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지음 / 창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버지가 죽었다. 전봇대에 머리를 박고'라는 첫 문장으로 시작되는 정지아의 『아버지의 해방일지』를 읽고 나면 가슴 한 쪽이 뻐근해진다. 결코 살아 있을 때는 몰랐던 한 사람의 사정과 속내를 죽고 나서야 조금은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부모라는 존재는 내내 살아 있을 줄 알았다. 추임새처럼 내가 죽고나면이라는 말을 들어도 아무런 느낌도 없었다.


그저 늘 하는 말이겠거니 정도. 죽음 후에야 무심결에 흘려들었던 말이 떠오르고 기억 속에 묻어 두었던 장면이 펼쳐진다. 한참 말을 잊고 새삼 후회라는 감정이 무엇인지 곱씹게 된다. 다정하게 말 할 걸 그것도 못했다면 화는 내지 말 걸. 후회는 미련과 닮았다는 걸 깨닫는다. 전직 빨치산이었던 고상욱 씨를 아버지를 둔 고아리의 서술로 『아버지의 해방일지』는 유쾌하고 짠하게 흘러간다. 


빨치산 출신으로 감옥살이를 마치고 돌아온 아버지는 『새농민』을 읽으며 농사를 짓는다. 그야말로 농사를 글로 배웠어요를 실천한다. 차가 끊겨 집에 가지 못하는 여인을 집에 재우는가 하면 동네 궂은일을 마다하지 않는다. 혁명을 하는 바람에 공부를 잘하는 조카가 신분조회에 걸려 출세를 못하는 지경에 이르러 집안의 괄시를 받아도 말 한마디 하지 못한다. 고상욱 씨는. 


고문 후유증으로 아이를 갖지 못하다가 기적처럼 딸 하나를 얻는다. 그 아이가 자라서 글을 쓰고 지방 시간강사로 학생들을 가르친다. 평생 남에게 싫은 소리 한 번 한 적 없는 아버지. 빨갱이, 빨간물이라는 놀림과 무시를 당해도 어려운 일을 당하는 사람이 있으면 아는 인맥, 없는 인맥 동원해서 도움을 주는 아버지. 왜 저렇게 살까 고상욱 씨 딸 고아리는 의아해한다. 


『아버지의 해방일지』는 아버지가 죽고 삼일장을 치르며 한 사람의 삶을 이해하는 과정을 그린다. 가깝지만 멀고도 어려운 관계인 아버지와 딸은 죽음 앞에서야 화해의 악수를 나눈다. 한 사람은 바람에 날아가고 한 사람은 땅 위에 우뚝 선 채. 마지막 인사를 건넨다. 소설은 고상욱이라는 인물의 생애를 삽화 형식으로 들려준다. 사회주의자로서 평생 유물론을 외친 아버지의 생애는 살아남은 우리들에게 여운을 남긴다. 


열심히 사는 것의 기준이 무엇인지 몰라 헤맬 때, 고상욱 씨가 실천한 유물론적인 행동을 보면서 뜨거운 태양 아래에서도 꿋꿋하게 버틸 수 있는 힘을 얻는다.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인생은 고통이야라고 해도 다정한 몇몇의 사람의 선의로 살아갈 수 있다. 아버지 고상욱 씨의 장례식장에 찾아온 사람들의 이력을 보고 있으면 말이다. 정치적 동료의 친구의 아들, 선생의 아들의 지인, 아들이나 다름없는 아들. 아리가 품었던 의문에 대한 답을 그들이 들려준다. 


죽음에 이르러서야 미안하다고 말한다. 그 일은 미안할 일이 아니다. 삼일의 시간은 그이를 추억하고 못되게 굴었던 일에 대해 사과하는 시간인가 보다. 다른 무엇도 아닌 나에게 있어 소중한 사람이었던 그이를. 웃다가 울다가 한숨을 쉬다가 누군가의 등을 어루만지다가 전복죽을 나눠 먹다가. 내가 하지 못하는 일의 성가심을 알고 한 걸음에 달려와 처리해 주는 걸 보면서 죽은 자의 삶을 추측해 본다. 외롭지 않았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