크』는 센스 있는 자라면 알겠지만 구로디지털단지, 이안과 잔다르크를 줄인 말이다. 과거 경공업 중심의 산업화 시절에 구로공단은 섬유 및 의류공장으로 가득했다. 지금은 지방으로 공장이 이전하고 IT 기업, 벤처 중심의 스타트업 회사들이 들어섰다. 이름도 구로디지털단지로 바뀌었다. 그곳에서 불면증 때문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한 이안이 IT 회사에 입사하고 그 또한 불면증 덕분에 업무에 쉽게 적응한다. 


발주 물량을 맞추기 위해 각성제를 먹어가며 일하던 여공은 잠을 자고 싶어 수면제를 먹으며 미싱 대신 컴퓨터 앞에 앉은 이안으로 21세기에 도착해 있다. 술자리에서 하는 불행 배틀은 지겹다. 쇼미 더 불행도 아닌데 다들 술만 마시면 자기 살아온 이야기를 늘어놓는다. 영혼 조금 담아 호응을 해주지만 힘들다. 여기 안 힘든 인간이 어딨냐. 내가 썰을 안 풀었다 뿐이지 장난 아니다.


책으로는 괜찮다. 이안 역시 한 불행했다. IMF 때 은행에 다니던 아버지가 스스로 목숨을 끊고 그 일 이후 엄마는 키친드렁커가 되었다. 엄마는 헌신했던 교회에서도 버림받았다. 시집 식구들에게는 말할 것도 없고. 이안은 불면증을 힘 삼아 공부를 하고 대학에 간다. 힘들어하는 엄마를 외면하며 대학 생활을 즐기지만 이마저도 엄마의 잘못된 선택으로 어려워진다. 이안은 간신히 졸업하고 회사에 들어간다. 


회사에 들어가면서 고통은 증폭된다. 업무는 그렇다 치고 인간들은 왜들 그러는지. 다들 퇴사의 이유 중에 하나가 인간관계 때문인 거죠. 『구디 얀다르크』는 IT 회사와 스타트업에서 벌어지는 악독한 근로 환경을 고발한다. 이안은 산전수전 다 겪으며 노조를 설립한다. 이안이 아침에 일어나는 걸 힘들어하면서도 꾸역꾸역 회사에 다니는 장면에서 그게 싫어 회사를 차려 대표가 되었지만 월급날이 기다려지는 게 아닌 무서워하는 장면에서 사는 건 별거 없다. 그저 죽을 때까지 죽지만 않으면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에 농협 간부의 괴롭힘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람의 기사를 보게 되었다. 젊은 나이였다. 그가 남긴 글과 지인들의 이야기는 슬프고 힘들었다. 『구디 얀다르크』의 결말이 주어졌다면 어땠을까. 자주 내가 아닌 것처럼 굴어야 할 때가 있다. 그럴 때 육성으로 파이팅 외쳐주는 누군가가 옆자리에 있으면 좋겠다. 잘 싸우자, 잘 싸워라. 너도 나도 파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