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커튼콜은 사양할게요
김유담 지음 / 창비 / 2022년 11월
평점 :
김유담의 장편소설 『커튼콜은 사양할게요』의 주인공 연희가 직장에서 겪는 수모는 이런 식이다. 정해진 시간보다 일찍 출근해서 옆자리 성대리의 컴퓨터의 전원을 켜 놓고 팀장의 메신저 프로필을 주기적으로 들여다보며 기분을 눈치채는 일. 이름이 있지만 야, 막내로 불리며 팀장의 차를 세차하러 맡기러 다니고 어느새 내 일로 넘어온 일을 하느라 수시로 야근을 한다.
대학에서 불문학을 전공하고 전공보다는 동아리 연극 활동을 더 열심히 한 연희. 소설은 꿈보다는 현실에 밀려 출판사에 취업한 연희의 오늘과 꿈만으로도 가득해서 찬란했던 연희의 과거를 교차해서 보여준다. 연희는 박봉에 과다 업무, 잦은 야근을 견디기 위해 자신에게 신입사원 1이라는 역할을 부여한다. 비록 신입사원답게와 신입사원 같지 않게 사이에서 갈팡질팡하지만.
회식을 끔찍하게 여기는 이유 중에 하나는 아무리 정신을 차리려고 해도 생각보다 말이 먼저 나가는 오두방정을 시전하기 때문이다. 나는 정상적인 사회인이다, 지각 있는 사람이다를 수없이 되뇌어도 분위기에 휩쓸려 조롱과 냉소가 담긴 나름 위트 있는 농담이랍시고 툭툭 말을 내뱉다가 아차 하는 순간을 여러 번 맞이한다. 연희 역시 워크샵이라는 말이 일의 능률을 위해 기술, 교육을 나누는 장이라고는 하지만 주말을 반납해야 하는 추진한 이의 삼대를 멸문지화를 처하게 해도 모자란 곳에 가서 술을 먹고 팀장과 대리에게 꼬장을 부린다.
『커튼콜은 사양할게요』는 꿈을 꾸는 자와 현실에 순응한 자의 대비를 통해 청춘을 살고 있는 이들의 오늘과 내일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지 고민하는 책이다. 연희와 연극 동아리에서 함께 활동했던 장미는 취업이라는 선택지 대신 연극 활동을 이어 나간다. 연희는 직장에서 수모와 모욕을 당하면서 자신이 선택하지 못한 길을 걷고 있는 장미를 부러워하면서도 한심해한다. 한때 열렬했던 꿈의 모습이 달라지면서 연희와 장미의 관계는 미묘하게 어긋난다.
소설의 후반부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은 현실이라는 무대로 넘어와 상영된다. 전형성을 가진 인물이라고 여겼는데 입체적으로 변모하고 놀라울 정도로 각성을 해서 신입사원 1의 연희를 어리둥절하게 만든다. 고전소설의 특성인 권선징악과 행복한 결말은 현대 소설에서는 힘을 쓰지 못한다. 빌런이라고 여겼던 팀장과 대리는 느닷없이 선한 사람으로 배역을 수정하고 결말은 꼭 그래야만 했을까 싶게 슬픔을 안겨준다.
술만 마시면 자꾸 과거가 떠오른다. 무엇이 되어야겠다는 열망으로 부풀었던 과거가. 현재의 나는 무엇이 되어야겠다고 생각했을까를 기억하지 않은 채 살고 있다. 연희가 깨달은 것, '꿈꾸던 시간조차 지워버린 나'로 살면 안 된다는 것에 무한한 공감을 보낸다. 어떤 결말로 극이 마무리될지는 알 수 없다. 그런 걸 알고 싶지도 않다. 지금 여기 배역을 부여받고 또박또박 대사를 잘하기 위해 노력하는 내가 있다. 허무와 냉소로 상대 배역을 당황하게 만들지만 퇴장까지는 남은 시간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