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빛의 현관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최고은 옮김 / 검은숲 / 2020년 10월
평점 :



집 밖으로 나가지 않은 지 6일째 되는 날이다, 오늘은. 코로나가 무섭기도 하지만 원래 돌아다니는 걸 싫어하기도 해서 괜찮다. 짠함은 넣어둬. 그럼 집에서 무얼 하냐고? 정말 할 거 많다. 일어나서 몸무게 재고 물 마시고 청소기 돌린다. 날이 추워도 환기는 필수라서 창문을 전부 열어 놓은 채로. 상쾌한 공기 흡입하고 냉장고를 열어 배를 채운다. 뉴스를 보면서. 매일 확진자 수가 늘어나서 걱정이다.
전날 읽다만 책을 읽고 다 읽으면 리뷰를 쓴다. 책상에 앉아서. 창가 쪽으로 책상을 옮겨 놨는데 들어오는 햇빛의 양이 상당하다. 실내 온도를 높이기 위해 커튼을 열어 둔다. 책을 읽다가 집 안을 둘러본다. 약간의 강박증이 있어 모든 물건을 제자리에 놓아두어야 해서 일어나 물건의 위치를 바로 한다. 다시 책을 읽는다. 집에서 나는 다음의 도약을 위한 에너지를 충전 받는다.
요코야마 히데오의 장편 소설 『빛의 현관』을 하루 종일 읽었다. 햇빛 안에서. 광합성을 하듯. 소설은 건축사 아오세 미노루의 시점으로 시작한다. 건축주에게 의뢰를 받고 돌아오는 아오세. 그는 현재 이혼한 상태로 딸과는 한 달에 한 번씩 만남을 이어가고 있다. 거품 경제 시절 건축 사무소에서 활발하게 일을 했다. 아내는 인테리어 전문가로 활약했다. 바쁘다 보니 둘의 시선이 묘하게 일치하지 않게 되었다.
같은 곳을 바라보지 않게 되었다는 걸 알았을 때 아내 유카리는 이혼을 요구했다. 대학 시절 친구였던 오카지마 밑에서 일을 한다. 아오세는 어느 날 이상한 의뢰를 받는다. 요시노라는 남자가 찾아와 아오세가 살고 싶은 집으로 건축을 해달라고 한 것이다. 자신의 취향이나 요구를 드러내지 않은 채 오직 아오세가 살고 싶은 집으로. 요시노는 그 무렵 획일적으로 설계를 하는 자신에게 지쳐 있었다.
북쪽으로 향해 집을 짓는다. 아오세는 건축에서 금기시되는 북쪽으로 집의 방향을 잡는다. 지붕에 세 개의 빛이 들어오는 굴뚝을 내고 거실로 빛이 모이게 하는 구조. 노스 라이트. Y 주택은 그렇게 탄생한다. 건축주 요시노는 큰 만족감을 드러냈다. 아오세는 자신의 대표작이 될만한 건축을 남겼다는 점에서 역시 만족을 한다. 그러다 연락을 받는다. Y 주택에 감명을 받은 또 다른 의뢰인으로부터.
의뢰인은 Y 주택에 반해 내부를 보러 갔지만 어쩐지 사람이 살고 있지 않은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한다. 아오세는 그럴 리가 없다는 생각을 하며 소장 오카지마와 요시노의 집으로 간다. 누군가 침입 흔적이 있었고 아무도 없었다. 2층에는 의자 하나만 덩그러니 창가 쪽을 향해 놓여 있었다. 대체 어떻게 된 일일까. 자신의 모든 것을 쏟아부었다고 해도 모자랄 만큼 심혈을 기울여 지은 집인데 방치해 놓았다니.
『빛의 현관』은 한 번 잡으면 내려놓을 수 없는 소설이다. 하루 종일 읽을 수 있는 게 가능한 게 이야기의 힘 때문이다. 원하는 대로 흘러가지 않는 게 삶이라는 걸 알아버린 체념이 삶의 정서가 된 한 남자. 그가 마주 보고 이겨내야 할 현실의 막막함을 마구 응원해 주고 싶다. 과거의 잘못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내내 후회로 살아간다. 아내와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꿈꾸었지만 그마저도 실패한다.
아오세 미노루. 그가 지은 Y 주택에 숨겨진 비밀이 하나씩 드러날수록 가슴에는 비통함이 흐른다. 시간 여행자가 되어 과거로 돌아가 잘못을 수정할 수 없다. 결과로서 묵묵히 받아들이며 결코 절망으로 다가가지 않도록 나의 내면을 단단하게 만들어야 한다. 『빛의 현관』은 집이란 무엇일까를 성찰하도록 만든다. 어릴 때는 태양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존재하는 줄 알았다. 이사를 거듭할수록 지상에서 지하로 집을 옮겨 갈수록 빛의 소중함을 절실하게 깨달았다.
아버지의 직업 때문에 유년 시절 내내 이사를 다닌 아오세에게 집은 가족이 단란한 식사를 하고 내일을 도모할 수 있는 곳이라야 했다. 그 꿈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실패했다. 집이란 타인을 절대적으로 의식해서 가꿀 수 없는 곳이라는 걸 깨닫는 순간 『빛의 현관』속 인물들은 행복을 찾게 된다. 사랑의 기억으로 혼자 평생 그림만을 그리며 살아간 화가 후지미야 하루코. 망명의 순간에 연인과 함께 하며 쓸쓸함을 달랜 건축가 타우트. 아들에게만은 자랑스러운 아버지가 되고 싶어 했던 오카지마.
그들이 추구한 삶의 정서는 기적 같은 사랑이었다. 기억이 남는다. 죽음 이후에는. 사랑하는 이의 기억을 끌어안고 살아갈 때 빛은 그런 나를 보듬어 준다. 오늘 내 손 등을 간질이는 햇빛은 먼저 간 이들의 따뜻한 눈길임을 알아챈다.