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밀하고도 달콤한 성차별
다시 로크먼 지음, 정지호 옮김 / 푸른숲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귀엽지 않은 건 아니었다. 엘리베이터에서 마트에서 엄빠 손을 잡고 있는 아이들을 보면 웃음이 나곤 했다. 그뿐이었다. 결혼을 한다거나 그래서 아이가 생긴다거나. 그런 일을 상상하지 않는다. 그런 내가 이상한가. 일하겠다고 면접 보는데 왜 결혼도 안 하고 애도 안 낳냐는 훈계와 다그침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이야기를 들어도. 그런가 보다 하며 여기는 걸러야지 했다.


아이를 보면 귀여워 죽겠다거나 누군가 결혼을 하면 나도 하고 싶다거나 마음조차 들지 않는 나는 비정상인가. 다시 로크먼의 책 『은밀하고도 달콤한 성차별』을 읽고 나서 명쾌한 답을 얻었다. 너는 절대 이상하지 않다. 네가 그렇게 생각하게 놔둔 사회와 관습과 문화와 역사가 잘못됐다. 바다 건너 사는 미국 언니 다시 로크먼은 다양한 사례와 해박한 지식, 다정한 어조로 말해 주었다.


어떤 게 잘못되었나. 우선 모성 본능이라는 말부터. 남자 너는 이런 일 못해는 애초에 성립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생물학적으로 남자와 여자는 다르지 않다. 똑같이 세포 분열해서 성별만 다르게 태어났지 할 수 있는 일 없는 일을 구별 지을 필요가 없다. 사회화 과정에서 여성, 남성의 역할 분담이 나누어진다. 여자아이의 경우 인형을 주며 놀게 한다. 잘 데리고 놀면 칭찬한다. 남자아이는 로봇과 공을 준다. 던지거나 뻥 차면 칭찬한다.


아이는 칭찬을 받는 순간 학습한다. 아, 이걸 더 잘하겠다. 여기서부터 역할 분담이 달라진다. 똑같이 인형을 줘보자. 똑같이 로봇과 공을 줘보자. 어떻게 될지는 더 잘 알겠지. 모성 본능은 사회가 책임질 수 없는 양육과 돌봄을 여성에게 떠넘기기 위해 만들어낸 말일뿐이다. 법과 제도를 만들 형편도 여력도 되지 않기에 여성에게 짐을 지우기 위해 너희는 모성 본능이 있으니 직장을 다녀도 집에 돌아와서는 남자보다 애를 더 많이 돌봐야 하고 상사에게 싫은 소리를 해야 한다고 부추기기 위해.


그리고 적대적 성차별과 온정적 성차별이 있다. 이 사회가 약고 교묘해진 게 결혼과 육아 정책을 만들고 인식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게 아니라 책의 제목대로 은밀하고 달콤한 말로 여성이 스스로를 주눅 들고 문제가 있다고 만들고 있다. 여성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차별 속으로 몰아넣는다. 적대적 성차별의 언어는 가령 이런 식이다. "여자는 함께 일할 때 툭하면 자기들끼리 싸운다." 누가 보아도 성차별적인 언어다. 온정적 성차별은 모호하다. "여자는 남자가 할 수 없는 식으로 남을 보살펴준다." 모호하고 교묘함을 느꼈는가.


다시 로크먼은 『은밀하고도 달콤한 성차별』에서 자신의 경험담을 주저하지 않고 털어놓는다. 남편 조지와의 갈등을 사례로 일하는 여성이 겪고 있는 부당 노동과 현실을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듯한 현장감으로 재현한다. 부부 100쌍을 인터뷰했다더니 전문 서적과 논문이 아닌 부부들의 사례로 사실적인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내가 겪고 있는 듯한 혹은 내가 모르고 겪을 일을 보여줌으로써 정신 차리게 손을 꼬옥 잡아준다. 네가 잘못된 게 아니야.


일하고 돌아왔는데 집이 더럽고 선생님한테 아이 관련 문자가 와도 죄책감과 부채감을 여성 혼자서 가질 필요가 없다는 걸 과학과 역사, 인문학으로 알려준다. 동일 노동을 하고서도 여성은 남성 보다 낮은 임금을 받아도 된다는 당연한 생각은 누가 하게 만들었는가. 부부가 똑같이 실직을 해도 왜 집안일은 여성이 더 하게 되는가. 여성 작가에서 일과 양육의 병행을 묻는 어리석음의 출처는 무엇인가.


단순하게 말하자면 모성 본능이라는 말은 헛소리다. 주양육자를 당연히 여성으로 보는 시선을 바꿔야 한다. 기저귀를 엉망으로 갈아도 여성은 침착하게 남성에게 알려주면 된다. 공감 능력과 공동체를 생각하는 일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뛰어날 일은 없다. 온정적 성차별의 언어를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어떤 일의 원인을 자신 탓으로 돌리는 건 쉬운 해결책이다. 살아봐서 알지 않은가. 그렇게 단순할리 없다, 세상은. 『은밀하고도 달콤한 성차별』은 나의 문제가 아닌 우리의 문제로 성차별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한다.


읽으면 읽을수록 화가 난다. 그러다가 유레카를 외치며 이마를 친다. 이래서 사람은 배워야 하는구나. 그래야 무시당하지 않으며 살 수 있구나. 좋은 봄날에 건투를 빈다. 내가 하는 일은 너보다 후진 일이 아니다. 똑같이 최저 임금 9,160원 받으며 하는 일이다. 집에 와서 같이 움직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