곁에 있다는 것 (양장)
김중미 지음 / 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중미의 소설 『곁에 있다는 것』을 흡입하듯 읽었다. 보던 드라마도 팽개쳐둔 채 말이다. 시작부터 나를 압도했다.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을 인용한 첫 부분을 보고 어찌 흥분하지 않을 수 있을까. 나의 인생 책 불멸의 1위인 최애 책. 난쏘공의 배경인 은강이 『곁에 있다는 것』에 다시 등장한다. 작가의 말에는 김중미 작가가 조세희 작가를 만난 이야기가 나온다. 허락을 받아 난쏘공의 은강을 소설로 가지고 왔단다.


소설은 은강에 사는 아이들의 시점에서 그린다. 고3 지우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강이, 여울이, 우리의 이야기까지 소설은 먹먹한 감동을 준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과 시차를 두고 쓴 『곁에 있다는 것』은 그 시절과 크게 다르지 않은 양상을 보여준다. 1970년대에서 2021년까지 한국 사회는 정작 바뀌어야 할 것은 그대로인 채 숨 가쁘게 달려왔다. 겉모습만 풍요로워졌을 뿐 그 안은 텅 빈 채 말이다.


은강방직 해고 노동자 이모할머니를 만나러 간 지우는 그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어 한다. 할머니의 할머니 때부터 은강에서 살아간 그들이 외치고 싶었던 진짜 목소리를 세상 밖으로 알리고 싶다. 지우의 엄마는 돌봄 교사로 일하면서 보육 종료 아이들의 일상을 지켜봐 준다. 아빠는 은강 인터넷 신문의 객원 기자로 일하면서 은강에서 일어나는 일을 글로 쓴다. 지우는 부모님을 보면서 은강에서 살아가는 일원으로서 은강을 사랑하고 아낀다.


모든 이가 지우처럼 은강을 애정 하지 않는다. 강이는 외할머니와 살면서 치킨집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 은강을 끔찍해하지는 않지만 은강에서 버틸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어 한다. 친구들이 대학 진학을 목표로 공부하는 모습을 보면서 자신이 진짜로 하고 싶은 일을 고민한다.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따기 위해 알아보지만 학원비가 비싸 고민한다. 강이에게 국비 지원이 있다는 걸 알려 주고 싶었다. 현실의 내가.


여울이는 공부를 잘해서 교육 대학을 목표로 하는 아이다. 야무지고 똑똑하다. 지우와 강이와는 절친이지만 약간의 거리감을 가지고 있다. 은강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이 있다. 엄마는 아빠와 이혼해 따로 산다. 엄마와 만나면 공부와 가치관 때문에 다투기도 하지만 엄마를 좋아한다. 은강에 빈민 체험관이 들어설 수도 있다는 걸 알면서 자신이 살아가는 곳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다.


소설 속 아이들의 고민의 무게가 만만치 않아서 나의 상황은 아무것도 아니구나 부끄러웠다. 나의 문제만 문제로 여긴 지금의 시간 역시. 며칠 전에는 옛날 기억을 떠올리며 웃었다. 방이 추워서 이불 밖으로 얼굴만 내밀고 숨을 쉬면 입김이 생겼던 그때를. 그때 추위에 단련되어서 보일러를 틀지 않아도 겨울을 지낼 수 있다고. 대학을 가야 할까 말까 고민하고 있을 때 조언을 해주거나 관심을 가져주는 어른은 없었다. 그저 내가 결심하고 결정했다.


다행히 문학을 알게 되어서. 책으로 도망칠 수 있어서. 나는 비뚤어지지 않았다. 어렵고 힘든데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이 문학에 있었다. 가난한데 남을 미워하거나 자기 비하를 하지 않는 사람들이 내게 용기를 주었다. 때론 냉소와 적대감을 가진 인물들에게서는 세상을 마냥 착한 사람의 시선으로 보지 않아도 된다는 말을 들은 것 같아서 위로가 되었다.


그때랑 다르지 않은 현재. 아이들은 더 힘들어졌다는 것을 『곁에 있다는 것』을 읽고 나서야 새삼 깨달았다. 어른인 나보다 더한 짐의 무게를 인 채 살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좋은 세상을 만들겠다는 열망을 품고 있다. 은강을 개발하면서 원주민의 삶을 조금도 신경 쓰지 않는 어른들에 맞서 은강의 아이들은 연대한다. 손을 내밀고 힘을 모은다. 촛불 집회에 나가 하루 일당을 모금함에 넣고 당당하게 1인 시위를 한다.


『곁에 있다는 것』은 누구나 꼭 읽어야 할 오늘의 소설이다. 최고의 문학이다. 찐문학이다. 진짜 사람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과거의 내가 문학을 읽으며 꿈을 다졌던 것처럼 『곁에 있다는 것』을 읽으면서 살아갈 용기와 희망을 얻었으면 좋겠다. 안다. 절망의 상황에서 용기와 희망을 가지라는 말이 한심하고 위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일어설 수 있는 힘은 누구에게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시간을 버티면서 스스로 쌓아야지 얻을 수 있는 삶의 내공 같은 것이다, 용기와 희망은. 문학은 절망을 가진 나를 토닥여주는 작은 손이다. 『곁에 있다는 것』은 그 몫을 톡톡히 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