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의 자세 소설Q
김유담 지음 / 창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종종 공중목욕탕에서 우는 여자들을 본다'라는 첫 문장으로 김유담의 『이완의 자세』는 시작한다. 문장을 읽고 목욕탕만큼 울기 좋은 장소가 또 있을까를 생각했다. 집에 샤워 시설이 따로 없던 시절 공중목욕탕을 다녔다. 늦은 일요일 오후에 아직 햇살이 있기 전에 세면도구를 챙겨 갔다. 오후의 목욕탕은 아침의 분주함이 빠져나간 이후라 한적했고 아직 훈기는 그대로인 상태였다. 문을 열면 안경에 습기가 차 한동안은 앞을 볼 수 없었지만 감으로 로커 앞에 찾아가 옷을 벗고 탕으로 들어갔다. 


그다음 문장은 이렇다. '유난히 세수를 오래 하는 여자들, 그들은 하얀 김이 서린 흐릿한 거울 앞에 웅크리고 앉아 물을 세게 틀어놓은 채 고개를 떨구고 있다.' 대체 어떤 사연들이 몸을 씻으러 온 곳에까지 다가와 울게 만드는지 부러 궁금하게 여기지 않아도 알 것 같다. 혼자만의 목욕 공간을 가질 수 없지만 얼마간의 돈을 주고 더운물을 마음껏 쓰면서 몸을 씻을 수 있다는 안도 뒤에 밀려오는 서글픔을 여자들은 그렇게 조용히 해결하는 것이리라. 


『이완의 자세』는 한때 잘 나갔지만 사기를 당해 '24시만수불가마사우나'에서 자칭 자영업 일명 때밀이, 세신사 간간이 여탕이라 불리며 일을 하는 엄마 오혜자와 그녀의 딸 김유라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삶에 관한한 억척과 기민함으로 무장한 엄마는 다단계 사기를 당하고 며칠 안방에 누워 있다가 다시 일어난다. 딸 유라를 데리고 선녀탕 이후에 만수불가마로 이름이 바뀐 곳에서 사람들의 때를 밀어주며 살아간다. 목욕탕에서 인형을 씻기고 있던 유라는 동네 무용 학원 원장에 눈에 띄어 고전 무용을 시작한다. 


초반에 오혜자 씨가 사람들 때를 미는 기술을 익히려고 유라를 데리고 실험하느라 유라의 몸은 누군가의 손길만 닿아도 굳어버리게 되었다. 무용을 할수록 몸에 힘을 빼고 선생의 손길을 받으며 자세를 교정해야 하는데 유라의 몸은 경직되고 결국. 이후의 이야기는 『이완의 자세』를 읽으면 알 수 있다. 소설은 두 모녀의 과거에 이르러 현재까지의 모습을 그리며 삶을 살아가는 자세를 이야기한다. 


사무실 의자는 목 받침이 없다. 등 받침까지만 있다. 처음에는 뒤로 젖혀지지도 않았다. 안 그래도 쉽게 긴장하는 스타일인데 의자까지 딱딱하니 집에 돌아오면 등이 아파 앉아있을 수도 없었다. 긴급하게 다이소에서 산 등 지압기로 등을 꾹꾹 누르며 저녁 시간을 보냈다. 나중에야 알았다. 의자 밑에 동그란 쇠를 돌리면 의자가 젖혀진다는걸. 잠깐 틈이 있을 때 뒤로 등을 펼 수는 있지만 목은, 내 목은? 여전히 경직된 자세로 일을 하고 집에 돌아와 눕는다. 


유라는 몸에 힘을 빼고 살아가는 단순한 일을 하지 못한다. 유라뿐만이 그럴까. 모두들 힘을 바짝 주며 어딘가로 내몰리지 않기 위해 긴장하며 살아가고 있다. 수심을 알 수 없는 깊은 물속으로 떠밀리지 않기 위해 몸에 힘을 풀지 않은 채 버티고 있다. 사우나 오너의 아들 만수 역시 유라와 비슷한 기로에 서 있다. 어른들은 말하지. 한 번 시작했으면 끝을 봐야 하고 이건 다 너 잘 되라고 하는 소리라고. 끝이라고 말하면 끝이라고 받아들일 순 없는 걸까. 유라는 끝을 이야기한다. 『이완의 자세』는 꿈이 사라진 자리에 남는 건 절망이 아닌 새로운 가능성이라고 말하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