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터는 24시
김초엽 외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놀이터는 24시』에 실린 배명훈의 「수요 곡선의 수호자」를 읽다가 아침부터 울컥했다. 인공지능 로봇 마사로의 말 때문이었다.


"다행이다. 그럼 됐어. 잘 가고 잘 살아. 내 걱정은 안 해도 돼. 나야 뭐 공사 재개되면 어떻게든 나갈 수 있겠지. 그림 좀 보다가 전원 내리고 자면 돼. 누가 또 깨우겠지. 중간에 깨어나서 너를 만나 즐거웠어. 나는 그러면 됐으니까 너는 너를 구해."

(배명훈, 「수요 곡선의 수호자」中에서)


세상을 구하기 위해 연구소에서 만든 마흔 대의 로봇 중 유일하게 살아남은 마사로는 자신을 깨워준 '나'에게 고마워한다. 작별의 말로 '너는 너를 구'하라고 말해준다. '너는 너를 구해'라는 문장을 읽으며 한참을 생각에 빠졌다. 요즘 내 상황을 돌파할 수 있는 어떤 힌트 같은 말이라고 느꼈기 때문이다. 한 번 꽂히면 끝을 보는지라 카톡 프로필 문구로 바꿀까 하다가 그만두었다. 전에 일했던 곳에서 누군가가 했던 말이 떠올랐다. 자신은 프로필에 일기, 다짐 같은 문장을 쓰는 사람이 이상하다고 했다.


이제는 만날 일도 없는 사람의 말까지 신경 쓰는 나는 여전히 바보에 쪼다인 것 같다. 대신 블로그 프로필 문구로 바꿨다. 계속 입가에 맴도는 말. '너는 너를 구해.' 『놀이터는 24시』는 '즐거움'이라는 주제로 쓰인 소설 모음집이다. 오랜만에 한 편도 거를 수 없는 소설집을 읽었다. 실린 모든 소설이 좋았다. 감동이었다. 왜 그런지 자세히, 전문적으로 쓰고 싶지만 그럴 능력이 없다. 그저 소설을 읽었을 때 마음이 그렇다는 것만 밝혀둔다.


실종 대행업을 하는 주인공의 이야기 편혜영의 「우리가 가는 곳」은 소설이 끝난 시점에 희망이 남아 있을 거라는 잘못된 추측을 해도 용서받을 수 있을 것 같았다. 김초엽의 「글로버리의 봄」은 가짜 즐거움도 즐거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가짜 즐거움이라도 필요한 지금에 생각한다. 「일은 놀이처럼, 놀이는……」에서 장강명은 소설 쓰기의 혹독한 과정을 보여준다. 과거 엠씨스퀘어 광고지를 빙자한 연습장을 보던 기억이 떠오른다. 내가 공부를 못하는 이유는 엠씨스퀘어가 없기 때문이 아닐까 가난한 나는 그렇게 나를 위안했다.


믿고 읽는 김금희의 「첫눈으로」는 일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심오하고 철학적인, 건 아니고 먹고사는 건 뭣 같지만 그래도 살아야 한다는 이상한 용기를 준다. 박상영의 「바비의 집」은 단편 영화 같은 구성이라 좋았다. 제니와 평화가 버려진 놀이공원에서 서로를 다독이는 장면이 오래 기억에 남는다. 「춤추는 건 잊지 마」에서 김중혁은 내가 꼭 가져야 할 시간인 휴식에 대한 아포리즘을 선사한다. 그게 어디든 쉴 수 있는 공간만 있다면 쉬어야 한다고 말해준다.


소설 모음집을 읽으면 모든 소설이 좋다는 느낌을 갖기는 힘들었다. 한 편 정도는 나의 취향과는 맞지 않았다. 『놀이터는 24시』는 달랐다. 모든 소설이 구린 내 취향을 저격했다. 사실 취향이랄 것도 없이 소설의 한 문장이 좋으면 좋네라고 생각하는 정도. 기획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최선을 다해 소설을 모아 세상에 내놓겠지만 마음에 들지 않다고 독자가 느끼면 어쩔 수 없다. 당신과 나의 취향이 다른 것이라고 여기면 된다. 우울해하거나 기분 나빠하지 말자.


단순해 보이지만 단순하지 않은 성격을 가지고 있어 요즘의 상황을 돌파까지는 아니고 사고 없이 지나가고 싶어 책을 열심히(언제는 열심히 안 읽었나.) 읽고 있다. 사람도 아니면서 사람 보다 더 세련되고 위트 있고 공감 능력까지 출중한 로봇 마사로의 한 마디. 버려진 놀이공원에서 역시 버려진 것 같은 기분으로 살아가고 있는 조카와 고모가 나누는 대화. 도망칠 수 있는 것도 기회라고 너무 자책하지는 말라고 말해주는 것 같은 소설의 결말. 때문에 이 밤을 넘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